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커뮤니티

살다

여러분이

  • 박상현
  • 조회 수 2078
  • 댓글 수 6
  • 추천 수 0
2010년 3월 8일 04시 28분 등록

※ 무의식의 실체를 충실히 파악하기 위하여 컬럼 작성중에 의지적 사고를 가급적 자제하였음을 밝혀
       둡니다. 

산 등성이에 안긴 공원묘지에 부산한 하루를 정리하는 땅거미가 내리고, 한달 전에 내린 눈은 추운 날씨 탓인지 눌러앉은 시어머니마냥 봉분 건초에 달라붙어 유세를 부리고 있었다.

 

이런 저런 일들을 처리하고 구정 전날 오후 4시경 성묘길에 나섰다. 감기 걸린 아이들과 아내를 집에 남기고 도착하니 5 다 되었다. 어머니를 모신 봉분은 오른편으로 보이는 모퉁이가 끝나는 지점에서 왼쪽으로 접어들면 대략 10번째. 봉분 두 세 개를 지나가니 61년생 그분의 사진을 붙인 화강암 봉분석이 여지없이 나타난다. 학사모를 쓴 망자의 앨범사진과 자녀의 초등학교 졸업식 때 찍은 사진인지 교문 앞에 망자 부부와 아이 둘이 나란히 포즈를 취하고 있다. 묘비명을 본 기억에 그는 1961년 生~2003년 卒이다. 그러고 보니 그 모두가 卒의 연작이다. 그를 눈 여겨 보게 된 건 순전히 망자의 사진과 생일 때문이었다. 무슨 사연으로 그는 40대 초반에 생을 마쳤을까. 사진으로 봐서 남은 가족들은 그의 부재를 인정하기는 하지만 마음으로는 아직 이별을 받아들이지 못한 것 같았다. 하긴 나 또한 그렇지 않은가. 사별한지 만 6년이 지났지만 그 자리에 서면 막내아들 서러운 땡깡이 목덜미를 누른다. 어머니의 묘비명은 성도 OOO님 이 곳에 잠들다 이다. 부활을 믿는 형이 훗날을 기약하며 정한 글귀다. 같은 신앙을 가진 입장에서 卒 보다는 잠들다가 덜 아쉽기는 하다.

 

육체가 다한다는 것은 생명이 끝나는 것일 뿐만 아니라 기억에서 소멸되어가는 것이다. 61년생 그분의 사진을 보다가 졸업을 (카르마)을 다하다라는 불교용어로 해석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말하자면 졸업은 윤회의 사슬을 끊고 해탈의 경지인 니르바나(열반)에 이르는 것이다. 죽음을 통하여 일체의 번뇌와 고통에서 벗어나고, 결국에는 이승사람의 상념으로부터도 잊혀져 완전한 평화의 상태가 되는 것이다. 영화 <아바타>를 떠오르게 하는 융의 자서전 구절, 그가 하나의 꿈을 꾸었는데 그것이 나다. 그가 깨어난다면 나는 더 이상 존재할 수 없으리라는 것을 나는 알았다.를 충실히 따른다면 나의 어머니는 아직 열반의 경지에 이르지 못하신 것 같다. 융의 말처럼 나는 여전히 존재의 의미를 찾고 있으니 말이다.

 

산자는 망자를 찾아 그가 세상에 없을 뿐만 아니라 기억에서 덧없이 사라짐을 애통해 한다.  망자앞에서 엄숙한 생활의 선서를 하고 돌아온 산자는 행복하기 위해 고민하고  부지런을 떨지만, 행복이 꼭 노력순은 아닌 것 같고 관계는 순풍에도 깃털처럼  흩날리곤 한다. 산자에게는 불안이 형벌이다.

 
마흔살이 넘으니 사람관계에 있어서 인과율에 대한 신뢰도가 떨어지고 질량보존의 법칙이 자주 의식된다. 내가 열을 하면 열을 얻을 수도 있겠지만, 열을 얻은만큼 어느 부분에서는 열이 비는 경우도 생기는 것 같다. 무의식은 겉으로 드러난 현상과 관계없이 세계에 대응하는 나의 감정을 고스란히 보여준다. 특별한 문제가 없는데 어떤 불편함이 마음속에 자리잡고 있다면 무의식에 걸린 내용을 찬찬히 뜯어볼 필요가 있는 이유다.

무의식을 탐험하기 위해 흘러가는 대로 글쓰기를 컨셉으로 잡기는 했지만 글쓰기에는 역시 무의식속에서 의미를 정제할 수 있는 의식의 체가 필요하다. 지금 이 순간 나는 불편하다.

IP *.236.3.241

프로필 이미지
박미옥
2010.03.08 06:23:59 *.53.82.120
컬럼 작성중에 의지적 사고를 가급적 자제하였음

ㅋㅋ 전 매번 의지적 사고를 묶어놓고 시작했는데..
그 의지란 놈, 피곤했던지 묶인 채로 잘도 쉬더라구요.  ^^
프로필 이미지
신진철
2010.03.08 19:53:40 *.154.57.140
의지적 사고를 가?급?적? 자제하였음.
눌러앉은 시어머니? 막내아들 서러운 땡깡? 산자에게는 불안이 형벌이다...
지금 이 순간 나도 불편하다...
ㅎ~ 상현님, 잘 보고 가요..
프로필 이미지
윤인희
2010.03.09 00:22:38 *.108.158.238
4주간 고생 많으셨고요.
좋은 결과 있기를 기도드립니다.
만나서 좋은 말씀  듣고 싶네요.
홧팅
프로필 이미지
이은주
2010.03.09 01:03:04 *.83.68.7
한달 전에 내린 눈은 추운 날씨 탓인지 눌러앉은 시어머니마냥 봉분 건초에 달라붙어 유세를 부리고 있었다. >> 너무 재미있는 표현이네요.
세상에 가장 좋은  명상장소는 묘지 앞이라 하더군요.
갑자기 작년 가을 김수환추기경 묘지를 걸어 올라가는 길이
생각나네요. 정말 멋진 명상장소였거든요.
잘  읽고 갑니다.
프로필 이미지
김연주
2010.03.09 23:20:54 *.68.10.114
무의식만으로 글쓰기...좋은 시도인데요..,마지막 부분의 "글쓰기에는 역시 무의식속에서 의미를 정제할 수 있는 의식의 체가 필요하다. " 를 보고...역시 세상은 음양의 조화가 맞아야 한다는...남자와 여자, 낮과 밤, 그리고 의식과 무의식의 적절한 조화 ㅎㅎ
프로필 이미지
윤인희
2010.03.11 13:42:21 *.142.217.230
2차 합격을 축하드립니다.
뵐 수 있게 되어 반갑네요.
좋은 본을 받도록 하겠습니다.
많은 조언 부탁드립니다.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979 [66] 허접스런 미물들의 아우성 [9] 써니 2008.01.22 2076
1978 딸기밭 사진편지 73 / 여름이야기 file 지금 2010.08.13 2076
1977 [0011]마지막 한 순간까지 - 용혜원 [3] 햇빛처럼 2011.01.02 2076
1976 [영원의 시 한편] 세 송이의 꽃 정야 2014.11.18 2076
1975 [오리날다] 도대체 책은 왜 읽는데? file [4] 김미영 2010.02.27 2078
» 컬럼 4. 내속에 무엇이 숨어 있는가?(무의식에 대한 고찰) [6] 박상현 2010.03.08 2078
1973 [버스안 시 한편]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 정야 2014.08.26 2080
1972 [오리날다] 내공? 그런 거 없다! file [2] 김미영 2010.05.23 2081
1971 마주 앉은 거리만큼 일 때가 행복입니다 file 지금 2010.05.26 2081
1970 매일쓰기53 : 단군의 후예 2기 프로젝트 출사표 인희 2010.09.05 2081
1969 &lt;변화학 칼럼 21&gt; 슬럼프에서 벗어나는 법 [3] [1] 문요한 2005.09.08 2082
1968 눈물나는 꿈 [4] 오병곤 2006.05.25 2082
1967 딸기밭 사진편지 24 / 4월 안부 file [1] 지금 2010.04.22 2082
1966 오뜨길 [1] 이선이 2004.08.03 2083
1965 딸기밭 사진편지 25 / 사랑법 file 지금 2010.04.24 2083
1964 [칼럼 14] 불편한 진실-연행 [3] [1] 신진철 2010.06.07 2083
1963 딸기밭 편지 6 / 설날 인사드립니다 file [1] 지금 2010.02.12 2084
1962 매일쓰기57 : 진정한 배려를 위한 전략적 접근 인희 2010.09.09 2084
1961 3월의 눈은 기적을 부른다... [2] 신진철 2010.03.10 2085
1960 매일쓰기30 : 교차로 무단진입차량 운전자 의식 개선(안) 인희 2010.08.13 20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