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커뮤니티

살다

여러분이

  • 윤인희
  • 조회 수 2106
  • 댓글 수 2
  • 추천 수 0
2010년 5월 16일 22시 56분 등록

*5-3칼럼 진지하기만 하다면 최고다.

"이 세상에서 훌륭한 기질이란 그것이 진지하기만 하다면, 아무것도 그것을 이길 수가 없다." 이 말은 '역사속의 영웅들'이란 책에서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가 한 말이다. 우리가 세상을 살 때 진지함 만으로는 살아갈 수 없다. 그러나 그 진지함이 필요할 때가 있다. 특히 부족한 부분을 성찰하면서 보완발전하고자 할 때이다. 자기 자신을 겸허하게 낮춤으로써 자신을 볼수 있고, 발전을 도모할 수 있다. 혼자서 자기수양을 할 때도 중요하지만, 가끔은 여럿이 함께 진지한 분위기속에서 모두에게 유익한 것들을 찾기 위해서도 필요하다.

나의 기질 중의 하나가 진지모드인 듯하다.

평범함 속에서는 별 의미와 가치를 찾지 못한다. 오히려 애매모호하다. 평범함 속에서는 흐뭇함이나 큰 발전을 맛보지 못하는 성격이기 때문이다. 진지함 속에서 흐뭇함을 맛보고 그것을 통해 많은 발전을 도모한다.

일례로, 생명보험회사에 다닌 적이 있다. 위험한 순간을 대비하면서 평생 한번인 소중한 인생을 좀 더 진지하고 신나게 살아가야 할 이유와 필요성을 많은 분들에게 알려주기 위해서였다. 또한 병원에서 환자간병을 하면서는 고통받는 환자분들에게 치료하는 것을 도와 주고 재활운동을 열심히 보조하여 조속한 시일내에 퇴원하게 하려고 했다. 그리고 입원하기 전보다 더 나은 삶을 살아야 하는 이유와 필요성을 보여 드리고자 했다. 이 일을 좀 더 진지하고 적극적으로 하면서 참으로 많은 것들을 배우고 깨달았다.

우리는 살아가면서 사사로이 각 개인을 만나기고 하고 이런 저런 모임에 참가하기도 한다. 그런데 그런 소중한 관계에서 그 소중한 시간을 좀 더 유용하게 활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어 안타까울 때가 있다. 사적 모임이든 공적모임 장소에서든지 그 고유의 목표와 목적을 달성하는데 있어서 진지함을 가미시킨다면 더 많은 성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통상의 계획에 부가적으로 좀 더 진지한 시간과 공간을 부여한다면 나 같은 유형의 사람들에게는 큰 유익과 발전이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들도 이런 것을 긍정적이고 적극적으로 활용한다면 그들도 나름의 많은 것을 얻을 것이다.

시간은 금이다. 미국인에게 가장 소중한 것은 가족이 아니라 시간이라고 한다. 우리도 개인적으로든, 여럿이 만나든 그 시간을 더 절약하고 효율적이고 생산적으로 활용한다면 더욱 의미있을 것이다. 각자가 잘 안되는 부분에 대해 발표할 자료를 만들어와서 발표한다. 그것에 대해 심층토론을 한 후 식사를 하던지 술을 먹던지 한다면 더욱 좋을 듯하다. 칼럼에서도 '지적의 힘이 큰 발전을 이룬다.' 라고 쓴 적이 있다. 토론을 하면서 서로를 위해 부드러운 지적을  해 준다면 더욱 금상첨화일 것이다. 

진지함이 따문함이 될수도 있다. 그 진지함의 장점을 살리지 못하고 부정적으로 흐르게 해서는 안된다. 진지함을 즐기면서 흐뭇하고 보람있는 일로 승화시키는 긍정의 습관이 필요하다.

오늘 교회예배를 마치고 귀가하는 길에 즐거운 일이 있었다. 집을 향해 걷고 있는데 수퍼 앞에서 어떤 남자 아이 셋이서 나를 보고 있었다. 그리고 그 중 막내 정도가 나를 향해 "할아버지"라고 불렀다. 예전 같으면 내 주변에 할아버지가 있는지 둘러보았을 터인데 그렇게 하지 않았다. 그런 경우가 종종 있었고, 아이들 눈에 머리 숱이 없는 사람은 다 할아버지로 보인다는 걸 알기에, 그 아이에게 자연스럽게 응대했다. "그래, 왜 그러니? 몇 살이니?"  "네살이예요." 라며 그 아이 옆에 있던 형들이 대답했다. "할아버지 멋있지 않니? 그래 열심히 공부하고 훌륭한 사람돼라. ..." 약간 대화하고 수퍼에 들어가려 하는데,  그 아이가 또 "대머리"라며 말한다. 그래서 "대머리가 아니라 큰머리란다." 라고 하며 수퍼마켓 안으로 들어갔다. 그 아이가  뒤 따라오면서 과자 사달라고 한다. "그래 먹어라." 고 했다.
수퍼 아주머니가 오히려 민망한지 아이를 나무란다. 그래서 내가 이르기를 "아이들은 때가 묻지 않아서 더 좋지 않습니까? 어른들은 오히려 순수하지 않고, 그 속 마음이 무엇이 있길래 그 마음을 열지 않으니 더 답답할 때가 많아요......"라는 이야기를 나누었다.

그렇다. 진지할 때는 진지하게 그 진지함에서 더 흐뭇하고 큰 것을 얻을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즐겁고 신나는 분위기에서는 그렇게 즐겁고 보람을 찾을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어울리며 놀 때는 그 전체 분위기를 위하여 뭔가 공헌하려고 노력해야 할 것이다.

IP *.33.80.220

프로필 이미지
박상현
2010.05.17 14:13:10 *.236.3.241
주위를 늘 긍정적인 마인드로 둘러보시니
스트레스 받으실 일이 없겠네요 ^^

더운 날씨에 건강 유의하시고 월말에 뵈어요~~
프로필 이미지
dress
2010.12.09 13:42:01 *.210.34.134
wedding dresses suitable for a beach wedding We are an experienced designer and manufacturer on wedding dresses, evening dresses, bridesmaid dresses, prom dresses and party dresses, focusing on medium and top grade quality. All our dresses are made of top-grade fabrics imported from abroad and are either embroidered manually or by machine. Thanks to strict production process, our dresses are always popular with clients .We have a team of professional designers,wedding dresses to wear at the beach plate-makers, tailors and production workers, dedicating to provide you with better and more satisfactory service.beach style wedding dresses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949 [칼럼 13] 누구를 위한 전쟁인가 [3] 신진철 2010.05.31 2344
2948 [오리날다] 니 잘못은 없었어 file [4] 김미영 2010.05.30 2382
2947 딸기밭 사진편지 34 / 소풍 file [1] 지금 2010.05.29 2392
2946 딸기밭 사진편지 33 / 관계 file [2] 지금 2010.05.27 2385
2945 봄의 아이들에게 [1] 김나경 2010.05.27 2383
2944 마주 앉은 거리만큼 일 때가 행복입니다 file 지금 2010.05.26 2453
2943 엉덩이 file [4] 진현주 2010.05.25 2877
2942 딸기밭 사진편지 32 / 2일 하늘 file [1] 지금 2010.05.25 2467
2941 칼럼따라하기12<절박할 때 비로소 글이 써지는가?> [7] 청강 경수기 2010.05.24 2227
2940 [칼럼 12] 저들에 푸르른 솔잎을 보라 [2] 신진철 2010.05.24 3661
2939 5-4칼럼 나의 주제 파악하기 [2] 윤인희 2010.05.23 2740
2938 [펭귄잡다] 빼앗긴 안방에도 봄은 오는가? [1] 오병곤 2010.05.23 2577
2937 [오리날다] 내공? 그런 거 없다! file [2] 김미영 2010.05.23 2374
2936 체스를 통해 살펴본 인생(청소년을 위한 글) [1] Real 2010.05.22 3290
2935 김치 담그기,라는 기도 [1] 김나경 2010.05.22 2669
2934 딸기밭 사진편지 31 / 부처님 오신 날 file [1] 지금 2010.05.22 3038
2933 장보기의 즐거움 [1] 김나경 2010.05.19 2401
2932 봄비오는 아침 시를 받았습니다 file [5] 지금 2010.05.18 3215
2931 칼럼따라하기-11<영웅의 인자> [2] 청강 경수기 2010.05.17 2249
» 5-3칼럼 진지하기만 하다면 최고다. [2] 윤인희 2010.05.16 2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