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나경
- 조회 수 2597
- 댓글 수 2
- 추천 수 0
안연 7
자공이 정치에 관하여 질문하였다.
공자가 말하기를
정치란 경제, 군사 그리고 백성들의 신뢰이다.
자공이 묻기를
만약 이 세가지 중에서 하나를 버려야 한다면
어느 것을 먼저 버려야 하겠습니까
군사를 버려라
만약 나머지 두 가지 중에 하나를 버리지 않을 수 없다면
어느 것을 버려야 하겠습니까
경제를 버려라
예부터 백성이 죽는 일을 겪지 않은 나라가 없었지만
백성들의 신뢰를 얻지 못하면 나라가 설 수 없는 것이다.
(신영복 강의- 나의 동양고전 독법/4장 논어 170쪽)
논어집주에서 위 글에 대한 주희 주
*사람은 양식이 없으면 반드시 죽는다. 그러나 죽음은 사람이 반드시 면할 수 없는 것이요. 신이 없으면 비록 살더라도 스스로 설 수가 없으니, 죽임이 편안함만 못하다.
그러므로 차라리 죽을지언정 백성들에게 信을 잃지 않아서 백성들로 하여금 또한 차라리 죽을 지언정 나에게 信을 잃지 않게 하여야 하는 것이다.
*내가 생각하건대, 인정을 가지고 말한다면 兵과 食이 풍족한 뒤에 나의 信이 백성들에게 믿어질 수 있는 것이요, 사람의 덕을 가지고 말한다면 信은 본래 사람에게 고유한 것이니, 兵과 食이 앞설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이 때문에 위정자들은 마땅히 몸소 백성들에게 솔선수범하여 죽음으로써 信을 지켜야 할 것이요, 위급하다고 해서 버릴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나 같은 초짜에게 여러개의 해석본을 함께 놓고 보는 것은 오히려 독인지도 모르겠다.
위 글에 대한 신영복교수의 번역은 탁월하다.
그리고 위글을 현재의 우리 사회에 비추어 보아도 전혀 어색함이 없다.
오히려 놀라울 따름이다.
공자가 무엇을 중요하게 여겼는지 알 수 있다.
“내가 공자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그가 변해서는 안 되는 것들, 그것을 잃으면 결국 사람을 잃게 되는
바로 그런 인간적 초점과 핵심을 놀라운 통찰력으로 꿰뚫어 보기 때문이다“-구본형
|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 4109 | 인생을 조각하다. | 빈잔 | 2024.10.26 | 1092 |
| 4108 | 눈을 감으면 편하다. [1] | 빈잔 | 2024.10.21 | 1137 |
| 4107 | 노력하는 자체가 성공이다 | 빈잔 | 2024.11.14 | 1140 |
| 4106 | 얻는것과 잃어가는 것. | 빈잔 | 2024.11.09 | 1150 |
| 4105 | 돈 없이 오래 사는 것. 병가지고 오래 사는것. 외롭게 오래 사는 것. | 빈잔 | 2024.10.22 | 1206 |
| 4104 | 길어진 우리의 삶. | 빈잔 | 2024.08.13 | 1211 |
| 4103 | 늙음은 처음 경험하는거다. | 빈잔 | 2024.11.18 | 1260 |
| 4102 | 상선벌악(賞善罰惡) | 빈잔 | 2024.10.21 | 1286 |
| 4101 | 문화생활의 기본. [1] | 빈잔 | 2024.06.14 | 1330 |
| 4100 | 선배 노인. (선배 시민) | 빈잔 | 2024.07.17 | 1458 |
| 4099 | 꿈을 향해 간다. [2] | 빈잔 | 2024.06.25 | 1527 |
| 4098 | 신(新) 노년과 구(舊) 노년의 다름. | 빈잔 | 2023.03.30 | 1891 |
| 4097 | 가장 자유로운 시간. | 빈잔 | 2023.03.30 | 1897 |
| 4096 | 나이는 잘못이 없다. | 빈잔 | 2023.01.08 | 1933 |
| 4095 | 편안함의 유혹은 게으름. | 빈잔 | 2023.04.28 | 1942 |
| 4094 | 1 % [2] | 백산 | 2007.08.01 | 1950 |
| 4093 | 이런.. [1] | 김미영 | 2005.12.16 | 1951 |
| 4092 | 말리지 않은 책임에 대하여 [1] | 김나경 | 2007.03.24 | 1953 |
| 4091 | [71] 저절로 취해드는 불빛들 | 써니 | 2008.02.03 | 1953 |
| 4090 | 숙제 [3] | 자로 | 2006.09.08 | 1956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