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인희
- 조회 수 2096
- 댓글 수 6
- 추천 수 0
윤봉길 의사가 백범에게 쓴 친필시 공개
6월 26일은 백범 서거 61주기,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서울=연합뉴스) = "높이 우뚝 솟은 웅장한 푸른 산이여 / 만물을 품어 기르는도다 / 저 멀리 곧게 서 있는 푸른 소나무여 / 사시장철 변함이 없도다"
1932년 4월29일 일왕(日王)의 생일 행사장이었던 중국 상하이 훙커우(虹口) 공원에 폭탄을 던져 의거에 나섰던 윤봉길 의사가 백범 김구 선생을 묘사한 송시(頌詩)다.
윤 의사의 조카인 윤주 윤봉길의사기념사업회 연구위원은 오는 26일 백범 서거 61주기에 앞서 23일 윤 의사의 친필로 된 이 송시를 공개했다.
윤 의사는 의거 직전인 1932년 4월27일 쓴 이 시에서 김구 선생을 "온 세상이 모두 흐린데 선생 홀로 맑다" "나이 들수록 더욱 강건해지는 선생의 의기뿐이다"라고 묘사했다.
윤 연구위원은 이 시에 대해 "윤 의사의 의거로 임시정부가 한국 독립운동의 구심점이 됐고 김구 선생은 그 지도자가 됐다"며 "이 시의 백범관은 정확했다고 볼 수 있다"고 평가했다.
다음은 시 전문과 해석.
『백범(白凡) 선생(先生)에게
외외청산혜(巍巍靑山兮)여 / 재육만물(載育萬物)이로다 / 묘묘창송혜(杳杳蒼松兮)여 / 불변사시(不變四時)로다 / 탁탁봉상혜(濯濯鳳翔兮)여 / 고비천인(高飛千인<사람인변+刃>)이로다 / 거세개탁혜(擧世皆濁兮)여 / 선생독청(先生獨淸)이로다 / 노당익장혜(老當益莊兮)여 / 선생의기(先生義氣)로다 / 와신상담혜(臥薪嘗膽兮)여 / 선생적성(先生赤誠)이로다
높이 우뚝 솟은 웅장한 푸른 산이여 / 만물을 품어 기르는도다 / 저 멀리 곧게 서 있는 푸른 소나무여 / 사시장철 변함이 없도다 / 번쩍번쩍 밝게 빛나는 봉황의 날음이여 / 천 길이나 드높이 날아오르는도다 / 온 세상이 모두 흐림이여 / 선생 홀로 맑으시도다 / 늙을수록 더욱 강건해짐이여 / 오직 선생의 의기뿐이로다 / 원수 갚으려 온갖 핍박을 참고 견딤이여 / 선생의 붉은 정성이로다』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4109 | 노력하는 자체가 성공이다 | 빈잔 | 2024.11.14 | 630 |
4108 | 인생을 조각하다. | 빈잔 | 2024.10.26 | 652 |
4107 | 얻는것과 잃어가는 것. | 빈잔 | 2024.11.09 | 675 |
4106 | 눈을 감으면 편하다. [1] | 빈잔 | 2024.10.21 | 691 |
4105 | 돈 없이 오래 사는 것. 병가지고 오래 사는것. 외롭게 오래 사는 것. | 빈잔 | 2024.10.22 | 726 |
4104 | 상선벌악(賞善罰惡) | 빈잔 | 2024.10.21 | 741 |
4103 | 늙음은 처음 경험하는거다. | 빈잔 | 2024.11.18 | 742 |
4102 | 길어진 우리의 삶. | 빈잔 | 2024.08.13 | 746 |
4101 | 문화생활의 기본. [1] | 빈잔 | 2024.06.14 | 943 |
4100 | 선배 노인. (선배 시민) | 빈잔 | 2024.07.17 | 943 |
4099 | 꿈을 향해 간다. [2] | 빈잔 | 2024.06.25 | 1083 |
4098 | 가장 자유로운 시간. | 빈잔 | 2023.03.30 | 1517 |
4097 | 신(新) 노년과 구(舊) 노년의 다름. | 빈잔 | 2023.03.30 | 1521 |
4096 | 편안함의 유혹은 게으름. | 빈잔 | 2023.04.28 | 1548 |
4095 | 나이는 잘못이 없다. | 빈잔 | 2023.01.08 | 1552 |
4094 | 원하는 것(Wants) 과 필요한 것(Needs) | 빈잔 | 2023.04.19 | 1596 |
4093 | 내 삶을 지키기 위한 배움. | 빈잔 | 2022.12.27 | 1655 |
4092 | 변화는 불편하다. | 빈잔 | 2022.10.30 | 1672 |
4091 | 1 % [2] | 백산 | 2007.08.01 | 1707 |
4090 | 정서적 자유와 경제적 자유. | 빈잔 | 2023.03.08 | 17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