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커뮤니티

살다

여러분이

  • 김서영
  • 조회 수 2207
  • 댓글 수 2
  • 추천 수 0
2011년 2월 21일 11시 43분 등록

새로 태어난다는 것은 무슨 뜻인가?’

 

이 심오하고도 잡히지 않는 물음에 골머리를 싸매고 있던 중 문득 신랑에게 질문하였다.

살면서 새로 태어났다고 느꼈을 때가 있나요?”

그는 망설임없이 대답하였다.

그럼. 늘 느끼곤 하지.”

귀가 번쩍 뜨였다. 이렇듯 심오한 진리에 대하여 단번에 대답하다니. 어쩌면 나의 반쪽은 내가 알아온 것 이상으로 영적인 사람이 아닐까? 생각하며 다시 질문하였다.

? 정말 언제 새로 태어났다고 느끼는데?”

….내가 새로 태어남을 느끼는 것은 말이야. 화장실을 다녀왔을 때야. 내 안의 것을 모두 비우고 났을 때 무언가 이전과 달라졌다는 느낌이랄까?”

자신있게 대답하는 그의 순진무구한 얼굴을 보며 실소가 터져나왔다.

하하하. 난 또 뭐라고. 난 정말 심각하단 말이야.”

 

허무함을 느끼며 한바탕 웃고 돌아서려는 찰나 어디선가 목소리가 울려왔다.


나는 버리지 않고 가지려고만 하지 않았나. 꽉 움켜진 주먹을 펴지 못한 채 무언가를 얻으려 달려들진 않았나늘 새로 태어남을 추구하면서도 이에 대한 갈증을 해소하지 못하는 것은 바로 이때문이 아닌가.’


문득 배출하지 못하고 먹으려고만 욕심부리다가 병들어가는 내 자신을 발견했다. 이러한 엉뚱한 화장실 철학으로부터 새로 태어남에 대한 성찰이 계속하여 이어졌다.

 

조셉 캠벨의 심화의 힘에서는 심리적인 미성숙 상태를 박차고 자기 책임과 자기 확신 위에서 영위되는 삶의 현장으로 나오려면, 죽음과 재생의 경험이 있어야 한다고 하였다. 새로 태어나기 위해서는 반드시 죽어야 한다. 이 단순한 진리를 깨닫지 못한 채 살고자 할 때 그 삶은 성숙해질 수 없다.

 

그렇다면 이 죽음은 무엇인가? 문득 언젠가 요가를 하던 중 선생님의 말이 떠올랐다.

모두 쏟아내세요. 아끼지 말고 모든 에너지를 쏟아내세요. 기진맥진해져 움직이기조차 힘든 순간에 새로운 에너지가 채워짐을 느낄 수 있을 겁니다.”

 

그렇다. 죽음이라 함은 내 안의 에너지를 모두 쏟아냄을 의미한다. 미래를 염려하는 마음에 온전히 쏟아내지 못 할 때면 빈 자리가 새롭게 채워지지 못한다. 두려움 없이 온전히 쏟아냈을 때 어디에선가 우주로부터 신선한 에너지가 내 안으로 들어와 충만해지는 신비는 경험해본 자만이 알 수 있다.

 

다시 내게 물었다. ‘지금 이렇게 칠흙 같은 어둠을 헤매이는 이유는 무엇인가? 무엇이 불안한가?’

이어 그동안 깨닫지 못했던 답변이 들려왔다. ‘욕심때문이다.’ 그렇다. 가지면 가질수록 더욱 가지지 못한 것을 탐욕하고 질책하고 있는 나 자신을 발견하였다. 있는 그대로에 감사하던 시절에는 혼란스럽지 않았다. 그러나 내 눈이 내 안을 벗어나 저 위에 있는 자들을 바라 보았을 때 내 마음에는 욕심이 생기기 시작했던 것이다. 욕심은 지금의 나를 자책하고 의기소침하게 만들었다. 이러한 욕심은 탐욕으로써 더욱 성숙한 삶을 살고자 하는 내면의 탐색과는 거리가 멀었다.

 

이에 새로 태어난다는 것에 대한 나름대로의 정의를 내렸다.

새로 태어나기 위해서는 먼저 내면의 이야기를 들음으로써 자기 확신이 전제되어야 한다. 무엇을 위해 새로 태어나고자 하는지에 대한 의미가 명확해진 다음에는 내 안의 것을 모두 쏟아내는 단계, 즉 죽음이 따른다. 이대로 죽으면 어쩌나 염려할 필요 없다. 다 쏟아내지 않고서는 텅 빈 육체에 흘러들어오는 우주의 기운을 느끼지 못한다. 이러한 죽음의 의례를 통해 우리는 비로소 새롭게 태어날 수 있다. 비움으로써 얻을 수 있고, 죽음으로써 태어날 수 있는 것, 이것이 단순하고도 진실한 삶의 진리다.


IP *.92.70.2

프로필 이미지
강훈
2011.02.25 14:42:58 *.219.84.74
일상으로부터의 깨달음. 글 잘읽었습니다. 비움을 통한 다시 태어난다라는 김서영님의 글처럼 저 자신을 돌아봅니다. 화이팅 하십시오.
프로필 이미지
김서영
2011.02.28 11:34:16 *.92.70.2
뒤늦게 댓글을 확인했네요. 응원감사드립니다. 강훈님도 늘 새로운 한 주 보내시길 기원합니다.^^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579 <변화학 칼럼1> 당신은 왜 여기에 서 있습니까? [7] 문요한 2005.03.28 2203
1578 (서평)나의 길을 선명하게 비추어주는 수희향의『진짜공부』 엄콩쌤(엄명자) 2018.12.19 2203
1577 [7기지원] 2주. 관계란 무엇인가? [3] 강훈 2011.02.28 2204
1576 <10기 레이스 1주차 칼럼> 여행이란 무엇인가? - 이동희 file [7] 희동이 2014.02.10 2204
1575 그가 먹는것과 읽는 것이 그사람이다 [2] 김나경 2007.09.10 2205
1574 매일쓰기39 : 말 한마디가 약자들에게 큰 힘이... [7] 인희 2010.08.22 2205
1573 딸기밭 사진편지 88 / 9월 3일 file [2] 지금 2010.09.04 2205
1572 [7기] 관계란 무엇인가? 이루미 2011.02.27 2205
1571 나는 코치다 (5. 지금 선택할 수 없다면 끝까지 가라) 백산 2011.09.09 2205
1570 [영원의 시 한편] 행복해진다는 것 정야 2014.12.26 2205
1569 매일쓰기44 : 대인관계에서의 진정한 마음 씀씀이 [1] 인희 2010.08.27 2206
1568 스스로 만드는 답 [5] 유관웅 2004.12.28 2208
» [예비 7기] 1주차_새로 태어난다는 것은 [2] 김서영 2011.02.21 2207
1566 하동에 1박2일 아이들과 함께 다녀올게요. [4] 윤인희 2010.03.12 2209
1565 이해한다는 것.. [9] [2] 조영재 2009.02.23 2210
1564 [8기예비_학이시습]나에게 시란 무엇인가? [10] 학이시습 2012.03.05 2210
1563 너에게... 김세화 2005.03.28 2211
1562 인터뷰놀이 시나리오 ver2.0 윤인희 2011.05.28 2211
1561 타버린 연탄 한 장처럼 [3] 백산 2008.03.16 2212
1560 매일87 :모든 것을 말해도 안심이 되는 사람은 누구인가? [1] 인희 2010.10.10 2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