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커뮤니티

살다

여러분이

  • 양경수
  • 조회 수 3841
  • 댓글 수 1
  • 추천 수 0
2011년 2월 27일 23시 20분 등록

칼럼 2. Q : 관계란 무엇인가?

 A : 감정을 공유하는 것

꾸미기_축소_튤립.JPG

<안면도, 사진/양경수>


1.

   나의 일터는 화력발전소이다. 화력발전소의 원리를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외국에서 수입한 유연탄을 거대한 보일러에서 태운다. 그렇게 발생한 열로 물을 끓인다. 물은 운동에너지를 가진 수증기로 바뀌어 터빈을 돌린다. 터빈은 돌면서 전자기적 작용에 의해 전기로 변한다. 그 전기가 변전소를 거쳐 전국의 가정과 공장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한마디로 에너지 순환을 일으키는 기계 장치이다.

   하지만 그것을 움직이는 것은 사람이다. 우리 발전소에는 정직원이 600명 정도이고, 협력사를 합치면 2천명이 넘는 사람들이 일하고 있다. 각자 자기가 맡은 역할이 있고, 그 역할을 해낸다. 내가 맡은 역할은 보일러 내부를 순환하는 물을 깨끗하게 처리하는 것이다. 수질이 기준치 이상이 되면 설비를 바꿔 운전하고, 포화가 된 설비는 다시 '재생'이라는 과정을 거쳐 초기 상태로 회복시킨다. 그리고 발전소 내부의 화학적인 체크 포인트를 감시한다. 수질에 있어서 화학적 수치인 몇 ppm(백만분의일)만 변해도 전체 발전 설비의 수명과 운전에 큰 영향을 준다. 사실 모든 부분이 그렇다. 누군가의 잘못된 판단이나 실수가 전체 발전소를 멈추게 하고 수명을 줄이기도 한다. 발전소는 거대한 기계 덩어리 이지만 그 기계를 움직이는 건 살아있는 인간들이다. 그때 발전소는 하나의 유기체가 된다. 바닷물이 냉각수로 순환되고, 굴뚝에서는 환경설비를 거쳐 공기와 접촉한다. 화석에너지는 열에너지를 거쳐 운동에너지, 전기에너지로 흩어진다. 지구와 에너지를 교류하는 거대한 생명체인 것이다. 또한 이 에너지의 교류는 지구 엔트로피의 엄청난 증가를 일으킨다.

2.
   제레미 리프킨은 <공감의 시대>에서 "<공감-엔트로피의 역설>을 해결하는 것이 인류가 살아남아 번창할 수 있는지 여부를 가늠 하는 시금석이 될 것"이라고 말하며 우리에게 과제를 던지고 있다. 그리고 그는 해결책으로 '공감의 확장'을 한 가닥의 희망으로 제시했다. 공감은 감정을 공유한다는 의미이고, 난 이것이 관계의 핵심이라고 생각한다. 인간관계 뿐 아니라, 모든 생물체와 나누는 관계의 핵심이 감정을 공유하는 것이다. 감정을 공유한다면 기쁜 마음은 배가될 것이고, 아픈 마음은 치유될 것이다. 아픔이 계속된다면 그 원인을 찾아내어 다른 선택을 하려고 할 것이다. 혼자 힘으로 어렵다면 주변에 도움을 청할 것이고, 그 아픔에 공감한 사람들은 기꺼이 참여해 방법을 찾아 줄 것이다.

3.
   난 지구가 아프다는 것에 '공감'한다. 더욱이 나의 일터가 지구의 아픔에 한 몫 한다는 것에 가슴이 아프다. 그나마 위안 삼는 것은 환경관련 업무를 맡아 이 거대한 생명체의 환경적 악영향을 줄이는 최전선에 있다는 것과, 개인적으로 에너지전환과 생태주의를 지향하는 시민단체들의 회원이라는 것이다. 하지만 나의 경제적인 기반이 되는 일터이기에 무작정 반대할 수 없고, 화석연료로 지탱되는 문명이 너무도 거대하기에 직원일 뿐인 나의 역할이 무의미하게 느껴질 때도 많다.

   하지만 관계는 우리의 선택으로 그 내용과 질을 변화시킬 수 있다. 화력발전소는 기계 덩어리가 아니라 관계로 이루어진 생명체이다. 우리는 공감이 전 세계적으로 확장되는 인류통합의 시대를 살고 있다. 그 중심에 에너지 체계가 있고, 지금은 그 체계를 화석에너지가 움직이고 있다. 이 또한 우리의 선택이었다. 우리는 다른 선택을 할 수 있다. 우리가 매일 쓰는 전기가 어디에서 오는지 생각해 보자. 매일 타는 교통수단을 움직이는 힘이 어디에서 오는지 생각해 보자. 석탄, 석유, 가스가 태워지면 태워질수록 아파하는 지구의 고통을 느껴보자. 이제 당신의 도움이 필요하다. 아픔을 공감한다면 이제 다함께 다른 방법을 찾아보자.

   화력과 원자력 중심의 에너지 체계를 바꾸는 정책을 지지하고, 실제 그런 활동을 하고 있는 단체의 후원자나 자원봉사자가 되자. 가능하다면 친환경・신재생에너지를 사용한 제품을 선택하고, 가정에서 최소한의 에너지로 사는 방법을 고민해보자. 또한 개인적 범위를 넓혀 협동조합이나 지역공동체를 지향하자. 그러다 보면 중앙집중적인 화력발전소가 사라지고 우리가 사는 지역 곳곳에 오염걱정 없는 발전소가 생기는 날이 오지 않겠는가! 이정도 말로는 근거 없는 낙관론이란 비판을 피할 수 없다는 것을 잘 안다. 우리사회 에너지 정책의 방향은 아직도 대규모・대용량 발전소 위주이고, 중앙집중적 시스템을 지향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지금 내가 할 수 있는 말은 이정도 뿐이다. 힘없이 포기하지 말고 기쁜 마음으로 새로운 선택을 하자. 관계는 우리의 선택으로 변화시킬 수 있을 것이라 믿으며, 우리 아름다운 전체를 만들어가는 한 송이 꽃이 되자.

IP *.166.205.132

프로필 이미지
christian louboutin uk
2011.08.16 11:51:23 *.209.140.100
Beijing BEIJING, Aug. 15 (Xinhua reporter ZHANG Dong-dong) Today, China's christian louboutin uk rich and powerful is rapidly emerging. Overseas Chinese University and the Social Sciences Academic Press release of 15 overseas Chinese christian louboutin sale Blue Book shows the top 40 billionaires in China is close to the average wealth of $ 3.42 billion, higher than the global average wealth of 241 richest Chinese in $ 2.014 billion christian louboutin shoes higher than 69.8%. Titled "Overseas Chinese Study 2011," the Blue Book that the vast christian louboutin sale majority of the world's wealth is still concentrated in the Chinese businessmen in Southeast Asia and Hong Kong and Taiwan, but mainland China's rise and the rich countries the christian louboutin pumps sale rise of Chinese high-tech companies, Chinese entrepreneurs are changing the world the geographical christian louboutin shoes uk distribution of wealth and industry structure. Blue Book, said reference data, in Forbes (Forbes) 2010 annual national or regional top 40 richest people in mainland christian louboutin sandals sale China and Hong Kong and Taiwan and, Malaysia, Thailand, the Philippines, Indonesia and other ASEAN five countries christian louboutin shoe selected for a total of 241 Chinese These wealthy Chinese total $ 485.55 billion of wealth, the average wealth of $ 2,015,000,000. christian louboutin shoes uk Among them, the ASEAN five countries selected 124 richest Chinese combined wealth $ 152.02 billion, the average wealth of $ 1.23 billion; 37 selected Hong Kong Chinese tycoons christian louboutin pumps sale wealth of $ 126.5 billion total, the average wealth of $ 3.42 billion; Taiwan christian louboutin sandals sale selected 40 total wealth of $ 70,260,000,000 rich average wealth of $ 1.76 billion; mainland China selected 40 total $ 136.66 billion richest wealth, the average wealth of $ 3.42 billion, close christian louboutin shoes to the average wealth of the rich in Hong Kong. LYM0816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349 [7기지원] 2주. 관계란 무엇인가? [3] 강훈 2011.02.28 2540
3348 관계란 무엇인가? [7] 오경희 2011.02.28 2876
3347 2. 관계란 무엇인가? [1] [1] 미선 2011.02.28 5116
3346 [7기 레이스_2주차] 관계란 무한도전이다. [1] 미나 2011.02.28 2365
3345 [7기도전-칼럼] 관계란 무엇인가? [2] 유재경 2011.02.27 2350
» [7기 칼럼2] 관계란 무엇인가? file [1] [17] 양경수 2011.02.27 3841
3343 [7기 레이스] 관계란 무엇인가 [1] 김경인 2011.02.27 3168
3342 [7기 연구원지원] 관계란 무엇인가 (둘째 주 컬럼) 박주선 2011.02.27 2384
3341 [7기] 관계란 무엇인가? 이루미 2011.02.27 2481
3340 몸과 마음이 아플 때 한수진 2011.02.25 4530
3339 [먼별3-24] <뤽 베송의 "그랑블루"> 심연을 통해 무의식 세계를 다룬 영화 [2] 수희향 2011.02.23 3479
3338 [0019]서서 자는 말.- 정진규 [1] 햇빛처럼-장호식 2011.02.23 3380
3337 [예비 7기] 1주차_새로 태어난다는 것은 [2] 김서영 2011.02.21 2469
3336 [7기 연구원-지적 Race]살다보면 칼럼 장윤영 2011.02.21 2129
3335 [7기연구원지원-1차 칼럼] 새로 태어난다는 것은 무슨 뜻인가? [4] 박주선 2011.02.21 2381
3334 [1주차 칼럼] 새로 태어난다는 것은 무슨 뜻인가? [1] 전민정 2011.02.21 2529
3333 [7기 연구원 지원] 새로 태어난다는 것은 무엇인가? file [1] 이현정 2011.02.21 2359
3332 [7기지원] 1주. 새로 태어난다는 것은 무슨 뜻인가? [4] 강훈 2011.02.21 2934
3331 7기 새로 태어난다는 것 file [3] 이루미 2011.02.21 2465
3330 [7기_칼럼] 새로 태어난다는 것은 무슨 뜻인가? file [1] 양경수(양갱) 2011.02.21 34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