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커뮤니티

살다

여러분이

  • 써니
  • 조회 수 3156
  • 댓글 수 2
  • 추천 수 0
2011년 4월 4일 11시 28분 등록
                                    
                                             우아한 뒷간


                                                                                                                                박노해


                    내가 땅을 갖게 되는 날
                    나는 맨 먼저 아주 우아한 뒷간을 지으리라
                    앉아서 보면 풍광이 좋고 시원한 바람이 통하는 
                    송진 냄새나는 나무로 지은 멋진 해우소를 
                    나의  똥오줌은 햇볕과 바람에 잘 삭아서 
                    논밭과 화단에 훌륭한 거름이 되리라


                    똥오줌이 무엇인 줄 알지 않는가
                    나팔꽃이고 수선화꽃이고 국화꽃이며
                    상추 오이 고추 감자 녹두 배추이며
                    황금빛 벼 이삭이며 김 오르는 흰 쌀밥이며
                    엄마의 젖이며 아가의 보드라운 살결이며
                    내 품에 안기는 그녀 입술의 촉감이며
                    우리 몸속을 돌고 있는 따뜻한 피가 아닌가


                    내가 이 지상에 가장 먼저 짓는 건축물은
                    아주 멋지고 시원한 뒷간이리라
                    그 순간 나는 폐기물 덩어리 인간에서
                    폐기물이란 없는 자연인으로 진보하리라




......................................................................................................................................


 시인의 시 제목에서 영화 <우아한 세계: 송광호 주연>가 언뜻 기억되면서 묘한 대비를 이루네요.
내게 꿈은 있다고 하지만 좀 더 깊이 들어가 그 꿈의 구체적인 정체성에 대해 다시금 생각해 보게 하고요. 
그것들을 향해 어떻게 세워 나아가야 할까를 숙고하게 합니다.

IP *.31.52.66

프로필 이미지
명석
2011.04.04 22:57:38 *.108.80.74
써니가 올려준 시 읽다가 나도 비슷한 시가 떠올라 하나 옮겨 보네요.
오늘 처음으로 진달래를 두 송이  보았어요.
좋은 봄날 되기 바래요, 써니.

양변기 위에서  -- 김선우

어릴 적 어머니 따라 파밭에 갔다가 모락모락 똥 한무더기 밭둑에 누곤 하였는데 어머니 부드러운 애기호박잎으로 밑끔을 닦아주곤 하였는데 똥무더기 옆에 엉겅퀴꽃 곱다랗게 흔들릴 때면 나는 좀 부끄러웠을라나 따끈하고 몰랑한 그것 한나절 햇살 아래 시남히 식어갈 때쯤 어머니 머릿수건에서도 노릿노릿한 냄새가 풍겼을라나 야아---망 좀 보그라 호박넌출 아래 슬며시 보이던 어머니 엉덩이는 차암 기분을 은근하게도 하였는데 돌아오는 길 알맞게 마른 내 똥 한무더기 밭고랑에 던지며 늬들 것은 다아 거름이어야 하실 땐 어땠을라나 나는 좀 으쓱하기도 했을라나

양변기 위에 걸터앉아 모락모락 김나던 그 똥 한무더기 생각하는 저녁, 오늘 내가 먹은 건 도대체 거름이 되질 않고

프로필 이미지
써니
2011.04.05 11:34:01 *.97.72.54
저도 좋아하는 시인이예요. 

어느 새 개나리가 활짝 피었던데, 이 아름다운 봄날에 꽃구경을 못 가네요. 아이, 참... .  ㅠㅠ     ^-^*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29 [예비7기] 4주차_신이란 무엇인가 김서영 2011.03.14 2360
728 [7기 연구원지원] 신이란 무엇인가 file [2] [3] 박주선 2011.03.14 3167
727 [먼별3-31] <소피 마르소의 피델리티> 결혼의 뿌리란 과연 무엇일까.. 수희향 2011.03.16 4455
726 이별 - 원태연 [1] 햇빛처럼 2011.03.16 2738
725 진실/ 박노해 - 변경 연구원 3차 면접을 준비하는 벗들에게 [11] 써니 2011.03.17 3505
724 오늘은 한 권도 팔지 못 했다 [6] 김신웅 2011.03.21 2660
723 갈라진 심장/ 박노해 [1] 써니 2011.03.22 3427
722 열필로 生을 쓴다/박노해 [2] 써니 2011.03.23 2760
721 [먼별3-34] <조쉬 하트넷의 "모짜르트와 고래"> 모짜르트와 고래는 어떤 연관이 있을까.. [2] 수희향 2011.03.23 3650
720 [예비 7기 연구원] 그날, 김용규 선생님과의 만남 file [17] 김경인 2011.03.23 3511
719 바닥에 있을 때/박노해 [2] 써니 2011.03.24 3117
718 첫마음의 길/ 박노해 써니 2011.03.25 4278
717 꽃은 달려가지 않는다/ 박노해 써니 2011.03.28 3772
716 [예비 7기 연구원] 면접여행을 다녀와서.. file [6] 김경인 2011.03.28 4159
715 푸념 푸념 열매 정지은 2011.03.28 3002
714 [021]봄이오면 - 박태문 [2] 햇빛처럼 2011.03.30 3364
713 [먼별 3-36] <독일영화: 클라라> 슈만의아내, 브람스의연인 그러나 클라라.. 수희향 2011.03.30 6135
712 [0022] 사랑한다는 이유로 햇빛처럼 2011.04.02 3379
711 [0023]소박한 바람 [2] 햇빛처럼 2011.04.04 3002
» 우아한 뒷간/ 박노해 [2] 써니 2011.04.04 3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