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경인
- 조회 수 11915
- 댓글 수 119
- 추천 수 0
1. 제목 '나'를 찾아 떠나는 여행
2. 나의 전체적인 목표
○ 내가 원하는 것, 잘 할 수 있는 것, 기억되고 싶은 나의 모습을 찾는다.
○ 나의 과거, 현재, 미래가 담긴 개인사(Me Story) 초고를 완성하여
'구본형 변화경영 연구소 7기 연구원' 준비의 토대를 마련한다.
○ 출석율 100% 달성하고, 새벽 2시간을 평생습관으로 체화시킨다.
3. 중간 목표
○ 여행의 중간 성과물로 매주 한 꼭지 이상의 글을 '김경인닷컴'에 등재한다.
○ 나는 무엇을 잘 할 수 있는가? (1~2주)
○ 나는 어떤 사람으로 기억되고 싶은가? (3~6주)
○ 스승을 찾아서 (7~10주)
○ 기타 연구원 지원서 항목 작성 (11~14주)
○ '나를 찾아 떠나는 여행'을 책으로 편집하여 제본 (15주)
4. 목표 달성 과정에서 직면하게 될 난관과 극복 방안
○ 야근, 회식, 친구들과의 모임 등으로 인한 늦은 취침과 수면부족
가족, 회사동료 및 친구들에게 나의 결심을 알리고 협조를 구하여
최소한 12시 이전에 잠자리에 든다.
부득이한 사정이 존재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새벽 4시에 관해서는 어떠한 타협과 예외도 있을 수 없다.
○ 새벽의 눈뜸, 그 찰나의 갈등
알람이 울린다. 새벽 3시 반. 조금만 더 눈을 붙이자.
이 찰나의 갈등을 이겨내고 지체 없이 일어나 PC를 켜고, 시원한 물을 마신다.
차가운 물로 세수를 하여 정신을 맑게 한다.
그리고 '용맹정진(勇猛精進)' 한다.
○ 완벽주의 및 형식주의 탈피
잘 쓰지 못해도 좋다.
배우고 익히고 깨달은 것을 나만의 방식으로 기록하면 된다.
완성되지 않아도 좋으니 과감히 마침표를 찍고, 다음 단계로 넘어간다.
부족한 것은 지속적으로 보완해 나가면 된다.
중요한 것은 전체 윤곽(Big Picture)의 완성 및 One Cycle이다.
5. 목표를 달성했을 때 내 삶에서 일어날 긍정적인 변화 묘사
○ '새벽의 2시간'이 '일상'에 녹아 들어와 '나의 일부'가 되다.
나의 법명인 ‘일효(日曉)’와 같은 사람이 되었다.
'태양이 떠오르는 새벽'이 곧 나를 상징하게 되었다.
인디언 식의 이름 하나가 생겼구나.
너무나 마음에 든다.
○ '나' 전문가가 되어, '삶의 방향'을 찾다.
'너는 누구니?' 라는 질문에 더 이상 멍한 표정을 짓지 않아도 된다.
멋지고 당차게 나만의 아포리즘 하나를 꺼내어 이야기 해 줄 수 있게 되었다.
처음 시작한 그곳으로 돌아왔다.
내 삶은 머나먼 저 과거와 미래에 존재하지 않는다.
바로 지금 이 순간, 바로 이곳이 내 삶의 새로운 시작이자 종점이다.
파랑새를 찾아 먼 여행을 떠났지만 파랑새는 내 곁에 있었다.
○ 나에게 평생의 희열을 안겨줄 '천직(天職)'을 위한 초석을 마련하다.
존재에 대한 방향성을 찾았으니, 존재와 어울리는 밥벌이를 찾는 여행을 떠난다.
지금 몸담고 있는 직장은 나를 책임져 주지 않는다.
나를 책임질 수 있는 것은 오로지 나 자신이다.
나의 재능과 강점을 자본 삼아
나를 나답게 빛나게 하고, 일용할 양식을 줄 수 있는
나만의 '필살기(必殺技)' 를 찾아 출발!
6. 목표를 달성했을 때 나에게 줄 보상
○ 개인사 초고를 책으로 편집하여 나와 아내에게 선물한다.
○ 어디서든 자유롭게 글을 쓸 수 있는 '넷북'을 선물한다.
○ 아내와 3박 4일 간의 제주도 여행을 다녀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