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단군의

/

1단계,

첫

  • 민혜은
  • 조회 수 3112
  • 댓글 수 15
  • 추천 수 0
2011년 10월 11일 23시 34분 등록

IMG_1777-1.jpg  바늘겨레, 바늘집





어떤 것을 잊거나 연결시키는 것 그러기에 없어서는 안되는 것
그래서 천을 이어 하나의 용도로 탄생시키는 것
규방공예에서는 그 역할이 바늘입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옛날 옛적 조선시대 여인들에게 있어 바늘이라는 것은
없어서는 안 되는 항상 휴대하고 다니는 필수 물건이었습니다.
의복을 짓는 다던가 수선할 때 지금 시대와는 달리 모든 것을 수작업으로 했기 때문에
시일이 많이 걸렸을 뿐 아니라 여인들의 일상은 항상 바느질과 함께 하였기 때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늘 바늘은 여인들에게 손에 잘 보이는 곳 눈에 잘 띄는 곳에 있어야 되는 존재이었지요.
 

재미있는 것은 19세기 학자인 이규경(李圭景)의 『오주연문장전산고』에 의하면
당시 우리나라의 바늘은 중국에서 수입하였다고 합니다.
중국에서 더 앞선 자수의 문화와 복식이 발달 하였기에 품질이 더 좋고
종류가 다양 했었던 것이 아닌가 하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다시 돌아와 항상 가지고 다니던 이 바늘을 보관하기 위해서 만들어 진 것이


바로 바늘겨레, 바늘집 입니다.
침낭이라는 머리카락이나 솜을 넣고 만든 방석 같은 것
에서
좀 더 술이나 수를 놓아 화려함을 더해 항상 몸에 지닐 수 있게
휴대용 케이스처럼 만든 것이 바로 바늘집노리개 이구요.

 

머리카락을 넣는 것은 바늘이 녹이 슬거나 먼지가 끼거나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넣었다고 합니다. 그럼 바늘을 더 오래 보관 할 수 있었다고 하네요.
이런 면에서 우리 선조들의 지혜를 엿볼 수 있는 듯싶습니다.


어느덧 새벽 기상도 이제 한 달을 넘어 가고 있습니다.
문득 대문의 글을 쓰면서 잠시 이런 생각을 했었습니다.
사람은 한 사람 한 사람 마다 바늘과 같은
중요한 인생의 가치관이 있을 것이라고 말이지요.
아주 조그마한 것이라도 결코 양보 할 수 없는 그런 것들...
 

수호장님께서 하신 말씀처럼
심연의 한 가운데 아주 깊은 곳에 있지만
사실 그 깊은 곳의 물이 제일 맑다는 것
어쩌면 제일 순수하고 아무것에도 얽매임 없는
무의 상태이지 않을까 합니다.


그 곳을 지날 때 무엇을 마주하게 되더라도 해쳐나갈 수 있는
하나의 지표가 될 수 있는 그런 가치관이 있다면 무사히 거칠 수 있지 않을까
그래서 지나고 나면 반듯이 알게 되는 것들이 생기고
이해하고 받아들일 수 있는 너그러움이 자리잡지 않을까..
그런 생각을 해봅니다. 여러분들은 그런 인생의 가치관들이 있으신지요?
 

집 앞의 나뭇잎들의 색이 소리 없이 조용히 움직이고 있습니다.
바람에는 하루하루 겨울의 기운이 스미고 있는 것이 느껴집니다.
그렇게 시간은 흐르고 계절이 또 다시 흐르려 하고 있습니다.
감미로운 가을이 가고 겨울이 오기까지의 심연의 공간 속
부족 여러분의 시간에 풍요로움과 고요함과 평안이 있으시길 바랍니다.



 

IP *.124.191.18

프로필 이미지
최미경
2011.10.12 03:39:00 *.125.116.243
출석합니다^^
프로필 이미지
이길수
2011.10.12 04:07:33 *.136.215.25
좋은 아침입ㄴ다
프로필 이미지
김소혜
2011.10.12 04:17:04 *.72.73.122
안녕하세요 :)
프로필 이미지
김소혜
2011.10.12 05:58:56 *.72.73.122
오늘 아침은 바늘집의 고운 색에 잠이 깬거 같습니다~ 감사해요~^^
프로필 이미지
2011.10.12 04:25:04 *.109.38.133
잠이 충분치 않으니 비몽사몽이네여~ 그래도 대문사진의 고운 결 작품사진의 아름다움에 감탄할 정신은 남아있네여 ^^
프로필 이미지
이정범
2011.10.12 04:29:11 *.246.78.119
출석합니다.
프로필 이미지
한만일
2011.10.12 04:37:48 *.239.156.213
규방공예의 대가답게 사람의 인생을 바늘에 비유 하시는군요 ㅋㅋ 좋은 글 감사합니다. 출석합니다 ^_^
프로필 이미지
2011.10.12 04:57:32 *.252.45.45
출석합니다~
프로필 이미지
민혜은
2011.10.12 05:02:24 *.246.77.95

출석합니다.
프로필 이미지
이병일
2011.10.12 05:26:40 *.208.165.184

출석함니다
프로필 이미지
이상훈
2011.10.12 05:29:40 *.11.231.219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출석합니다
프로필 이미지
박정례
2011.10.12 05:42:43 *.161.78.66
출석합니다. 감사합니다.
프로필 이미지
이정범
2011.10.12 07:08:51 *.252.174.232
지민주 - am 4:30
안윤선 - am 4:47

이상 문자 출석체크입니다.
프로필 이미지
안윤선
2011.10.12 08:32:37 *.225.81.15
오늘도 사진 속 작품은 고운 빛을 내네여. 감사합니다 ^^
프로필 이미지
은미
2011.10.12 21:03:23 *.109.60.182
혜은님 참 예뻐요.
작품도 글도 혜은님의 마음도 결이 참 반듯하고 고와 읽는 저도 고와질 것 같아요.
기대만발^^ 입니다.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 [단군5기_현무부족_038일차] 없어서는 안되는 것 file [15] [1] 민혜은 2011.10.11 3112
2340 [단군 5기_청룡부족_038일차] 소원을 이루는 법 file [14] 강경화 2011.10.12 2385
2339 [단군5기_현무부족_039일차] 오방색과 현무 file [16] 민혜은 2011.10.12 5202
2338 [단군 5기_청룡부족_039일차] 다리 위에서 찾은 우정 file [10] 강경화 2011.10.13 2460
2337 [단군5기_현무부족_040일차] 행복한시간 file [14] 민혜은 2011.10.13 2031
2336 [단군 5기_청룡부족_040일차]숨막히도록 멋진 인생 file [14] 강경화 2011.10.14 2183
2335 [단군5기_현무부족_041일차] 또 다른 가능성 file [13] 민혜은 2011.10.14 4550
2334 [단군 5기_청룡부족_041일차]곧 멋진 날이 온다. file [11] 강경화 2011.10.15 2660
2333 [단군5기_현무부족_042일차] 외눈박이 물고기 처럼 file [14] 민혜은 2011.10.16 2565
2332 [단군 5기_청룡부족_042일차]있는 그대로의 나 file [11] 강경화 2011.10.16 2410
2331 [단군5기_현무부족_43일차] 빨강의 열정이 살아나고 있습니다. [16] 한은경 2011.10.16 2206
2330 [단군 5기_청룡부족_043일차]피해자 놀이는 그만 file [10] 강경화 2011.10.17 2197
2329 [단군5기_청룡부족_출석부] 6주차 - 심연으로의 초대 file [5] 병진 2011.10.17 2565
2328 [단군5기_현무부족_44일차] 감나무, 그 주홍빛의 생명력! [13] 한은경 2011.10.17 2743
2327 <<단군5기-현무부족-출석부>>6주차 -반환점을 향하여 GO GO [7] 이은미 2011.10.17 2250
2326 [단군 5기_청룡부족_044일차]참 좋았던 기억 file [11] 강경화 2011.10.18 2648
2325 [단군5기_현무부족_45일차] 노란 나비 한 마리 날아갑니다. file [11] 한은경 2011.10.18 2274
2324 <<단군5기 3차세미나 안내>> 나의 천복과 의식수준 (참석여부 댓글등재요망) file [21] 이은미 2011.10.18 2215
2323 [단군 5기_청룡부족_045일차] [12] 차정원 2011.10.19 2338
2322 [단군 5기_청룡부족_046일차] '장난' file [13] 강경화 2011.10.19 26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