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혜은
- 조회 수 5196
- 댓글 수 16
- 추천 수 0
오방보
오방색과 현무
이제 제법 날씨가 추워지는 요즈음입니다. 현무 여러분께서도 건강관리 잘하시고 단단히 여미는
새벽 활동 이어가시기를 바라면서 오늘은 우리 단군의 후예와도 어느 정도 관련이 있는
오방에 대해서 이야기를 할까 합니다.
오방은 오방정색이라고도 하며, 황(黃), 청(靑), 백(白), 적(赤), 흑(黑)의 5가지 색을 말합니다.
음과 양의 기운이 생겨나 하늘과 땅이 되고 다시 음양의 두 기운이
목(木)ㆍ화(火)ㆍ토(土)ㆍ금(金)ㆍ수(水)의 오행을 생성하였다는 음양오행사상을 기초로 하고 있지요.
오행에는 오색이 따르고 방위가 따르는데, 중앙과 사방을 기본으로 삼아
황(黃)은 중앙, 청(靑)은 동, 백(白)은 서, 적(赤)은 남, 흑(黑)은 북을 뜻합니다.
여러분께서도 흔히 잘 아시는 사방신의 의미를 담기도 하는데요.
바로 흑, 즉 북은 우리 부족 즉 현무를 뜻 하는 것은 잘 아실 것이라 생각합니다.
또 한 음양오행사상에 기반 하여 오방색은 우리생활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습니다.
음귀를 몰아내기 위해 혼례 때 신부가 연지곤지를 바르는 것,
나쁜 기운을 막고 무병장수를 기원해 돌이나 명절에 어린아이에게 색동저고리를 입히는 것,
간장 항아리에 붉은 고추를 끼워 금줄을 두르는 것,
잔치상의 국수에 올리는 오색 고명,
붉은 빛이 나는 황토로 집을 짓거나 신년에 붉은 부적을 그려 붙이는 것,
궁궐ㆍ사찰 등의 단청, 고구려의 고분벽화나 조각보 등의 공예품 등등
이렇게 오방색은 각각의 의미로서 액을 막거나 음귀를 몰아내거나 하여
그 의미를 부여하여 쓰이는 토속적인 것들이 많습니다.
조사해보며 이런 저런 사실에 마치 옛날이야기를 듣는 기분으로
정말 즐겁게 자료를 찾았습니다.
알아보는 김에 그래서 우리부족의 상징인 현무에 대해서도 조사를 하였습니다.
오방과도 관련이 있기에 더 추가적으로 자료를 찾아보았는데요.
현무는 거북과 뱀이 합한 모습으로 상징하는 색은 흑색,
동방의 청룡(靑龍), 남방의 주작(朱雀), 서방의 백호(白虎)와 함께 4신(神)중의 하나로
북방을 관장한 신수로 태수(물)를 다스리고 겨울을 상징하는 태음신이라 합니다.
또 한 음양오행설에서는 인간의 지혜를 관장 한다 칭하기도 하며,
생명의 끝, 곧 죽음을 알리는 북쪽의 수호신으로 여겨지기도 하였다 합니다.
또 한 생물학 적으로는 이 세상에 존재하는 360종류의 갑각류의 우두머리이기도 하다고 하네요.
그런데 현무를 칭하는 글에 그 이름을 붙인 연유를 이렇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현무는 거북과 뱀이 모인 것을 이른다. 북방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현(玄)이라고 이르고,
몸에 비늘과 두꺼운 껍질이 있으므로 무(武)라고 한다.”
현무에 대한 것은 여러 추측이 있다고 합니다. 갑각류로 훨씬 이전에 실재 존재하였다고도 하며
상상의 동물이라고 하기도 합니다. 어떠한 설과 의견이 맞을지는 저도 잘 모르겠습니다.
다만 현무의 지혜를 관장하는 능력과 곧 올 겨울을 다스리는 힘과 기상이
우리 부족님들께도 함께 스미어 다가올 어떠한 난관에도 지혜롭게 극복하고 해쳐나갈 수 있는
힘을 얻으실 수 있으시기를 바랄 뿐입니다.
정말 힘겨 울 때가 있습니다. 마음으로 울고 싶을 때도 있었습니다.
요즈음은 저도 일어남의 힘겨움에 체력의 한계에 부딪히고 있다는 것이 느껴졌습니다.
그렇지만 그냥 왜? 라는 생각은 하지 않기로 했습니다. 그렇게 생각하기 시작하면
아마도 한없이 생각할 것이 늘 것이기에 아무 생각 없이 한다.
때로는 생각이 없는 것이 힘겨움을 버티는 데는 괜찮은 방법인 것도 같다는 생각을 해봅니다.
하루가 지나가고 또 하루가 지나가도 우리가 서 있는 시간은 현제 입니다.
미래도 곧 현제가 되듯 부족 여러분께서도 현제 그 시간에서 가장 행복하시기를 바랍니다.

혜은님 이토록 아름답고 깊게 설명해주시니 감사합니다.
저는 그저 가벼이 현무는 뱀과 거북이의 결합으로 북방의 신이며 검은색으로 상징된다는 것만 알았지...
이토록 깊이는 몰랐습니다. 그렇군요. 현무는지혜를 관장하고 겨울을 다스리는 군요.
힘들어하셨던 울 현무부족 여러분들 오늘 새벽 대문 보시면 힘이 팍팍 나겠는데요...
맞습니다. 때로는 왜? 보다는 '그냥한다' 가 필요할 때가 있더군요.
저도 요즘은 '그냥한다'라는 마음으로 달리고 있답니다.
오늘 하루는 울 현무부족분들 모두 '왜?' 보다는 '그냥한다'라는 마음으로
이 새벽속에 깊이 스며보시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