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헌
- 조회 수 28261
- 댓글 수 67
- 추천 수 0
100일동안
내면의 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매일 그 소리를 기록하리라
고통과 의심과 열광과 영감에 차 있는
온갖 삶을 기록하여
영혼이 거칠어지는 것을 막을 것이며
마치 소리굽쇠로 악기의 현을 조율하듯
영혼의 음조를 맞추어 가리라
마음속 깊은 곳에 불을 비추듯
100일의 여정을 시작하며 햇살이 스며들기를......
IP *.149.140.210
내면의 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매일 그 소리를 기록하리라
고통과 의심과 열광과 영감에 차 있는
온갖 삶을 기록하여
영혼이 거칠어지는 것을 막을 것이며
마치 소리굽쇠로 악기의 현을 조율하듯
영혼의 음조를 맞추어 가리라
마음속 깊은 곳에 불을 비추듯
100일의 여정을 시작하며 햇살이 스며들기를......
댓글
67 건
댓글 닫기
댓글 보기

이헌
226일차
1박 2일의 출장길. 15명이 무궁화호 기차를 탔다.
5시간 30분의 긴 시간을 위해 준비한 이론서가 지루하거나 길지않게 하다.
Rogers의 인간중심적 접근이 잘 넘어가 전체적으로 다시 읽을 수 있었다.
Rogers에 의하면 인간을 포함하는 모든 유기체는 그것 자체가 갖고 있는 고유한 가능성들을 건설적인 방향으로 성취하고자 하는 실현 경향성(actualizing tendency)을 갖고 있다. 이것은 우주 속에서 작용하고 있는 형성적 경향성(formative tendency)의 부분으로서 생득적인 것이며, 인간에게 있어서는 행동의 최상의 동기로 간주되고 있다.
자아실현은 죽을 때까지 계속되는 과정이고 개개 인간은 자아실현을 향한 선천적인 경향성을 가지고 있다
좋은 삶 이상적인 삶(good life)을 사는 사람을 충분히 기능하는 인간(the fully functioning person)의 특징
1. 경험에의 개방성이 증가되어 가는 과정
2. 삶의 순간 순간에서 보다 충실하게 살고자 하는 경향
3. 자신의 유기체(organism)에 대한 신뢰를 증대해 가는 과정
어떤 상황에 대한 나의 전체적 유기체의 감각(sensing)이 나의 지성(intellect)보다 더 신뢰로움을 알다.
상담학을 처음 접한 후 Rogers의 이론은 실천현장의 신념에 많은 영향을 받았다.
다시 읽어도 재미있다.
방법을 고민하는 과정 중에 다시 한번 점검해 보고
나를 이해하는 탐구활동에 자극을 받는다.
1박 2일의 출장길. 15명이 무궁화호 기차를 탔다.
5시간 30분의 긴 시간을 위해 준비한 이론서가 지루하거나 길지않게 하다.
Rogers의 인간중심적 접근이 잘 넘어가 전체적으로 다시 읽을 수 있었다.
Rogers에 의하면 인간을 포함하는 모든 유기체는 그것 자체가 갖고 있는 고유한 가능성들을 건설적인 방향으로 성취하고자 하는 실현 경향성(actualizing tendency)을 갖고 있다. 이것은 우주 속에서 작용하고 있는 형성적 경향성(formative tendency)의 부분으로서 생득적인 것이며, 인간에게 있어서는 행동의 최상의 동기로 간주되고 있다.
자아실현은 죽을 때까지 계속되는 과정이고 개개 인간은 자아실현을 향한 선천적인 경향성을 가지고 있다
좋은 삶 이상적인 삶(good life)을 사는 사람을 충분히 기능하는 인간(the fully functioning person)의 특징
1. 경험에의 개방성이 증가되어 가는 과정
2. 삶의 순간 순간에서 보다 충실하게 살고자 하는 경향
3. 자신의 유기체(organism)에 대한 신뢰를 증대해 가는 과정
어떤 상황에 대한 나의 전체적 유기체의 감각(sensing)이 나의 지성(intellect)보다 더 신뢰로움을 알다.
상담학을 처음 접한 후 Rogers의 이론은 실천현장의 신념에 많은 영향을 받았다.
다시 읽어도 재미있다.
방법을 고민하는 과정 중에 다시 한번 점검해 보고
나를 이해하는 탐구활동에 자극을 받는다.

이헌
227일차
기차에서 책을 읽다 문득 떠오른 어린시절 이야기를 탐구하기 위해
심리학개론서를 다시 꺼내든다.
자세하게 알고 싶은 욕망과 흥미는 무엇일까?
아마도 당면하고 있는 문제들과 관련이 있으렸다.
정확한 나이는 잘 기억나지 않는다. 초등학교 저학년쯤 되었을까
그 당시 살았던 금산이라는 작은 섬의 황암이라는 마을에 잘 생긴 동네 오빠.
어느 날 밤 집옆에 있던 교회 뒷뜰로 오빠를 따라갔던 기억이 생각나고
지금 당면하고 있는 문제와 어떻게 연결되어 있고 해석하여야 하는지
계속 풀어내기 위한 작업이 다른 것에 몰입을 방해한다.
나를 이해하기 전에는 도약할 수 없을 것 같다.
기차에서 책을 읽다 문득 떠오른 어린시절 이야기를 탐구하기 위해
심리학개론서를 다시 꺼내든다.
자세하게 알고 싶은 욕망과 흥미는 무엇일까?
아마도 당면하고 있는 문제들과 관련이 있으렸다.
정확한 나이는 잘 기억나지 않는다. 초등학교 저학년쯤 되었을까
그 당시 살았던 금산이라는 작은 섬의 황암이라는 마을에 잘 생긴 동네 오빠.
어느 날 밤 집옆에 있던 교회 뒷뜰로 오빠를 따라갔던 기억이 생각나고
지금 당면하고 있는 문제와 어떻게 연결되어 있고 해석하여야 하는지
계속 풀어내기 위한 작업이 다른 것에 몰입을 방해한다.
나를 이해하기 전에는 도약할 수 없을 것 같다.

이헌
우리 인생은 꽃처럼 한번은 찬란하게 핀다.
그런데 자신의 잠재력이 때를 만나 하나의 꽃으로 피어나려면,
깊은 인생으로 들어서는 3가지 문을 지나야 한다.
첫 번째 문은 깨우침의 문이다.
소명에 대한 각성과 고유한 잠재력이 발견되는 대각성의 순간이 깨우침이다.
두 번째인 견딤의 문을 들어서면 오래 참아내야 한다.
침묵의 10년을 고독하게 지내며, 선택한 삶에 끈질기게 달라붙어야 한다.
마지막 문은 넘어섬의 문이다.
스승을 넘어서고, 나 자신을 넘어서야 비로소 우주의 위대함에 닿을 수 있다.
그리고 우리는 알게 된다. 그들의 삶이 하나의 시였듯이 자신의 삶도 그렇게 되리라는 것을.
사부님의 『깊은 인생』일부분이다.
나는 첫번째 문에 머물러 있는듯하다.
소명에 대한 각성이 명료하지 못하여 선택한 삶에 끈질기게 달라붙어 있어도 힘들다.
그런데 자신의 잠재력이 때를 만나 하나의 꽃으로 피어나려면,
깊은 인생으로 들어서는 3가지 문을 지나야 한다.
첫 번째 문은 깨우침의 문이다.
소명에 대한 각성과 고유한 잠재력이 발견되는 대각성의 순간이 깨우침이다.
두 번째인 견딤의 문을 들어서면 오래 참아내야 한다.
침묵의 10년을 고독하게 지내며, 선택한 삶에 끈질기게 달라붙어야 한다.
마지막 문은 넘어섬의 문이다.
스승을 넘어서고, 나 자신을 넘어서야 비로소 우주의 위대함에 닿을 수 있다.
그리고 우리는 알게 된다. 그들의 삶이 하나의 시였듯이 자신의 삶도 그렇게 되리라는 것을.
사부님의 『깊은 인생』일부분이다.
나는 첫번째 문에 머물러 있는듯하다.
소명에 대한 각성이 명료하지 못하여 선택한 삶에 끈질기게 달라붙어 있어도 힘들다.
VR Lef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