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 양경수
  • 조회 수 2809
  • 댓글 수 8
  • 추천 수 0
2011년 12월 26일 01시 51분 등록

 s_이것은귤이아니다.JPG

<이것은 귤이 아니다, 사진/양경수>

 

귤을 찍어놓고 귤이 아니라고 한다면 당신의 반응은 어떨까? 이 사람이 귤이 뭔지 몰라서 그러나 할지도 모르고, 이게 귤이 아니라 청견이나 한라봉 같은 다른 종류의 품종인가? 하고 생각할지도 모르겠다. 조금 다른 관점을 가진다면 단지 '귤'이라고 불리는 저것 자체로  볼 수도 있을 것이다. 무슨 말이냐면 '귤'이란 이름으로 저것을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있는 저 자체를 그대로 본다는 얘기다. '귤'이란 이름은 사람들이 약속한 기호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언어를 버리고 저 질감과 저 빛깔을 그대로 보고 느끼는 것이다. 더 나아가 아예 저것을 환영으로 볼 수도 있다. 위의 저 사진은 이미지에 불과하니까, 귤의 실재가 아니라 카메라 이미지 센서에 투영된 흔적이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사진은 있는 그대로를 보여준다고 믿어지지만 사물 그 자체는 아니다. 카메라와 렌즈를 거쳐 어딘가에 새겨진 이미지인 것이다. 물론 그림은 물감이라는 재료를 통해 손으로 그려지기에 환상이라는 생각이 쉽게 이해가 되지만, 사진은 현실을 기계적으로 그대로 담고 있기에 받아들이기 쉽지는 않을 것이다. 허나 사진을 실재 그대로 믿는 것은 순진한 생각이다. 사진도 이미지의 합성, 후보정, 그리고 프레임으로 잘라내는 방법 등 에 따라서 수많은 거짓말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1929년 르네 마그리트는 담배 파이프를 사진처럼 그려놓고는 그 밑에 '이것은 담배 파이프가 아니다' 라고 써놓은 작품을 내놓았다. 사진을 통해 본다는 '새로운 시각'이 세상에 알려지던 시점이었다. 마그리트는 사진가는 아니었지만, 사진이 가진 가장 큰 특징을 실재를 닮은 그림을 통해서 뒤집어서 물었다. 저 사물을 닮은 사진이 가리키는 것은 무엇인가? 귤인가? 귤이라 불리는 저것인가? 아니면 그냥 환상에 불과한가? 훗날 마그리트의 작품은 마르셀 뒤샹의 <샘>과 함께 가장 많은 논쟁을 불러일으킨 회화 작품으로 남게 된다. 왜냐! 사람들에게 생각을 하게 했기 때문이다. 저게 귤이 아니면 뭐지? 진짜 귤은 뭘까? 그런 생각 말이다. 서양 철학에 익숙한 사람들은 플라톤의 '이데아'까지 떠올렸을지 모른다. 사물의 원형인 이데아 말이다. 그들은 세상에 드러나는 것은 이데아의 그림자에 불과하며, 진짜 이데아는 이성으로서 파악할 수 있다는 생각을 할 수도 있다. 이렇게 사색은 계속될 수 있지만 마그리트가 의도한 것은 질문을 던지는 것 자체에 있다. 귤 사진을 보여주고, 제목에 귤이 아니라고 쓰면, 그럼 진짜 귤은 뭐지? 저것은 진짜로 뭐지? 라는 질문이 떠오를 수밖에 없는 것이다. 한 마디로 저것의 본질은 무엇인가? 라는 질문이다. 질문을 떠올리며 고민하는 순간 우린 철학자가 된다.

실제로 진짜 철학자 미셀 푸코도 마그리트의 그림을 보고 1973년 <이것은 파이프가 아니다>라는 유명한 논문을 썼다. 기호철학자이자 구조주의자로 평가되는 미셀 푸코는 언어로 짜여진 틀 안에서 인간의 자아나 관념이 만들어진다고 보았다. 그런데 파이프 그림 하나가 그 단단하게 짜여진 틀에 구멍을 낸 것이다. 단지 사람들에게 질문을 하게 만듦으로써 말이다.

 

이제 대상의 본질이 뭐냐는 질문에 대한 대답은 우리에게 달렸다. 우리 스스로 찾아야 한다. 그림이나 사진 속에는 답이 없다. 다양한 대답이 있을 수 있겠지만 난 개인적 경험에서 해답의 일면을 본 것 같다. 2002년 매일 점심마다 걷던 남산의 어느 화창한 산책길이었다. 어느 순간 머릿 속이 맑아지더니 나무와 내가 하나 된 생생한 느낌을 받은 체험을 했다. 생각이나 언어 이전의 경험이었다. 나무뿐이 아니라 그 순간 모든 것들과 하나가 된 느낌이었다. <현대물리학과 동양사상>의 저자 프리초프 카프라 Fritjof Capra 가 어느 해변에서 느꼈던 하나 된 느낌과 비슷할 거라고 믿는다. 카프라는 이렇게 말한다. "바로 그 순간 나는 나를 둘러싸고 있는 모든 것이 하나의 거대한 우주적 춤을 추고 있다는 것을 돌연 깨달았다."

 

동양의 장자는 "눈으로 보아서 알 수 있는 것은 형(形)과 색(色) 뿐이다." 고 했다. 눈은 믿을 만하지 못하다. 내 시력은 많이 좋지 않다. 안경이 없으면 내 안경을 찾기도 쉽지 않다. 그러니 더욱 믿을 수가 없다. 차라리 동양적 사고에서는 '안다는 것'은 '보는 것'이 아니라 '사랑한다는 것'과 통한다. 신영복 선생은 '사랑하지 않는 것도 알 수 있다는 생각을 버려야 한다. 애정 없는 타자와 관계없는 대상에 대하여 알 수 있다는 환상을 버려야 한다.' 라고 말씀하신다. 난 내가 사랑하는 것들과 감정을 나누고 공감할 수 있다. 그리고 내가 관계 맺는 것들을 통해 세상을 알 수 있다. 그렇게 엮어지는 관계망을 통해 내 삶이 결정된다.

 

'귤이 아닌 귤 사진' 하나로 동양사상의 '관계론'이라는 관점까지 왔다. 이렇게 사진이 던지는 질문에 대답하려고 하면서 평범했던 우리가 철학자가 된다. 정답이 중요한 것이 아니다. 찾아가는 과정과 그 속에서 겪는 체험이 좋은 것이다. 검정 종이 위에 귤을 하나 놓고 삼각대를 세운 후, 조명을 비추며 기계적 조작을 거쳐 사진을 찍는 과정. 그리고 제목을 달고 글을 쓰며 사색하는 경험. 그리고 삶으로 그 사색을 체험하고 검증하는 것이 행복한 것이다. 이것이 생활사진가의 즐거움이다.

 

 

 

IP *.111.51.110

프로필 이미지
2011.12.26 10:42:47 *.163.164.177

"이것은 귤이 아니다"라는 철학적 관점과 그 이면에 있는 사유의 방식에 대해서

무게 중심의 90%이상을 두고 읽었다. 재미있고, 유익했다.

그런데 마지막에 반전같은 것이 있었다.

마지막에 있는 3줄이다.

글의 포인트가 갑자기 생활사진가의 즐거움으로 넘어갔다.

 

그래서 나는 헷갈린다. 경수가 이야기하고 싶은 것이

귤하나로 철학을 할 수 있는 방법과 그것을 표현하는 사진의 힘인가.

아니면 마지막에 있는 3줄인가.

 

중요하다면 중요하고, 그렇지 않다면 중요하지 않을 수 있지만

그대의 열렬한 독자의 한 사람으로서

그 부분에서 읽는 느낌이 덜컹 하고 걸립니다.

프로필 이미지
2011.12.26 18:40:03 *.166.205.132

맞아요. 밤에 써가다 보니, 뒷 힘이 부족했네요.

빨리 마무리하고자 하는 마음때문에...

수정해볼께요~!

고맙습니다.

 

형, 프로필 사진 어떻게 넣었어요?

개인정보 수정에서 넣어도 안 되던데...

프로필 이미지
2011.12.26 15:57:30 *.194.110.155

인용구의 양을 좀 줄여보는 건 어때요? 난 초점이 흐려지는 느낌이 들어서...

오빠의 요지는 일상의 사진 찍기를 통해 하루는 철학자가 되어 볼 수 있다는 건가요? 

프로필 이미지
2011.12.26 18:41:18 *.166.205.132

오케~ 내가 봐도 너무 많구나.^^

고마워~~ 미선!

 

 

프로필 이미지
2011.12.26 18:42:21 *.136.129.27

암만 봐도 귤이야...ㅋㅋㅋㅋㅋ

그런 사진을 아니라고 말해나가는 과정이 좋아요.

결국은 단순한 귤 하나로 엄청난 철학가가 되어가는 거야.

인용구를 좀 단순화하는 것이 좋을 듯 해요. 훈이오빠가 좋은 글이라면 어려운 거야..ㅋㅋㅋ

(룸야...생각 좀 하고 살아라.  하는 오빠가 그려지는군)

아는 게 너무 많아서 많은 사람의 말을 늘어 놓는 것이 아니라 오빠의 사유를 좀더 따라가는 것이 어떨까?

이것은 파이프가 아니다. 요걸 가지고 오라버니 글로 풀어보는 것이 어떨까하는 조금 단순한 생각.

오빠의 글에서 사진이 살아나. 사진이 중심이 되는 느낌이예요.

그래서인지 글에 오빠의 애정이 느껴져. 조금씩 부릉부릉 하는 느낌.

난 진짜 오라버니 팬~ 아직도 아름다움에 대한 칼럼이 잊혀지지 않아~~~

프로필 이미지
2011.12.26 20:38:39 *.166.205.131

그러게 루미식으로 내 속에서 모두 나와야 하는데

난 아직 끌어다 연결시켜 풀어놓는게 익숙하다 보니 말야.

 

부릉부릉~~   이제 시동 걸고, 신나게 달리자!

서문도 쓰고 목차도 쓰고.... 허걱... 산너머 산이구먼~ 점프~ !

프로필 이미지
2011.12.26 19:43:05 *.143.156.74

융 자서전을 감명깊게 읽은 경수의 관점이 묻어나는 글인듯.

귤 하나 가지고 이런 생각을 할 수 있는 경수의 철학적 사고력에 경의를 표하며

생활사진가가 접근할 수 있는 영역이 이렇게 다양할 수 있다는 사실에 놀랐다.

앞으로의 이야기들도 기대되는걸.

 

그런데 최근 두 개의 컬럼이 '이것은 xx이 아니다'류 흐르는 것 같아.

다음 칼럼은 다른 이야기가 나오면 좋을 것 같아.

수고했다, 경수야!!

프로필 이미지
2011.12.26 20:40:06 *.166.205.131

프로필 사진 짱인데요!

 

그래요.

주제는 '사진'이지만 다양한 이야기들을 기대해 주삼!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792 나만의 대응비법서 만들기 [4] 루미 2011.12.31 2197
2791 [꿈그림] 캘리그라피를 주제로 8시간 동안의 전쟁 file [1] 한정화 2011.12.29 3789
2790 수고했어 (바디로션 바르기 수정본) 루미 2011.12.27 2591
2789 나비 No.35-1 오지랖 주의보(수정) file [1] 재키 제동 2011.12.27 4195
2788 #13. 이상과 현실의 경계에 서다. 수정 미나 2011.12.27 2669
2787 35. 누구를 위한 비교인가?-수정본 [1] 미선 2011.12.27 2362
2786 [사진으로 생각하기] 이것은 귤이 아니다(수정본) file [2] 양갱 2011.12.26 3182
2785 성공 키워드 아줌마를 보라 - 14. 섹슈얼리티(sexuality) 당신은? [1] 書元 2011.12.26 2734
2784 바디로션 바르기 - 루미 [4] [1] 재키 제동 2011.12.26 2667
2783 [Sasha] 사샤의 하루모험 - 모험 초대 [10] 사샤 2011.12.26 2347
» [사진으로 생각하기] 이것은 귤이 아니다 file [8] [2] 양경수 2011.12.26 2809
2781 35. 누구를 위한 비교인가? [4] 미선 2011.12.25 2262
2780 #13. <신치의 모의비행> '이상과 현실의 경계에 서다' 외 [10] 미나 2011.12.25 2204
2779 [늑대35] 생각을 춤추게 하라 [12] 철학하는 인사쟁이 2011.12.25 2160
2778 나비 No.35 - 오지랖 주의보 file [10] 재키 제동 2011.12.25 3389
2777 책 제목에 대한 아이디어를 부탁합니다. [13] 백산 2011.12.23 2564
2776 [Sasha] 사샤의 하루모험 (서문 ver.3) file [4] 사샤 2011.12.19 2716
2775 [사진으로 생각하기] 예술은 우스운거야! file [12] 양경수 2011.12.19 53155
2774 [늑대 34] 차이를 만드는 힘, 열정 [9] 강훈 2011.12.19 3299
2773 내 안의 숨은 매력 찾아내기 [5] 루미 2011.12.19 25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