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본형
- 조회 수 2070
- 댓글 수 2
- 추천 수 0
아침에 아이를 데려다 주고 돌아오는 길에 홍은시장에 들렀습니다, 가끔 나는 시장에 들러 부시시한 모습으로 아내의 심부름을 해 줍니다. 그러다 보니 시장안에 내가 알게된 몇 사람들이 생겼습니다.
안 쪽으로 들어가면 생선 파는 곳이 몇 군데 나옵니다. 내가 가는 곳은 키 작은 아저씨가 파는 어물전입니다. 어느 날 지나다 등푸른 커다란 고등어가 갓 잡아 올린 것처럼 싱싱하여 두 마리를 소금 뿌려 구이용으로 가져왔는데 아주 맛있게 먹었습니다., 그래서 단골이 되었습니다, 주로 고등어와 생태를 사 가지고 옵니다.
내가 그 앞을 지날 때마다 주인 얼굴을 슬그머니 쳐다보는 집이 있습니다. 마늘하고 생강을 파는 집인데, 그 집에는 눈이 크고 얼굴이 희고 갸름한 예쁜 부인이 있습니다. 그래서 늘 그 집에서 삽니다. 송창식 노래에 나오는 담배가게 아가씨를 닮은 아줌마입니다.
또 한 분은 시장 입구에서 밤 대추 약과 곳감등을 파는 할머니인데, 얼굴이 참 깨끗하고 조용합니다. 이상하게 그 할머니를 뵈면, 젊었을 때의 몸가짐 조신한 처녀가 연상됩니다. 기품이 있고 웃음이 선량하고 예쁩니다. 돌아가신 할머니 생각이 납니다. 이번 가을엔 갈 때마다 밤 한 되를 사가지고 옵니다.
또 한 사람은 가끔 시장통에서 만나는데, 커피통을 실고 다니며 상인들에게 뜨거운 커피를 파는 아줌만데 사회성이 뛰어나다는 것을 직감적으로 느끼게 하는 사람입니다. 주차를 하고 모자를 - 아침에는 숫 없는 머리털이 범벅이 되기 때문에 자주 모자를 씁니다 - 쓰다 우연히 눈이 마주쳤는데, 이 여인도 모자를 추스리고 있었습니다. 씩 웃고 스쳐간 적이 있습니다. 아직 그 아줌마 커피를 마셔 보지는 못했습니다. 커피 한잔 마시고 나면 아마 이상한 소문이 시장 안을 돌아다닐 듯이 보입니다. ‘그 사람 홀애빈데, 부인은 바람나 도망가고... 애가 하나 있는데...그래도 돈은 좀 있데... ’ 이런 소문 같은 것 말입니다.
오늘의 장바구니 시세는 콩나물은 놀랄만큼 많이 주고 1000원, 커다란 두부 한 모에 1000원, 무 한 개에 500원, 알타리 한 단에 1500원, 고등어 물좋고 싱싱한 커다란 놈은 4000원, 그리고 알들어 있는 생태 최상품은 7000원입니다. 알이 굵은 밤은 작은 되박으로 한 되에 4000원, 커다란 단감 하나에 1000원.
아이들이 나보고 주부라고 놀립니다. 그러면 내가 그래요.
"시장은 일상의 중요한 현장이다. 정치가가 시장을 모르면 서민이 고생하고, 경영자가 시장을 모르면 경영자체를 할 수 없다."
댓글
2 건
댓글 닫기
댓글 보기
VR Lef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