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홍승완
- 조회 수 1916
- 댓글 수 5
- 추천 수 0
안녕하세요, 홍승완입니다.
다음의 내용은 1차 모임에서 정해진, 연구 활동 윤곽을 정리한 것입니다.
---------------------------------------------------------------------
구본형 변화경영 연구소 연구진 1차 미팅
* 일시: 3월 19일 토요일 오후 2시 ~ 7시 30분
* 참석인원: 11명(구본형 선생님, 연구진 전원)
* 장소: 민들레 영토- 신촌모점
* 주제: ① 자기소개 ② 연구 방향과 방법 ③ 온라인(홈페이지) 활용 방안
■ 우리의 비전과 목표
1. 비전
“마음이 원하는 것을 삶과 일상의 중심으로 끌어 들인다.”
2. 목표(2년 후 회고)
“나는 내가 가장 관심 있는 분야에 대하여 한 권의 책을 썼다. 나는 내 삶 속에서 무엇에 관심이 있는지 알아냈다. 그리고 그 일에 대해 생각했다. 그리고 내 생각을 표현했다. 그것이 이 책이다. 나는 이 작업을 소중한 일이라고 생각했다.”
■ 연구 방법 및 과제
1. 매주 한권씩 좋은 책을 읽고 정리한다.
“매일 조금씩 인용하고, 정리하고, 주석을 간단히 달아 두었다. 그리고 ‘나라면 어떻게 썼을까?’라는 저자의 시선으로 옮겨 갔다.”
- 과제: 도서 정리(5page)
- 1주일에 1권씩, 1년간 총 50권의 도서를 읽고 정리한다.
- 50권의 도서 중 10권은 공통도서이고 40권은 팀별 선택 도서이다.
- 3가지 관점에서 정리: ① 직접 인용 3page ② 소감 1page ③ ‘내가 저자라면’ 1page
- ‘도서 정리’는 홈페이지 메뉴 중에서 '좋은 책 book review'에 올린다.(변경될 수 있음)
- 매일 읽고 더하고 빼면서 완성해 나갈 것.
2. 매주 작은 주제 하나에 대하여 한 꼭지의 글을 쓴다.
“1년 후 50개의 글 꼭지를 가지게 되었고, 이것은 책의 기초 역할을 해 주었다.”
- 과제: 주간 칼럼(1page 이상)
- 전공 분야 및 관련된 주제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표현한다.
- ‘주간 칼럼’은 홈페이지 메뉴 중에서 ‘함께 생각해봐요’에 올린다.(변경될 수 있음)
3. 오프라인 모임에서 각자(팀)의 주제에 대해 발표하고, 동료들의 도움을 받고 심화한다.
“우리는 서로에게 좋은 스승이며 서로를 밝히는 빛이 될 수 있었다.”
- 오프라인 모임은 수련의 자극제이자 촉진제 역할을 한다.
- 모임은 2달에 3회, 1년간 총 20회.
- 모임은 원칙적으로 월요일에 진행한다.
- 총 20회의 모임 중에서 2~3회는 1박 2일의 워크샵으로 집중 학습을 한다.
4. 연구 과정에서 일반 참여자의 on-line feedback을 중요하게 여긴다.
“관심 있는 사람들이 함께 즐기고 고민할 수 있는 수준의 컨텐츠를 만들어냈다. 그리고 책의 정리와 칼럼(주제 발표)에 대해 일반 참여자들이 해준 코멘트에 반드시 답변했다. 답변 또한 기술이다.”
- 제목, 문체, 전개방식, 인용, 사례, 재미, 깊이, 시의적절성, 완성도 등의 부분에서 일반 참여자들의 피드백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5. 팀별 프로젝트를 통해 자신의 분야에 대한 현장감을 높이고, 다른 분야와의 연결 고리를 모색한다.
“우리는 서로 다른 시선으로 살펴주었고 지원해 주었다.”
- 과제: 팀 프로젝트
- 유사한 관심사를 가진 연구원이 모여 팀을 구성하여 서로 협력하고 수련한다.
■ 우리의 원칙과 규칙
1. 나라는 수수께끼를 푼다.
2. 힘써 서로 돕는다.
3. 매일 한다.
- 부칙1. 정해진 시간에 on-line 과제를 하지 않으면 off line meeting에 올 수 없다.
- 부칙2. 3번 off line meeting에 참가할 수 없게 되면 연구원을 스스로 그만두어야 한다.
■ 공통 도서(10권)
1. 인문 도서
① 강의 : 신영복 저 / 돌베개 / 2004년 11월
② 삼국유사 : 일연 저 / 김원중 역 / 을유문화사 / 2002년 11월
③ 역사 속의 영웅들 : 윌 듀런트 저 / 안인희 역 / 황금가지 / 2002년 08월
④ 가자, 아메리카로! : 리오 휴버만 저 / 박정원 역 / 비봉출판사(BBbooks) / 2001년 09월
⑤ 생각의 지도 : 리처드 니스벳 저/최인철 역 / 김영사 / 2004년 04월
- ‘생각의 지도’는 맨 마지막에 읽고, 나머지 4권의 읽는 순서는 자율임.
2. 경영 도서
① 피터 드러커의 책 1권 자유롭게 선택
② 성공하는 기업들의 8가지 습관 : 짐 콜린스 / 김영사 / 2002년 10월
③ 죽은 경제학자의 살아있는 아이디어 : 토드 부크홀츠 / 김영사 / 1994년 10월
④ 소유의 종말 : 제레미 리프킨 / 민음사 / 2001년 05월
⑤ 구본형의 도서: 익숙한 것과의 결별 / 그대 스스로를 고용하라 / 나, 구본형의 변화 이야기
- ⑤의 세 도서는 각 팀별로 한 권씩 선택하여 읽을 것임.
- 읽는 순서는 자율임.
---------------------------------------------------------------------
IP *.76.245.126
다음의 내용은 1차 모임에서 정해진, 연구 활동 윤곽을 정리한 것입니다.
---------------------------------------------------------------------
구본형 변화경영 연구소 연구진 1차 미팅
* 일시: 3월 19일 토요일 오후 2시 ~ 7시 30분
* 참석인원: 11명(구본형 선생님, 연구진 전원)
* 장소: 민들레 영토- 신촌모점
* 주제: ① 자기소개 ② 연구 방향과 방법 ③ 온라인(홈페이지) 활용 방안
■ 우리의 비전과 목표
1. 비전
“마음이 원하는 것을 삶과 일상의 중심으로 끌어 들인다.”
2. 목표(2년 후 회고)
“나는 내가 가장 관심 있는 분야에 대하여 한 권의 책을 썼다. 나는 내 삶 속에서 무엇에 관심이 있는지 알아냈다. 그리고 그 일에 대해 생각했다. 그리고 내 생각을 표현했다. 그것이 이 책이다. 나는 이 작업을 소중한 일이라고 생각했다.”
■ 연구 방법 및 과제
1. 매주 한권씩 좋은 책을 읽고 정리한다.
“매일 조금씩 인용하고, 정리하고, 주석을 간단히 달아 두었다. 그리고 ‘나라면 어떻게 썼을까?’라는 저자의 시선으로 옮겨 갔다.”
- 과제: 도서 정리(5page)
- 1주일에 1권씩, 1년간 총 50권의 도서를 읽고 정리한다.
- 50권의 도서 중 10권은 공통도서이고 40권은 팀별 선택 도서이다.
- 3가지 관점에서 정리: ① 직접 인용 3page ② 소감 1page ③ ‘내가 저자라면’ 1page
- ‘도서 정리’는 홈페이지 메뉴 중에서 '좋은 책 book review'에 올린다.(변경될 수 있음)
- 매일 읽고 더하고 빼면서 완성해 나갈 것.
2. 매주 작은 주제 하나에 대하여 한 꼭지의 글을 쓴다.
“1년 후 50개의 글 꼭지를 가지게 되었고, 이것은 책의 기초 역할을 해 주었다.”
- 과제: 주간 칼럼(1page 이상)
- 전공 분야 및 관련된 주제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표현한다.
- ‘주간 칼럼’은 홈페이지 메뉴 중에서 ‘함께 생각해봐요’에 올린다.(변경될 수 있음)
3. 오프라인 모임에서 각자(팀)의 주제에 대해 발표하고, 동료들의 도움을 받고 심화한다.
“우리는 서로에게 좋은 스승이며 서로를 밝히는 빛이 될 수 있었다.”
- 오프라인 모임은 수련의 자극제이자 촉진제 역할을 한다.
- 모임은 2달에 3회, 1년간 총 20회.
- 모임은 원칙적으로 월요일에 진행한다.
- 총 20회의 모임 중에서 2~3회는 1박 2일의 워크샵으로 집중 학습을 한다.
4. 연구 과정에서 일반 참여자의 on-line feedback을 중요하게 여긴다.
“관심 있는 사람들이 함께 즐기고 고민할 수 있는 수준의 컨텐츠를 만들어냈다. 그리고 책의 정리와 칼럼(주제 발표)에 대해 일반 참여자들이 해준 코멘트에 반드시 답변했다. 답변 또한 기술이다.”
- 제목, 문체, 전개방식, 인용, 사례, 재미, 깊이, 시의적절성, 완성도 등의 부분에서 일반 참여자들의 피드백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5. 팀별 프로젝트를 통해 자신의 분야에 대한 현장감을 높이고, 다른 분야와의 연결 고리를 모색한다.
“우리는 서로 다른 시선으로 살펴주었고 지원해 주었다.”
- 과제: 팀 프로젝트
- 유사한 관심사를 가진 연구원이 모여 팀을 구성하여 서로 협력하고 수련한다.
■ 우리의 원칙과 규칙
1. 나라는 수수께끼를 푼다.
2. 힘써 서로 돕는다.
3. 매일 한다.
- 부칙1. 정해진 시간에 on-line 과제를 하지 않으면 off line meeting에 올 수 없다.
- 부칙2. 3번 off line meeting에 참가할 수 없게 되면 연구원을 스스로 그만두어야 한다.
■ 공통 도서(10권)
1. 인문 도서
① 강의 : 신영복 저 / 돌베개 / 2004년 11월
② 삼국유사 : 일연 저 / 김원중 역 / 을유문화사 / 2002년 11월
③ 역사 속의 영웅들 : 윌 듀런트 저 / 안인희 역 / 황금가지 / 2002년 08월
④ 가자, 아메리카로! : 리오 휴버만 저 / 박정원 역 / 비봉출판사(BBbooks) / 2001년 09월
⑤ 생각의 지도 : 리처드 니스벳 저/최인철 역 / 김영사 / 2004년 04월
- ‘생각의 지도’는 맨 마지막에 읽고, 나머지 4권의 읽는 순서는 자율임.
2. 경영 도서
① 피터 드러커의 책 1권 자유롭게 선택
② 성공하는 기업들의 8가지 습관 : 짐 콜린스 / 김영사 / 2002년 10월
③ 죽은 경제학자의 살아있는 아이디어 : 토드 부크홀츠 / 김영사 / 1994년 10월
④ 소유의 종말 : 제레미 리프킨 / 민음사 / 2001년 05월
⑤ 구본형의 도서: 익숙한 것과의 결별 / 그대 스스로를 고용하라 / 나, 구본형의 변화 이야기
- ⑤의 세 도서는 각 팀별로 한 권씩 선택하여 읽을 것임.
- 읽는 순서는 자율임.
---------------------------------------------------------------------
댓글
5 건
댓글 닫기
댓글 보기
VR Left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734 | 작품전있습니다. [2] | 숲기원 | 2005.04.01 | 1883 |
733 | 벌써 지쳐가나봐요. [2] | ken | 2005.03.31 | 1977 |
732 | 풀,꽃, 달팽이... | 구본형 | 2005.03.27 | 1797 |
731 | [re] 가르치는 즐거움 | recypert | 2005.03.27 | 1719 |
730 | 못된 딸 되기 [3] | recypert | 2005.03.27 | 2005 |
729 | 쿨한여자 되기는 정말 힘들다 [3] | 마음의 개척자 | 2005.03.25 | 2574 |
728 | 3월 16일의 메모 | idgie | 2005.03.25 | 1843 |
727 | 12명의 부인을 둔 사나이 | 수채화 | 2005.03.25 | 1976 |
726 | 저는 이 곳에서... [1] | 강미영 | 2005.03.24 | 1814 |
725 | 퇴근길 [5] | idgie | 2005.03.23 | 2185 |
724 | 연구원생활 이틀째 소감 [3] | 박노진 | 2005.03.22 | 2010 |
723 | 개처럼 번다는 것의 의미 [1] | 수채화 | 2005.03.22 | 2157 |
722 | 연구원 활동에 대한 개인적인 생각 [3] | 홍승완 | 2005.03.22 | 1874 |
» | 변화경영 연구진 1차 미팅 정리 [5] | 홍승완 | 2005.03.21 | 1916 |
720 | 제주에 무사히 도착 하였습니다.. [3] | 강미영 | 2005.03.21 | 2323 |
719 | [re] 프리마켓 [2] | recypert | 2005.03.21 | 2098 |
718 | [일뚱!] 연구원 1차 모임 후기 - 자유형식으로 ^^ [9] | 강미영 | 2005.03.20 | 2128 |
717 | 늙은 어부의 명상 | idgie | 2005.03.19 | 2367 |
716 | [re] 다시쓰는 이력서양식 | recypert | 2005.03.17 | 2031 |
715 | 네가 바로 그것이다 [3] | 구본형 | 2005.03.17 | 199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