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piphany
- 조회 수 2044
- 댓글 수 1
- 추천 수 0
나는 전업작가를 선언한 32세 이후부터 본격적으로 달리기를 시작했다. 그 이전까지 나는 하루 60개피 이상의 담배를 피워대는 헤비스모커였으나, 달리기를 시작하면서 담배를 끊었다. 1천장의 소설을 일 년쯤 걸려서 쓰고 다시 그것을 10번이건 15번이건 처음부터 고쳐쓰는 것이 나의 소설 작업인데, 그 과정이란 정말 머리 속이 하얗게 느껴질 정도로 힘들고 고된 작업이며 대단한 체력과 인내력이 요구된다. 모처럼 소설가가 되었으니 끝까지 해낼 수밖에 없다고 작정한 그 무렵에, 그렇다면 체력과 인내력을 키우기 위해서 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인가를 모색했다. 그것이 달리기였다.
지난 16년 동안 나는 일주일에 엿새, 하루 평균 한 시간 정도, 쉬지 않고 달려왔다. 일년동안 달리기를 쉰 날은 불과 며칠 되지 않을 것이다. 제법 바쁜 인기작가로서 하루도 빼놓지 않고 달릴 수 있는 비결은 하루를 아예 23시간으로 생각하는 것이다. 물론 어느 날은 달리고 싶지 않은 날도 있다. 그러나 뛰는 것은 당연한 일이며, 습관을 들이면 그런 날도 달릴 수 있다. 인생의 고통에 비한다면 하루 10km 달리는 것은 일도 아니다. 그리고 사실 달리면서 고통이 아닌, 즐거움을 느낀다.
정기적으로 운동을 시작하면 그때부터의 체력이 그대로 유지된다. 나의 경우는 33세에 달리기를 시작했는데, 50대에 접어든 지금도 그때의 체력이 유지된다고 생각한다. 순발력은 나이가 먹으면 어쩔 수 없이 떨어지지만 체력은 그렇지 않다. 그래서 달리기는 빨리 시작할수록 좋다.
작가의 일이란 집중력과 지구력이라는 동전의 양면으로 이루어진다. 가령 4년을 걸려 쓴 작품이 있다고 할 때 그 4년 동안 매일 쓰는 것은 아니고 약 석달을 집중적으로 빼내고(글을) 다른 일 조금 하는 체 하다가 다시 석달을 틀어박힌다.
실은 그 석달 안에서도 가장 중요한 것은 보통 2주 동안이다. 대부분의 모든 것이 그 2주 동안에 정해진다. 그 2주간의 시점에 도달하기 위해서 그 이전의 두달 반이 필요한 것이다. 이때에는 매일매일 책상 앞에 앉아서 뭐든지 좋으니까 계속 쓴다. 기분이 내키지 않든, 힘들든, 즐겁든 그냥 쓴다. 새벽 4시부터 점심 때까지 계속 쓰다보면 어느날 '들어가고 싶은 바로 그 곳'(정확히 옮긴다면 하루키는 '가버린다'는 표현을 쓰고 있다)에 도달하게 된다. 결국 지구력이 뒷받침되어야 집중력이 생기는 것인데, 이것은 장거리 달리기와 매우 흡사하다.
20대나 30대에는 원고 마감이 닥쳐야 밤을 새워 몰아쓰는 때도 있었으나 40, 50대가 되면 그런 파워는 떨어진다. 마치 홈런 타자의 타구가 어느 날 펜스 앞에서 떨어지거나 평범한 외야 플라이가 되는 때가 오는 것이다. 아주 희귀한 천재가 있다면 그렇지도 않겠지만 나는 그런 천재가 아니니 그런 파워를 유지하는 것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만들어놓자고 계획했다. 두달 반 정도 그 동안 열심히, 또박또박 하고 있으면 2주간의 중요한 시기가 온다는 시스템인데, 그 시스템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육체적인 힘이 필요하다.
처음 달리기를 시작할 때는 소설가란 그런 일을 하면 정작 글은 쓰지 못할 것이란 충고를 많이 들었다. 그러나 나는 거꾸로 건강하면 건강할수록 자기 안에 있는 불건강한 것이 나온다고 믿는 편이다. 소설은 불건강한 것인가? 틀림없이 나도 그렇다고 생각한다. 독이 없으면 소설이 되지 않는 것이다. 그러나 그 독을 꺼내기 위해서 몸 자체는 건강해야 한다. 달리 표현하자면 소설은 자기 안에 숨어있는 짐승을 꾀어내는 작업이다. 그 때 체력이 없으면 그 짐승이 소설가 자신을 잡아먹을 것이다.
- 무라카미 하루키
-----------------
댓글
1 건
댓글 닫기
댓글 보기
VR Left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814 | 가는데까지 가거라 [2] | 숲기원 | 2005.06.26 | 2653 |
813 | 교실 풍경 [4] | 서정애 | 2005.06.24 | 2070 |
812 |
2005 한국기타협회 정기연주회에 초대합니다. ![]() | 이선이 | 2005.06.23 | 2385 |
811 | 여름, 꽃기운 펄펄한 젊은이 [4] | 서정애 | 2005.06.23 | 2103 |
810 | 횡성 나들이에서 만난 작은 풍경들과 천남성(天南星) [5] [7] | 손수일 | 2005.06.23 | 2934 |
809 | 사진 올렸어요. [3] | 염구섭 | 2005.06.22 | 2163 |
808 | 걸음을 멈추고 | idgie | 2005.06.22 | 2287 |
807 | 꿈행사후기(선물과 돈나눔...) [9] | 꿈의기원 | 2005.06.22 | 2070 |
806 | 안녕하세요? [4] | 서정애 | 2005.06.21 | 2062 |
805 |
'함께' 불타는 장작되기 ![]() | ReVitalizer | 2005.06.21 | 1927 |
804 | 내 꿈의 충전소 [7] | 김달국 | 2005.06.20 | 2469 |
803 | 아름다운 모임이었습니다. [4] | 홍승완 | 2005.06.20 | 1885 |
802 | -->[re]지금까지 연락 주신 분들 | 박노성 | 2005.06.17 | 1628 |
801 | ---->[re]고속및 직행버스 안내합니다. | 숲기원 | 2005.06.17 | 2203 |
800 | -->[re]버스 안내 추가 | 박노진 | 2005.06.16 | 1880 |
799 | 6월 18일 '내 꿈 행사' 차량 이동 안내 [5] | 박노진 | 2005.06.16 | 1947 |
798 | 삶을넘 심각하게 생각하지 말아주세요 [1] | 숲기원 | 2005.06.16 | 1969 |
797 |
, ![]() | idgie | 2005.06.15 | 1913 |
» | 육체가 바뀌면 삶도 바뀐다 [1] | epiphany | 2005.06.15 | 2044 |
795 | '내 꿈 프로그램'에 대한 작은 생각 [3] | 박노진 | 2005.06.15 | 215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