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Vitalizer
- 조회 수 2063
- 댓글 수 1
- 추천 수 0
사업과 NGO활동, 이 두 마음의 교차점을 찾지 못했었는데
오늘에서야 둘을 만족시켜줄 개념을 알아냈습니다. (가끔은 TV를 볼 필요도 있네요..^^;)
"사회적기업"
재활용을 매개로 한 사회적기업(1인기업)의 (영향력있는)사장이 되는것.
상상만으로도 멋집니다.
해야 하는게, 할 수 있는게, 많습니다. 그 많은 것중에 제게 맞는 하나를 고르는게 숙제입니다.
백수 1달차. 리싸이클전문가 씀. cafe.naver.com/recypert
-------------------------------------------------------------
“사회적 기업”
광의의 의미는 “일종의 기업으로서 상업적인 이윤보다 사회적 목적 추구에 초점을 두고 있지만 일종의 기업으로서 그 생존과 성장에 필수적인 수준의 이윤은 창출해야 하는 조직체”라고 할 수 있다.
사회적 기업은 유럽 전역에서, 특히 프랑스, 스페인, 포르투갈 그리고 이탈리아에서 보편적으로 통용되고 있는 “사회적 경제” 개념의 일부로 규정될 수 있다. 사회적 경제 부문에는 자원주의 조직, 교육 기관, 그밖에 비영리적으로 운영되는 여러 기관들이 포함되며 이와 혼용되고 있는 또 다른 개념은 “제 3부문”으로서 민간부문 및 공공부문과 명확한 차별성을 지니는 영역으로 개념화되고 있다.
유럽연합위원회(European Commission)은 지역 고용창출과 관련해 잠재력이 높은 사회적 기업의 종사 분야로 다음과 같은 17가지 분야를 꼽았다 :
- 재택보호 서비스
- 지역방범 서비스
- 탁아 서비스
- 비행 청소년 지도 서비스
- 쇠락한 공공 시설물 재건
- 정보화 산업 및 관련 기술교육
- 지역 교통 서비스
- 주택 서비스
- 지역사회 상점
- 관광
- 시청각 서비스
- 문화유산 재개발
- 문화적 개발
- 쓰레기 처리 서비스
- 수자원 서비스(water service)
- 오염 방지 서비스
- 환경․생태 활동
- 자연보호
다음과 같은 형태의 조직체들이 영국에서 가장 보편적인 유형의 사회적 기업이다.
- 노동자 생산협동조합 : 노동자들에 의해 민주적으로 운영 및 통제되는 기업으로서 그 기본적인 목표는 조합원들에게 적절한 수준의 보상과 고용의 안정성을 보장하는 것에 있다.
- 소비자 협동조합 : 사용자 혹은 소비자들에 의해 민주적으로 운영 및 통제되는 기업으로서 그 기본적인 목표는 조합원들의 욕구에 부합하는 서비스 제공에 있다.
- 주택 협동조합 : 거주자들에 의해 민주적으로 운영되고 통제되는 부동산(주택, 건물)
- 신용 조합(Credit Unions) : 소규모의 저축 및 여신 협동조합으로 주로 빈곤지역에서 위험부담이 높은 대출자들에게 높은 이자율에 여신을 하는 상업적인 고리대금 업자들 및 투자기관들에 대한 대안으로 형성된 것이다.
- 지역사회 기업(Community Businesses) / 지역사회 협동조합 : 지역사회 주민들에 의해 민주적으로 운영 및 통제되는 기업
- 자선조직의 상업적 부위 : 영국에서 자선조직의 법적 위치는 매우 특수하며 세제혜택 및 기타 중요한 혜택을 받을 수 있지만 이들의 상업적 활동은 금지되어 있다. 그러나 자선조직 소유의 독립적 사업체를 설립하는 것은 가능하며 여기에 자선조직의 법적 특권을 결합해 사회적 기업을 설립하는 경우이다.
- 사회적 회사(Social Firms) : 특수한 욕구가 있는 사람들의 고용창출에 초점을 두는 기업 (ex. 정신 및 지체 장애인, 정신 질환자)
- 지역사회 개발 트러스트 : 지역사회 소유의 경제개발 기구로서 지역사회 내에 부와 고용을 창출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설립된다.
http://blog.naver.com/freework/10908230
IP *.152.57.178
오늘에서야 둘을 만족시켜줄 개념을 알아냈습니다. (가끔은 TV를 볼 필요도 있네요..^^;)
"사회적기업"
재활용을 매개로 한 사회적기업(1인기업)의 (영향력있는)사장이 되는것.
상상만으로도 멋집니다.
해야 하는게, 할 수 있는게, 많습니다. 그 많은 것중에 제게 맞는 하나를 고르는게 숙제입니다.
백수 1달차. 리싸이클전문가 씀. cafe.naver.com/recypert
-------------------------------------------------------------
“사회적 기업”
광의의 의미는 “일종의 기업으로서 상업적인 이윤보다 사회적 목적 추구에 초점을 두고 있지만 일종의 기업으로서 그 생존과 성장에 필수적인 수준의 이윤은 창출해야 하는 조직체”라고 할 수 있다.
사회적 기업은 유럽 전역에서, 특히 프랑스, 스페인, 포르투갈 그리고 이탈리아에서 보편적으로 통용되고 있는 “사회적 경제” 개념의 일부로 규정될 수 있다. 사회적 경제 부문에는 자원주의 조직, 교육 기관, 그밖에 비영리적으로 운영되는 여러 기관들이 포함되며 이와 혼용되고 있는 또 다른 개념은 “제 3부문”으로서 민간부문 및 공공부문과 명확한 차별성을 지니는 영역으로 개념화되고 있다.
유럽연합위원회(European Commission)은 지역 고용창출과 관련해 잠재력이 높은 사회적 기업의 종사 분야로 다음과 같은 17가지 분야를 꼽았다 :
- 재택보호 서비스
- 지역방범 서비스
- 탁아 서비스
- 비행 청소년 지도 서비스
- 쇠락한 공공 시설물 재건
- 정보화 산업 및 관련 기술교육
- 지역 교통 서비스
- 주택 서비스
- 지역사회 상점
- 관광
- 시청각 서비스
- 문화유산 재개발
- 문화적 개발
- 쓰레기 처리 서비스
- 수자원 서비스(water service)
- 오염 방지 서비스
- 환경․생태 활동
- 자연보호
다음과 같은 형태의 조직체들이 영국에서 가장 보편적인 유형의 사회적 기업이다.
- 노동자 생산협동조합 : 노동자들에 의해 민주적으로 운영 및 통제되는 기업으로서 그 기본적인 목표는 조합원들에게 적절한 수준의 보상과 고용의 안정성을 보장하는 것에 있다.
- 소비자 협동조합 : 사용자 혹은 소비자들에 의해 민주적으로 운영 및 통제되는 기업으로서 그 기본적인 목표는 조합원들의 욕구에 부합하는 서비스 제공에 있다.
- 주택 협동조합 : 거주자들에 의해 민주적으로 운영되고 통제되는 부동산(주택, 건물)
- 신용 조합(Credit Unions) : 소규모의 저축 및 여신 협동조합으로 주로 빈곤지역에서 위험부담이 높은 대출자들에게 높은 이자율에 여신을 하는 상업적인 고리대금 업자들 및 투자기관들에 대한 대안으로 형성된 것이다.
- 지역사회 기업(Community Businesses) / 지역사회 협동조합 : 지역사회 주민들에 의해 민주적으로 운영 및 통제되는 기업
- 자선조직의 상업적 부위 : 영국에서 자선조직의 법적 위치는 매우 특수하며 세제혜택 및 기타 중요한 혜택을 받을 수 있지만 이들의 상업적 활동은 금지되어 있다. 그러나 자선조직 소유의 독립적 사업체를 설립하는 것은 가능하며 여기에 자선조직의 법적 특권을 결합해 사회적 기업을 설립하는 경우이다.
- 사회적 회사(Social Firms) : 특수한 욕구가 있는 사람들의 고용창출에 초점을 두는 기업 (ex. 정신 및 지체 장애인, 정신 질환자)
- 지역사회 개발 트러스트 : 지역사회 소유의 경제개발 기구로서 지역사회 내에 부와 고용을 창출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설립된다.
http://blog.naver.com/freework/10908230
댓글
1 건
댓글 닫기
댓글 보기
VR Left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834 | '생각은 힘이 세다' [2] | 허영도 | 2005.07.21 | 2054 |
833 | 법륜스님의 주례사->챙겨야할 것이 있습니다. [1] | 사랑의기원 | 2005.07.21 | 1980 |
832 | 인맥관리 10계명 [1] | 휴먼네트워크연구소 | 2005.07.21 | 1937 |
831 | 논두렁 [1] | 서정애 | 2005.07.18 | 2106 |
830 | 박노진님을 애타게 찾습니다 [1] | 김달국 | 2005.07.15 | 2064 |
829 | 단식용 야채전골 조리법 [3] | <몽실이>송창용 | 2005.07.12 | 2558 |
828 | <몽실이>들의 여행 [4] | <몽실이> 유현수 | 2005.07.12 | 2050 |
827 | 그대 스스로를 고용하라를 읽고 [2] | 문규선 | 2005.07.11 | 2073 |
» | 내가 그리던 기업 [1] | ReVitalizer | 2005.07.07 | 2063 |
825 | 삶이 쉽지만은 않다. 그렇다고... [9] | 김달국 | 2005.07.07 | 2201 |
824 | 문요한님을 위한 동영상 - 공룡수색대 [6] | 신재동 | 2005.07.06 | 3548 |
823 | 능소화 [1] | 서정애 | 2005.07.05 | 2604 |
822 | 능소화 시/김재란 [2] | 서정애 | 2005.07.05 | 4947 |
821 | -->[re]시도 한수 지어가며 [3] | 오옥균 | 2005.07.04 | 1998 |
820 | 독서삼매경에 빠져봅시다 [2] | 김달국 | 2005.07.04 | 2004 |
819 | 一讀 二好色 三飮酒 [5] | 오병곤 | 2005.07.01 | 2809 |
818 | Blue Day...... [4] | 서정애 | 2005.07.01 | 2058 |
817 | 아이들과 함께 가는 여름 여행 [4] | 박노진 | 2005.07.01 | 2555 |
816 | 플라워 에센스flower essence [4] [1] | 박노성 | 2005.06.30 | 3593 |
815 | 쓰면 이루어진다 [4] | 김달국 | 2005.06.28 | 2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