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정애
- 조회 수 2405
- 댓글 수 3
- 추천 수 0
해거름에 몇 장 찰칵~!
안녕하세요? 한여름 무쇠솥 녹이는 장작불 어떤가요?
이제 거의 다 되어 갑니다.
어제는 남편이 글라인더로 솥을 마구 갈아내고 했어요.
그런데도 시커먼 물이 자꾸 나옵니다. 휴~ 힘들어!
참, 솥은 동네 장씨힘을 잠깐 빌려 남편이 완성한 것입니다.
난생 처음 만들었다는데 아주 잘 만든 것 같아요. 일부러 황토로 했구요.

IP *.157.208.204
안녕하세요? 한여름 무쇠솥 녹이는 장작불 어떤가요?
이제 거의 다 되어 갑니다.
어제는 남편이 글라인더로 솥을 마구 갈아내고 했어요.
그런데도 시커먼 물이 자꾸 나옵니다. 휴~ 힘들어!
참, 솥은 동네 장씨힘을 잠깐 빌려 남편이 완성한 것입니다.
난생 처음 만들었다는데 아주 잘 만든 것 같아요. 일부러 황토로 했구요.
<공작초와 무쇠솥>
봄에 학교서 새끼손가락 만한 공작초를 힘들게 옮겨 심었는데 어느새
진주황색 꽃망울들 동글동글 불어오는 바람에 도란도란 정겹습니다.
텃밭 가장자리 비잉 둘러가며 다 심었습니다.
좀 더 있으면 꽃사태로 멀미날 것 같아요.
꽃멀미는 봄에만 일어나는 줄 알았는데......
<장작불에 청솔가지 익어가고>
해거름에 둘째와 뒷산에 가서 청솔가지 많이 꺾어왔습니다.
초여름에 가고 처음이었는데 길가엔 온통 키큰 풀들의 향연 한창입니다.
어느새 쑥부쟁이도 피었고요.
솥 가득 안치고 장작불 활활 지폈습니다.
청솔가지 익는 향기 너무 좋고, 추석에 솔 잎 밑에 깔아 송편 쪄주시던
추석이 생각납니다.
타닥거리며 참나무 장작 타는 향기는 어느새 유년의 고향으로 데려다 놓고......
씰데 없이 소두뱅이 자꾸 여닫으며 그 틈으로 고향의 정짓간을
기웃거립니다.
금방이라도 우리 큰 고모, 보리쌀 뜸들일동안 남밭(남새, 채소가 자라는 텃밭)
에 가서 물외(조선 오이) 따고, 보랏빛 가지 따러 삽작을 나갈 것 같습니다.
내일 하루 더 질 내고 논두렁 콩더미 사와서 단으로 묶인 그대로
저 솥에다 쪄 내어 이웃들과 평상에 앉아 나누어 먹으려고요.
사실은 해거름에 앞집에서 옥수수 꺾어 두었다며 가져가라더군요.
저 불에 한 번 더 우려내고 옥수수 삶으려 했는데 시간이 없어 가스에
삶았습니다. 조미료 안 넣어도 갓 꺾은 옥수수는 달큰합니다.
<정길이와 병준이>
큰 아이가 정길이 6학년, 작은 아이가 병준이 1학년.
정길이는 반장댁 막낸데 이 마을에 아이라곤 셋(병준이 동생 은영이 까지)
밖에 없어 수시로 1학년 동생과 저렇게 어울려 놉니다.
모래로 만든 논이랍니다.
후훗...... 너무 이뻐서 꼭 안아주고 싶었어요.
보는 것이라곤 자연밖에 없으니 놀이도 자연을 소재로 합니다.
논을 큼지막하고 반듯하게 만들어 물까지 찰랑찰랑 채워놓았습니다.
참, 병준인 필리핀인 엄마를 둔 장씨 아들입니다.
노총각으로 가난하게 살다가 순전히 종교적(통일교) 이유로 예쁜 필리핀
아내를 맞이 하였죠. 아직 우리 말이 서툰 그네를 한 번 불러 맛난 국수
대접하며 말동무 해주어 타국의 외로움 조금이라도 덜어드리고 싶어요.
머나먼 이국에서 건너와 우리 핏줄을 면면히 이어가게 하는 그녀가 장합니다.
<태양이 입맞춤한 자리에 푸른바람 짙어지고>
우리마을 입구에서 찰칵!
아침에 저 논에 노오란 점 하나 박혀 있어 깜짝 놀랐습니다.
칠십 넘은 옆집 김노인께서 논에 엎드려 '피'를 뽑고 계셨습니다.
노오란 한 점은 김노인의 밀짚 모자였지요.
중학교 여름방학땐가 한 십릿길 걸어 논매는 아저씨께 참 광주리를 이고
간 적 있었죠.
참 드실 동안 재미삼아 논에 들어가 엎드려 논매는 흉내 내본적 있었는데.....
죽는 줄 알았습니다. 엎드리니 후끈 단 논물 열기는 얼굴을 삽시간에 달게
했으며 한창 약 오른 벼포기들은 앞가슴을 사정 없이 마구 찔러 금방
온 목이 울긋불긋 여러 줄로 좌악 그어졌죠.
그때 논매기가 얼마나 힘든 노동인 줄 알았습니다.
그 옆의 논, 역시 칠십 넘은 노인이 아침 저녁으로 도구를 친다,
피를 뽑는다 하면서 지극정성으로 돌봅니다.
그 분은 인근 아파트에서 다니면서 농사를 짓는 분이구요.
올해 모쪼록 대풍이 들어 두 노인의 얼굴에 웃음꽃 피었으면 합니다.
요즘 이 곳은 새벽이나 아침 저녁이라야 경운기 소리,
사람들의 발자욱 소리, 두런거리는 말소리들로 고샅길이 숨쉽니다.
그 때 아니면 너무 더워 일을 할 수 없지요.
조금만 움직여도 금방 땀이 골을 타고 줄줄 흘러내립니다.
그래도 머리 복잡하면 만사 제쳐두고 한바탕 일 하고 나면 참 개운하죠.
땅심 받으며 노동에 열중하다 보면 무념에 들어 편안하죠.
그래서 이 곳의 새벽과 해거름의 시간을 제일 사랑합니다.
퍼붓는 빗발 끝까지 다 맞아내고,
사정없이 몰아치는 폭풍 거뜬히 견뎌내고 나면
들판은, 나무는 한결 충실하고, 아름다워지겠지요.
곧 하늘 파아래 두둥실 흰구름 더 하얄 하늘은 대지의 식솔들 자애롭게
내려다 보며 거느리겠지요.
우리들은 대지의 그 젖줄들 있어 비로소 삶을 영위할 수 있음에 틀림 없습니다
댓글
3 건
댓글 닫기
댓글 보기
VR Left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854 | 완당 시선 [1] | idgie | 2005.08.18 | 1965 |
853 | -->[re]!!긴급제안 의견요망!! | 박노진 | 2005.08.17 | 1757 |
852 | !!긴급제안 의견요망!! | <몽실이>송창용 | 2005.08.16 | 1728 |
851 | -->[re]저도 오늘 여름의 끝자락을 잡고 왔습니다. | 오옥균 | 2005.08.15 | 1848 |
850 | 여름은 물러갈 준비를 하고... [1] | 김달국 | 2005.08.12 | 1905 |
849 | 삼청동 모임 [4] | <몽실이> 유현수 | 2005.08.09 | 2001 |
848 |
게으른 선비는 책장만 센다 ![]() | 노희상 | 2005.08.09 | 1976 |
847 | 더덕꽃을 보셨나요? [3] | 서정애 | 2005.08.09 | 2016 |
846 | HeartSongs | Hi Mattie | 2005.08.09 | 1951 |
» | 청솔향기 피어오르는 무쇠 솥, 해거름 동네풍경 [3] | 서정애 | 2005.08.02 | 2405 |
844 | 하롱베이의 사진을 보면서 | idgie | 2005.08.01 | 1707 |
843 | 그대, 거기 있어 나로 나답게 하는.. | idgie | 2005.08.01 | 2058 |
842 | 청빈/시 복효근 [1] | 서정애 | 2005.07.31 | 2058 |
841 | 2004년 11월 11일 | idgie | 2005.07.30 | 1931 |
840 | 두 고랑의 텃밭 풍경 [2] | 서정애 | 2005.07.29 | 2167 |
839 | -->[re]소낙비를 감상하는 아줌마를 그리며 [1] | 오옥균 | 2005.07.27 | 2239 |
838 | 소낙비 [1] | 서정애 | 2005.07.27 | 1962 |
837 | 나는 양이 없다네 | idgie | 2005.07.26 | 1882 |
836 | 괜챦아 | Hi Mattie | 2005.07.23 | 1971 |
835 | -->[re]사랑과 행복 [1] | 김달국 | 2005.07.22 | 2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