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커뮤니티

자유

주제와

  • 예종희
  • 조회 수 1705
  • 댓글 수 2
  • 추천 수 0
2007년 3월 23일 18시 41분 등록
오늘 구본형선생님이 보내주신 편지와 관련한 기사 원문입니다. 나름 해석을 같이 올려보는데 좀 투박합니다. 좋은 참고 되십시요.
읽다보니 미국사람들은 한국인들이 자살을 즐기는 줄 알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ㅋ
================================================================
South Korea's suicide plague “남한의 자살 재해”
Traditional rules haven't caught up with rapid modernization, resulting in widespread frustration. "전통적인 규칙이 빠른 현대화를 따라잡지 못하고 있고 결과적으로 좌절감이 널리 확산되고 있다."
March 11, 2007

?p주 전 39세의 Hyang Sun Lee of Fullerton의 자백하기를 그녀가 의도적으로 계획하였는데 이는 세 아이와 남편이 잠들어 있는 동안 불질러 방화 살인하려는 것이었다. 그녀의 경우는 결과적으로는 성공하지 못했지만, 경찰에 따르면 작년만해도 그와 같은 한국의 다른 세 이민자부모 케이스가 캘리포니아남부에서 발생했었다고 말한다.
뉴스에 따르면 변함없는 지적인 경제적인 어려움과 이민자로서 적응의 어려움이 그러한 부모들의 재앙의 원인이라 한다. 또한 그러한 것들이 그들에게 그러한 행동의 원인에 대한 명확한 사실이었을 것이다. 하지만, 이렇게 쉽게 발생하는 그와 같은 끔찍한 사건들에 대한 진정한 답변들은 LA에서 6,000 miles 떨어진 서울에서 더 많이 발견되는 것 같다.

가족간의 살인과 자살이 남한에서 드문 케이스기는 하지만, 어쨌든 남한은 세계에서 자살율이 가장 높고 출산율이 가장 낮은 나라이다. 괄목할 만한 경제성장을 경험한 뒤에 사회적으로도 구조적인 변화를 경험하였고 – 1960대 초반의 전통적인 농경사회에서 1990대의 고도화된 도시중심사회로- 남한사람들은 의심해 보기를 모든 성공이, 혹시, 그들을 죽이고 있는 것은 아닌지 의심해 봐야 한다.

지난 10년간 남한에서 자살율은 두배로 뛰었다. from 11.8 per 100,000 people in 1995 to 26.1 per 100,000 in 2005로. 오늘날 자살은 남한의 20대 남자 사망원인의 1순위와 다른 세대에서도 흔한 사망원인으로 대두되고 있다. 나라 전체적으로 전반적으로 네 번째 사망원인으로 교통사고 사망률을 앞지르고 있다.

그러한 역병에 대항할 면역체계는 사회에 없어 보인다. 금년 초 두 달 동안 두 명의 잘나가는 연예인, 정다빈, 가수 유미, 가 스스로 목을 매었다. 지난 10월 내가 서울방문하기 바로 전, 세명의 젊은이들이 자살팩을 수도의 공원에서 풀어놓고 남한의 자살에 대한 정보와 찬양을 하는 웹사이트의 존재에 대한 관심을 끌었다. 2005년에는 400명의 학생들이 서울에서 집회를 열고 과도하게 경쟁적인 교육환경을 견디지 못하고 자살하는 그들의 친구들이 날로 숫자가 늘어나는 데에 대한 철야애도모임를 가졌다.

남한사람들은 더 많은 시간을 일에 사용하고 그대신 나라가 전반적으로 발전케 하기 위해 필요한 그들의 다른 동료에게 쓰는 시간은 상대적으로 적다. 실제로 그러한 직장 윤리가 나라전반적인 괄목할 만한 20세기후반의 경제적 기적의 핵심사항이다. 거의 40년간 남한 인들은 묵묵히 믿어 오기를 그들의 일하는 시간이 길어지고 희생한 만큼 아이들의 교육을 위해 라고 자위하였고 그 교육받는 수준이 아이들의 지위향상이 될 것이라고 믿었던 것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그들의 잔인하다시피했던 식민지 같은 과거의 노고를 돌아보며 경험하였던 것은 그들의 희생이 결국 “보상” 받는 다는 것이었다.

하지만, 그 긍정적인 환상은 1997년의 금융위기 후에 증발해 버렸고, 처음으로 5년동안 수입 면에서 실질적인 감소를 경험하였다. 더 괄목할 만한 사실은 그들은 더 이상 믿지 않기를 일의 노고가 더 높은 지위와 반드시 연관되어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 것이다.

”남한의 문화에서는 지위가 모든 것이다.”

” 사람들은 짜증스러워한다” 라고 남범우 건국대 심리학과 교수는 말한다. “ 그들은 관계에서 목적성을 가지기 보다 외려 상실감에 힘들어 하고 있다. 그들은 왜 일을 열심히 해야 하는지 이해 하지 못하고 어떤 다른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지 이해하지 못한다. “

1979년 초부터, 사회학자 김경동은 예상하기를 남한은 어떤 벽에 맞닥트릴지도 모른다고 했다. “나는 그때 걱정되었고 그리고 지금도 여전히 걱정된다.” 우리사회는 지위와 권력의 추종에 경도되어 있다. 사람들은 그것을 갈망하고 있다. 이러한 타입의 경쟁은 우리의 발전을 자극시키지만, 사람들에게 문제들도 역시 유발시킨다. 결국 그것은 양날을 가진 칼인 것이다.”

지난 가을의 방문 때 나는 서울대학에 방문해서 사회학자인 장경섭과 담소했다. 그는 비판하기를 지난 반세기 동안 남한의 문화는 빠른 경제성장과 물질변화들을 따라잡을 수 없었다고 말했다. 그는 계속하기를, “미국인들은 우리를 현대화로 몰아세웠지요. 하지만 우리는 서양철학적인 이상들에 전혀 적응하지 못했으며 단지 물질면과 기능적인 외형에만 적응했을 따름입니다. “

다른 말로 표현하면, 그들이 최신의 현대사회를 건설해 왔다 할지라도 남한은 계속해서 다소 전통적인 방식 즉, 개인적인 행복보다 가정의 지위와 수치심에 기반한 원칙에 근거해 삶을 영위할 것이다. 그는 말하기를 사람들의 경제 전망치가 발전될 것이다라고 생각되는 한, 그들은 자발적으로 무시하였던 것이 시스템의 불공평과 경직된 남한사회의 독재적인 분위기였다.
하지만 지금은 경쟁이 너무 심하고 또한 경제적인 전망의 정체가 심리적인 불편함을 야기시키는 것이다.

하지만, 남한사람들을 일을 더 하게하고 더 적게 가지게 하는 현 시스템을 변화시키려 싸우는 대신, 출산을 기피하고 서로서로 의식하고 더 경쟁 함으로서 자신들을 죽여가고 있는 것이다.

원문;
South Korea's suicide plague “남한의 자살 재해”
Traditional rules haven't caught up with rapid modernization, resulting in widespread frustration. 전통적인 규칙이 빠른 현대화를 따라잡지 못하고 있고 결과적으로 좌절감이 널리 확산되고 있다.
March 11, 2007
1.
THREE WEEKS AGO, 39-year-old Hyang Sun Lee of Fullerton allegedly tried to set her three children and husband ablaze after she doused them with lighter fluid while they slept. Though she didn't succeed, police said, within the last year, three other Korean immigrant parents in Southern California did.
News reports invariably point to economic hardship and the difficulties of immigrant adjustment as the source of the parents' despair. And clearly they were factors. But real answers to these incidents are more likely to be found 6,000 miles from Los Angeles, in Seoul.
Although family murder-suicides are rare in South Korea, the nation has one of the world's highest suicide rates, coupled with what is perhaps the lowest fertility rate. After experiencing one of the most extraordinary economic and social transformations in history — from a traditional rural society in the early 1960s to a hyper-urban industrialized one in the 1990s — South Koreans have to wonder if all that success isn't, well, killing them.

Over the last decade, suicides in South Korea have more than doubled, from 11.8 per 100,000 people in 1995 to 26.1 per 100,000 in 2005. Today, suicide is the No. 1 cause of death for South Korean men in their 20s and is increasingly common among the growing ranks of the elderly. Overall, it is the fourth-leading cause of death in the country, ahead of traffic accidents.

No sector of society seems immune to the epidemic. In the first two months of this year, two highly successful female entertainers, actress Jeong Da-bin and pop singer Yuni, hanged themselves. Last October, just before I visited Seoul, three young people carried out a suicide pact in a public park in the capital, drawing attention to the existence of South Korean websites that glorify — and offer advice on — suicide. In 2005, 400 students held a vigil in Seoul to mourn the growing number of their friends who had taken their own lives because they couldn't stand the highly competitive educational environment.

South Koreans spend more hours on the job than their counterparts in any other comparably developed nation. Indeed, it is this work ethic that was at the core of the country's remarkable late-20th century economic miracle. For nearly 40 years, South Koreans were confident that if they worked long hours and sacrificed for their children's education, their status would improve. Most people had only to look back to the hardship of a brutal colonial past to know that their sacrifice was paying off.

But that optimism evaporated after the country's 1997 financial crisis. For the first time in 3 1/2 decades, South Koreans experienced substantial reductions in income. More significantly, they were no longer confident that hard work would translate into higher status.

And in South Korean culture, status is everything.

"People are feeling frustrated," said Bum-Woo Nam, a professor of psychiatry at Konkuk University. "They're suffering from a relative, rather than an objective, sense of deprivation. They don't understand why they're working hard and not doing as well as someone else."

As early as 1979, sociologist Kyong-Dong Kim predicted that South Koreans would hit a wall. "I was worried then, and I'm still worried," he told me. "Our society is oriented around status and power. People yearn for them. This type of competition stimulated our development, but it can also create problems for people. It's a double-edged sword."

During my visit last fall, I trekked down to Seoul National University to chat with sociologist Kyung-Sup Chang. He argued that South Korean culture hasn't been able to catch up to the rapid economic and material changes of the last half a century. "The Americans pushed us into modernity," he said. "But we never really adopted Western philosophical ideals, only the material and functional aspects."

In other words, even though they've constructed a hyper-modern society, South Koreans continue to live by rather traditional rules based on family status and shame rather than individual happiness. Chang said that as long as people's economic prospects were improving, they were willing to ignore the unfairness of the system and the rigidly hierarchical nature of South Korean society.
But now the competition is too much, and the prospect of being economically static is causing psychological uneasiness. But instead of fighting to change a system that has them working harder and harder for less and less, South Koreans are having fewer children and killing themselves trying to keep up with the Kims.
IP *.86.169.137

프로필 이미지
한명석
2007.03.24 08:41:26 *.221.185.124
예종희님의 수고 덕분에 잘 읽었습니다.
교통사고율을 앞선다는 수치에 할 말이 없네요.

앞으로도 종종 수고 부탁드립니다. ^^
프로필 이미지
예종희
2007.03.24 10:24:31 *.105.62.155
꼭 그러한 곳에 살고 있는건 아닌데 미국사람들이 이런 사설을 읽으면 한국은 살기가 팍팍하다는 선입견을 가지게 될것 같습니다. 아니면 다른 나라와 비교해서 실제로 살기 힘든환경인지도 모르고요..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