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커뮤니티

자유

주제와

  • 기고문
  • 조회 수 1594
  • 댓글 수 2
  • 추천 수 0
2007년 4월 19일 10시 37분 등록

미국 거주 한인 1.5세 시드니 손 변호사의 기고문이 우리로 하여금 많은 생각을 하게 합니다. 그래서 이곳에 올려 공유하고 싶었습니다.

******************************************************

“미국인은 한국책임이라 생각하지 않는다”
‘사과·사죄’ 옳지않고 한미관계 우려 어이없어


미국 버지니아공대 총기참사로 미국사회가 큰 충격에 빠졌다. 더군다나 최악의 총기참사의 범인이 한국국적의 이민자인 재미동포 조승희임이 밝혀진 뒤 미국내 한국동포와 유학생들은 또 한번의 충격과 대혼돈에 빠졌다. 한국의 언론은 자국인이 최악의 총기참사의 범인으로 드러나자 대대적인 보도를 하고 있고, 미국의 매체들도 “범인은 한국인”이라는 보도를 쏟아내고 있다. 이런 상황 속에서 미국에 이민 가서 변호사로 활동하는 한 1.5세 한국인이 기고를 보내왔다. 16살에 이민을 가서 고등학교와 대학을 미국에서 졸업한 33살의 시드니 손 변호사는 이 기고에서 “이번 일은 한국인으로서 저지른 일이 아니기 때문에 한국인이 죄책감을 느껴야 할 일이 아니다”라며 “조씨에게 심어주지 못한 정체성, 주체성과 소속감에 미안해 하고 또 반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시드니 손 변호사가 보내온 기고를 소개한다.
<한겨레> 온라인뉴스팀

*****************************************

미국에 살고 있는 1.5세 한국인으로서 언론과 각종 매체에 올라 있는 기사 및 댓글을 보고 이 글을 씁니다. 우선 이번 사건은 안타깝고 슬픈일이라 생각합니다. 그러나 이 일로 인해 너무 민감해진 언론과 몇몇 여론은 저를 더욱 슬프게 만들고 있습니다.

우선 미국에선 언론 이외에는 가해자가 한국인이었다는 것에 대해 이슈화가 되고 있지 않습니다. 미국시민들과 거주인들은 이 일이 한국정부에 또는 한국인들에게 책임을 물어야 하는 일이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물론 이 일이 일어난 후 소수의 몰지각한 사람들이 아시안계와 한국인을 비하하는 발언을 했을 수도 있으나 그런 일로 한국인들이 창피하거나 수치심을 느낄 이유는 없다고 봅니다.


가해자의 국적 이슈화 없어…민감한 언론이 더 슬퍼






우린 세계 어느 곳에서도 떳떳하고 당당하게 살고 있는 데 이런 일이 우리가 어깨를 다시 움추리고 또 한국인임을 감춰야 하는 이유가 된다고 느낀다면 그것은 우리가 아직도 마치 주인집에 얹혀 사는 객에 지나지 않다는 생각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한국인은 마치 화장실도 안가고 화도 않내고 또 공부를 잘하는 사람들로만 인식이 되길 바라는 태도는 우리에 관한 인식에 도움이 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민족의 우리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막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대한민국과 한국인은 모든 문화권에 사회와 사람과 마찬가지로 사회의 다면성과 인간으로서 느끼는 감정과 다채로운 인격의 집합체임을 세계가 인정할 때 우린 비로소 객이 아닌 한 주인으로서의 존재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더이상 수학에 능하고 또 고분고분한 아시아인들중 의 하나인 나라가 아닌 뛰어난 예술가와 운동선수뿐만 아닌 우리와 같은 보통사람들도 존재하는 나라로 인식될 때 우린 비로소 세계와 동등한 나라가 될 수 있습니다.



» 버지니아공대의 사관후보생들이 17일 블랙스버그 카셀 대경기장에서 열린 총격사건 희생자 추모집회에서 경례를 하고 있다. 블랙스버그/AP 연합






주인집에 얹혀 사는 객이라는 생각에서 비롯


또한 이 일로 인해 한국사람들과 한국 정부가 미안해 할 일도 사죄할 일도 없고 또 그래서는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태어난 나라가 한국이라고 해서 또 영주권자라 해서 그가 저지른 행동이 우리에게 죄책감을 느끼도록 하는 계기가 돼서는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그런 생각은 우리가 마치 이 세상에 일어나는 모든 일들을 주체적으로 관할한다는 착각에 빠진 생각입니다. 그가 한국사람이라는 것에 대해 집착하고 있는 것은 다른 나라의 사람들이 아닌 바로 우리라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이번 사건은 한국정부도 또 한국인도 주동한 일이 아니라 단순히 개인이 개인적인 이유로 저지른 일입니다. 그는 누구와도 의논하거나 동조하지 않았으며 또 한국정부와 한국인을 대표해서 이 일을 저지르지 않았습니다.


나라간 일이 무슨 아이들의 소꼽장난인 것처럼 비화


그런데도 우린 이 일에 관해 정부적인 차원에서 사과를 해야 한다느니 또 국민 개개인이 미안한 마음을 가져야 한다느니 하는 말들이 버젓이 언론에 옳은 말인양 유포되고 있습니다. 더욱 어처구니 없는 것은 이 일로 한미관계 와 FTA체결에 문제가 될 수 있지 않느냐는 소위 전문인들의 의견들입니다. 나라간의 일이 무슨 아이들의 소꼽장난인 것처럼 비유되고 비화되는 말들을 들으며 저는 큰 실망을 감추지 못했습니다. 이일이 반대로 우리에게 일어났을 경우 정부에서 보복적인 차원에서 나라일을 결정할 수도 있음을 가정하는 것 같아 우리의 언론에서 모시고 있는 이런 소위 전문가분들의 자질과 인성이 의심스럽습니다.


미 장갑차 사건과 달라…미군이 공무중 일으킨 사고


이 일을 또 미군 장갑차 사건과 비유해 사죄하고 사과해야 한다고 말하는 이들도 있습니다. 하지만 두 가지 일은 아주 다른 상황에서 일어난 일입니다.



» 아들이 버지니아공대총기난사사건에서 부상당한 수잰 그라임스가 17일 블랙스버그 몽고메리병원에서 기자회견중 울고있다(AP=연합뉴스)



미군장갑차 사건은 우리나라에 주둔한 미국을 대표하는 미군이 부주의로 공무집행 중 일으킨 사고입니다. 개인적으로 일으킨 사고가 아니라 미국의 공무집행 중 부주의로 일어난 일이므로 당연히 미국정부와 미군은 정식으로 한국에 사과를 해야 합니다.

하지만 조씨가 저지른 일들은 그의 개인으로서 삶과 결정에 의해 일어난 일입니다. 우리가 슬퍼하고 안타까워 해야 하는 이유는 정작 그가 한국인이었다는 것에 대한 수치심과 미안함이 아니라 그가 이런 결정에까지 이르게 한 사회적인 고립과 주체성에 대한 상실에 있어야 합니다.


외톨이로 선천적 정신분열증 취급


전 16살 때 가족의 결정으로 미국에 이민와 고등학교와 대학을 졸업하고 이젠 Korean-American 변호사로 살아가고 있는 33세 남성입니다. 그래서 전 조씨의 소식을 듣고 제 주변에 있는 많은 친구들과 동생들을 떠 올렸습니다. 미국과 한국언론에서는 “loner” 와 외톨이, 왕따라는 표현을 써가며 조씨가 혼자 고립된 생활을 즐기고 선천적 정신분열증이 있는 사람으로 간주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전 조씨가 저를 포함해 어린나이에 미국에 온 제 친구, 동생들과 비슷한 환경 속에서 비슷한 경험을 하며 살아왔음을 알기에 더욱 가슴아프고 안타까울 뿐입니다.


미국인들 텃세나 차별 탓이 아니라 스스로에 대한 이질감


제 주변에도 조씨와 같이 어린 나이에 미국에 와 주체성과 소속감의 결핍으로 고뇌하고 방황하는 한국인들이 많습니다. 사람은 대체적으로 자기가 주체적이면서도 사회에 소속되어 있길 바랍니다. 특히 어린 나이에는 그것에 대한 확신이 없을 경우 방황하고 또 고민하게 됩니다. 저 또한 한국인으로서 여기가 어색하고 또 소외감을 느끼며 지낸 적이 있습니다. 이것은 꼭 미국인들의 텃세나 차별 탓이 아니라, 내가 완전한 한국인도, 또 미국인도 아니라는 자신에 대한 이질감에서 오는 번뇌입니다. 하지만 저는 주변사람들과 가족의 사랑과 관심으로 큰 방황 없이 살아왔습니다.


한인모임은 유학생이나 2세들이 주도…1.5세는 어색


그런데 한국언론에서는 그가 한인모임에 나가지 않았다는 사실을 보도하며 마치 한인모임에 참석하지 않았기에 그토록 고립된 생활을 즐기는 비정상 적인 사람으로 다루고 있습니다. 그러나 현실은 다름니다. 대학에 존재하는 한인모임들은 한국에서 온 한국 유학생들이 주도하는 모임이거나, 혹은 2세들이 주동해 만든 모임들이 대부분입니다. 하지만 정체성과 주체성이 결핍된 1.5세들은 이런 모임에서도 어색하게 느끼며 또 관심 밖의 인물로 취급받기 쉽습니다. 그러니 조씨도 이런 모임에 참여하는 것 차체가 어색하고 불편했을 겁니다. 미국인들은 그를 한국인으로, 또 한국인들은 그를 미국인으로 보는 눈 때문에 자기 자신에 대한 이질감으로 혼자 있게 되고, 또 그러면서도 누군가에 관심을 바랬을 겁니다. 그러다 관심을 보이는 한 사람에게 집착하게 되고 또 그로 인해 배신감을 느꼈을 때 세상에 대한 분노와 상실감에 빠졌을 겁니다.


혼자이다 관심 보이는 사람에 집착…배신감 느끼면 세상에 분노


또 미국에 일찍 이민 오신 대부분의 가족이 그렇듯 부모님들은 생계에 전념하시느라 어린아이들에게 특별히 교감과 정체성에 대한 토론을 나눌 기회가 없는 게 사실입니다. 또 어린 아이들과 그런 대화를 나누는 방법이 막막하신 경우도 많습니다. 그리고 이 아이들이 일정한 나이가 되면 대부분 영어만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것이 더더욱 이런 대화뿐만 아니라 일상적인 대화를 어렵게 합니다. 이런 환경에서 자란 아이들은 고립되길 즐기는 것이 아니라 어색함 때문에 다른 이들과 어울리지 못하고 고립되는 것입니다. 조씨가 행한 일은 정말 끔직하고 일어나서는 안될 일이 분명합니다. 그러나 우리는 조씨에게 손가락질하고 수치스러워 하기 전에 우리가 조씨에게 심어주지 못한 정체성, 주체성과 소속감에 미안해 하고 반성해야 합니다.


조씨 손가락질 말고 정체성과 주체성 못 심어준 것 반성해야


한국인은 긍지와 자주성, 민족성이 강한 민족입니다. 하지만 우리 사회는 너무 성공과 목적에 집착하여 그것을 이룬 이들만이 우리의 민족이며 대표라 생각합니다. 또 미국에서 한국인들은 마치 얹혀 사는 것처럼, 오직 ‘주류사회’를 외치며 사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하지만 세계 어느 곳에 살든 우리가 사회의 일부로 존재하는 곳에는 우리도 주류라는 것을 알고 또 우리의 후손들에게 인식시켜야 합니다. 이젠 미국에 살고있는 동포들은 객지 생활을 하는 손님이 아니라 미국의 주인이며 주류라는 것을 깨달아야 합니다. 조씨가 저지른 사건은 우리가 한국인으로서 미국인들과 미국정부에게 사과해야 하고 부끄러워 할 일이 아니라 우리가 미래의 한국인들에게 심어주어야 할 주체성, 소속감, 정체성에 관한 큰 숙제를 남긴 일로 보아야 합니다.


시드니 손(Sidney S. Sohn)/ 변호사


IP *.128.229.88

프로필 이미지
써니
2007.04.19 11:19:54 *.70.72.121
좋은 글 올려 주셔서 감사합니다. 모두들 마음이 아팠을 거에요.
그래서 우리의 새로운 COREANITY 가 절실하게 요구되는 바라고 느낍니다. 엘빈 토플러도 지구촌이 유목민의 생활을 하게 될 것리라고 예견 했었잖아요. 우리는 서로가 필요에 의해 살아가고 있는 것이고 역할 바뀜은 상황에 따라 언제든지 일어날 수 있는 것인데 일을 처리할 때는 오로지 당사자들의 입장에서 유리하게 먼저 자리를 선점하려는 끊임없는 경쟁우위와 지배이론은 참다운 민주주의라 할 수 없지요.

서로 돕고 살아가고자 하는 일에 약간의 예상치 못한 불미스러운 일들은 오도되거나 증폭되어 편을 가르고 보복 하려들기보다 사건의 근본 을 명확히 헤아려 개선해 나가는 것이 인류가 마땅히 인간적인 길로 함께 하는 지구촌의 상생의 모습이라고 생각합니다. 옳은 견해 입니다.
프로필 이미지
김지혜
2007.04.19 14:58:50 *.99.189.70
요즘 언론보도를 보면서..
'아니 사건의 핵심은 집지 않고
왜 범인이 한국인이라는 것에만 집착하는 거지?
라며 의아해하고 안타까워하고 있었는데..
그저 제 머릿속에 잠깐 스처지나가던 생각이었던 것을
날카롭게 집어 주셨네요.

이 일은 분명 국가대 국가간으로 해결해야 할 일이 아닙니다.
특히 공식적인 사과를 한다거나 하는 건
문제해결에 전혀 도움되지 않는 짓이지요.

한 사회 내에서 소외당하는 사람이 분명히 있을 것이며,
그들을 사회 속으로 통합시키기 위한 시스템 혹은
욕구를 분출하고 할 수 있는 공동체가 있어야 합니다.
그것이 가족이 될 수도 있고,
지역사회가 될 수도 있고
취미동호회가 될 수도 있겠지요.

큰 게 아닌데도...상처받고 번민하고
자기 자신을 나아가서 남을 해하는 개인들이 많은 현실이
너무나도 안타깝습니다.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88 서포터즈 2차 정기 오프모임 안내 file [11] 이기찬 2007.04.28 1989
1487 서울에서 2박3일 [14] 초아 서 대원 2007.04.27 2457
1486 경총주최 구본형선생님 세미나를 다녀와서 file [8] 예닮 2007.04.26 1719
1485 초아 선생님 북세미나를 다녀와서 [10] 素田최영훈 2007.04.26 1808
1484 '주역' 북세미나에서 [6] 한정화 2007.04.26 1703
1483 홈피를 위한 제안 [4] 운제 어당팔 2007.04.26 1578
1482 -->[re]처음의 간이역으로 여해 송창용 2007.04.26 1546
1481 -->[re]제 고향이 현풍입니다. 곰탕 좋아하세요? 유현수 2007.04.26 1633
1480 초아선생님 북세미나 뒷풀이 장소 안내 file [2] 素田최영훈 2007.04.24 2062
1479 초아 선생님 북세미나가 수요일(4/25)에 있습니다. file [2] 강현김영훈 2007.04.23 1702
1478 써포터즈 가입 하고파요 [3] 귀귀 2007.04.23 1590
1477 [스스로 고용하는 1인 기업가를 위하여]특별세미나 [6] 수호천사 2007.04.23 1706
1476 봄이 무르익었어요! [7] 서정애 2007.04.22 1729
» 버지니아 참사 - 사과·사죄’ 옳지않고 한미관계 우려 어이... [2] 기고문 2007.04.19 1594
1474 서포터즈를 위하여! (당신이 진짜에요) [10] 써니 2007.04.19 1798
1473 써포터즈는 무슨일을 하나요?? [2] 도토리 2007.04.18 1718
1472 단식에 관하여.. [4] 김지혜 2007.04.18 1586
1471 서포터즈 오프모임 에피소드 (2) &amp; 벙개 공지 file [8] 서포터즈단장 2007.04.18 1678
1470 서포터즈에 가입하고 싶습니다. [4] 김 나래 2007.04.17 1533
1469 서포터즈꼴찌후기;서포터즈7행시,이기찬5행시 [7] 여행자 2007.04.17 19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