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커뮤니티

자유

주제와

2008년 1월 7일 11시 39분 등록

제가 새해를 잘 시작하기 위해 결심한 3가지가 있습니다.

먼저 머리를 자르는 것이구요,

요가를 시작하는 것이구요,

7일 포도단식을 하는 것입니다.

지난 3일에 머리를 잘랐고, 현재 낯선 제 모습에 익숙해지고 있는 중입니다.

지난 5일에 처음으로 요가 클라스에 등록해서 한 시간 요가 훈련을 받았습니다.

오늘이 그 두 번 째 날입니다.

그리고 오늘로 포도단식 3일 째를 맞고 있습니다.

누구의 지시도, 같이 하는 사람도 없이 단식을 하는 일은 좀 지루한 일인지도 모릅니다.

그런데 혼자서 계획하고, 일상을 무리없이 끌어가면서 단식을 하는 일은

짜릿한 흥분을 줍니다.

'요리를 하면서 밥은 먹지 않는다'.

이보다 절제를 더 시험해볼 곳이 어디있겠습니까.

저는 모든 유혹이 그대로 노출되어 있는 일상 속에서 굶고 있는 것입니다.

사투를 벌여야 할 심각한 병이 있는 것도 아닌데 말입니다.

자발적 고난에 스스로를 몰아넣는 것이지요.

그 일이 생각보다 짜릿한 것은

아무래도 말로 설명하기 힘든 피학의 심리가

인간에겐 본능적으로 존재하는 게 아닌가 하는 저의 평소 의심을 정당화해주는 것 같습니다.

머리를 자르고 난 이후,

'짧은 커트 머리가 좀 더 샤프하고 도회적인 인상으로 바꾸어주지 않을까' 하는 기대가 있었는지

그렇지 못한 저의 외양에 실망이 많이 됩니다.

그래서인지 '외모가 좀 안되도, 열정 만으로 사람들에게 쉽게 호감을 줄 수 있을까'

하는 생각을 좀 더 자주 하게 됩니다.

머리를 자를 때는 남을 의식하는 자의식으로부터 보다 자유로와지고 싶고

남에게 잘보이고 싶은 끈질긴 욕망으로부터도 탈출해보고 싶은 마음이 있었는데

자르고나서 생각하는 것은, 그런 욕망은 한 순간에 없어지는 것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뿌리가 깊은 욕망일수록 시간이 많이 걸릴 것입니다.

그러나 작은 시도를 통해 그런 욕망에 도전하는 것만으로도 힘이 되는 것을 느낍니다.

요가를 하면서도 같은 것을 느꼈습니다.

강사의 인스트럭션대로 여러 동작을 1시간 동안 따라하는데

내 몸이 그토록 뻣뻣하다는 데 스스로 많이 놀랐습니다.

게다가 앞에 앉은 한 여자가 얼마나 제 기를 죽이던지.

자그맣고 단아한 체구에 마치 무용을 오래 한 사람처럼 균형이 잘 잡힌 몸매로

요가의 모든 동작을 거의 완벽하게 소화하는 그녀를 저는 질투나는 눈으로 바라보았습니다.

실은 요가의 동작 중 대다수는 어릴 적 저의 장기였습니다.

요가가 이 땅에 보급되기 전의 일이지요.

시골 초등학교에서 기계체조라는 걸 했었거든요.

유연함이 트레이드 마크였던 내 몸이 어느새, 어쩌자고 이렇게 되었는지!

그녀를 눈부시게 바라보며 나는 1시간 내내 꿈을 꾸었습니다.

언제쯤 나도 저런 몸을 만들 수 있을까.

3개월, 아니 6개월..

그런 꿈이나마 꿀 수 있다는 것은 내가 요가를 시작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인지 뭔가를 시작하는 기분이 참 좋습니다.



오늘 아침 편지 하나를 받았습니다.

변경연 연구원 한 명이 '마음을 나누는 편지'의 새 필진으로

첫 편지를 보낸 것입니다.

새로 시작하는 그 친구는

첫 편지를 앞에두고 걱정이 이만 저만이 아니었다고 합니다.

몇 일 밤잠을 설쳤다고 합니다.

지식이 모자라 쓸 수 없다고 느꼈다고 합니다.

능력이 없어 줄 것이 없다고 생각했다고 합니다.

그러나 세상은 모두 '조금은 서툴다’는 공통점이 있기에,

함께 공감할 수 있고 마음을 나눌 수 있겠다며

자신의 '서툼'을 딛고 용기를 내었다고 합니다.


그의 진솔한 글이 감동을 줍니다.

그래서 그에게 답장을 보냈습니다.



그 답장은 저에게 하는 말이기도 합니다.

____________


따뜻한 그대의 글에 응원을 보냅니다.


시작하기 전 까지는 누구에게나 늘 두려움이 있지요.

그 두려움은 시작하기 전에는 절대로 없어지지 않는 법이지요.



일단 '시작'을 한 그대에게 박수를 보냅니다.

원래 좀 두려운 것을 해야 성취감이 더 큽니다.

그것은 나의 어떤 기대가 기대로만 끝나지 않고

현실이라는 가능성의 장벽 안으로 진입하는 일이니까요.

고통은 심해도, 한 마디로 짜릿한 경험이지요.



그대는 그대로도 참 좋아요.

잘 할 거예요.

오늘 글이 벌써 이렇게 좋은 걸요.



미남인 것만으로도 주위 사람들에게 기쁨을 주는데

글까지 너무 잘쓰면 오히려 여러 사람 기를 죽일텐데..

질투하는 사람이 여럿 생기겠어요.


겸손한 휴매니티를 유지하면 그런 질투는 막을 수 있을라나,후후.

__________

오늘 아침, 이틀 굶은 몸에 포도알 다섯 개를 넣어 주었습니다.

구본형 선생님이 '낯선 곳에서의 아침'에 쓴 글이 생각이 납니다.

단식 셋째날 먹는 포도를 두고 그는

'평생 그렇게 맛있는 포도를 먹어보기는 처음'이라고 쓰셨습니다.

역시 그 맛은 남달랐습니다.

아마 평생 그 포도맛을 잊을 수 없을 것입니다.


무언가를 새로 시작한다는 것,

꿈이 단지 꿈으로 끝나지 않고 현실이 될 수 있다는 것,

적어도 가능성의 영역 안으로 진입하는 그 기분,



그 기분이 참 좋습니다.

IP *.18.196.74

프로필 이미지
써니
2008.01.07 13:29:16 *.70.72.121
그날 그대의 탄탄한 근육질이 부러웠습니다... ㅋ
그런 사연이 있었군요.

연구원의 생명은 건강입니다. 재능을 꽃피우는 것은 육체와 정신의 건강입니다. 모든 살아있음의 발랄함도 그 때문이겠지요.

질투심에서 말하건데 몸매까지는 바라지 마십시오. ㅋ
엉덩살이 붙는 것도 과히 나쁘지만은 않을 것입니다.

그러나 긴장을 풀고 자신 속으로 들어가는 데는 참 좋을 것으로 생각되네요.

날마다 송장자세를 경험하시겠군요. 나는 그것을 해부학적 자세라고 배웠지요.

새해는 더욱 잘 먹고 잘 자고 잘 배설하기 바랍니다. 아우~~~~ ㅎㅎ
프로필 이미지
옹박
2008.01.07 23:19:42 *.208.192.170
새해엔 더 아름다워 지시겠어요. 안그래도 예쁘신데.
누나 처음 뵈었을 때 아이 넷을 키우셨다는 말에 놀랐었는데, 이런 실행력 때문이었구나. 누나의 글이 좋은 이유를 알겠어요. 문체도 아름답지만 그에 어울리는 행동이 있기 때문이에요. 스스로를 먼저 구원하려는 의지가 글에서 보이기 때문인가봐요. 많이 배워야겠어요.
프로필 이미지
蘇隱
2008.01.08 11:25:48 *.57.50.67
고마워요 써니, 무적의 서포터, 그대 때문에 여러 사람 힘을 얻습니다. 송장자세, 참 좋더군요, 그런 고요와 편안함을 느낀다는게..
옹박, 그대의 글, 진솔해서 마음을 울려요. 이제 시작했으니 어떤 모습으로든 원하는대로 형태가 갖추어지겠죠. 그대 이름을 우주 속에 선포한 행위라고 생각해요, 좋은 기회지요. 옹박의 어떤 점이 사부님으로 하여금 필진으로 선택하게 했을까 잘 생각해봐요. 그대는 가능성 자체랍니다.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574 꿈벗 봄소풍은 언제하려나 [28] [15] 운제김달국 2010.04.07 117542
3573 엑스터시 가설 바람95 2016.08.19 44453
3572 구본형 MBC TV 특강 - 11월 26일 수요일 1:35분 [6] 부지깽이 2008.11.24 38611
3571 Love Virus 그림엽서 신청하세요 file [1] 타오 한정화 2014.10.31 29530
3570 자연을 그.리.다. 생태드로잉 수업합니다! file 미나 2014.09.10 26486
3569 파일첨부 안되는 경우 참고하세요 file [20] [10] 관리자 2008.12.30 23915
3568 <내 인생의 첫 책쓰기>프로그램에 참여할 22기를 모집합니다 오병곤 2022.06.21 22362
3567 한쪽 방향으로만 도는 기어 file [1] [29] 한정화 2009.11.29 22007
3566 -->[re]사이트 개편에 적응이 안되네요^^ [1] 운영자 2003.01.22 21796
3565 연구원/꿈벗 리프레쉬 강좌 참여자 모집 [4] 부지깽이 2012.10.31 16771
3564 이직 이야기 3- 이직 후 적응이 어려운 다섯가지 이유 [2] [1] 교산 2009.02.12 16588
3563 MBC 다큐멘터리 가장슬픈 이야기 풀빵엄마... 강호동 2010.01.06 15341
3562 -->[re]사이상에서의 명칭(인격) 대해 [6] 테리우스 2003.01.26 15275
3561 책을 읽다 보니, [1] 구본형 2003.02.05 14999
3560 꽃동네에서 꽃은 떨어졌다 [2] [1] 꽃동네후원자 2003.01.29 14579
3559 <삼성레포츠센터> 글쓰기입문강좌 4주 [1] 한 명석 2014.12.11 14166
3558 20대를 위한 나침반 프로그램 안내 file [22] 박승오 2008.12.22 13663
3557 사이상에서의 명칭(인격) 대해 오태진 2003.01.26 13509
3556 책을 다시 읽으며........ [3] 이운섭 2003.01.28 13498
3555 자연의 마음으로 구본형 2003.02.03 133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