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대성
- 조회 수 3130
- 댓글 수 2
- 추천 수 0
철부지 한 소년이 있었습니다.
그는 세상의 모든 고민을 혼자서만 짊어지고 있다고 생각했지요.
아니 좀 더 솔직히 하자면 세상의 고민은 저 만의 것이여야 된다고 굳게 믿고 있는 놈이였지요. 그래야만 된다는 막연한 사명감까지 갖고 있었죠.
예를 들면 왜 인간은 똑 같은 아침이란 시간에 일어나서 학교에 가야하고 같은 공간 속에서 멍하니 선생님이라 칭하는 여러명의 그 분들의 일상과 같이 해야 하나?
그 분들이 쏟아놓는 그 말씀들이 과연 나의 미래의 인생에 어떤 도움이 되나?
누구를 위한 메시지인가?
그를 위한 아님 순간의 존재 유지, 그것도 아님 공식화 된 세속의 어울림!
그것도 아님 본인도 스스로 인정하고 싶지 않지만 주어진 환경과 처한 상황에 대한 의미없는 되울림!
그러다 뛰쳐 나가 봤지요. 다른 세상이 분명이 있으리란 기대감으로...
또 있어야 된다는 당위성을 갖고...
물론 또 다른 세상이 있었죠.
늘 또 다른 면들은 존재 하니깐.
근데 우스운건 그 세상을 갈망 했으면서도 결국 스스로 그 세상을 인정치 못하고 순간의 외도로 치부하고 돌아 섰다는거죠.
결국 고개 숙인 모습으로 돌아와서 대항치 못하는 현실에 더 암울해 하면서 지나온 세월이 지금의 내 모습인거죠.
근데 그렇다고 누가 비판 할 수 있을 것이며, 한다고 해도 누가 스스로 받아 들일수 있을까요?
세상 누구나가 손가락질 하더라도 결국 그대는 나이고, 이 세상에 단 한사람인 세상의 가장 소중한 나 이니까요...
결국 바보라고, 미친놈이라고 욕함을 받아 들일 수 있음은 스스로의 평가뿐임을 알기에...
그래서 득도의 길은 멀고도 험하고 자기 발견의 길 또한 힘들고, 그 과정을 그리는 글쓰기는 더더욱 힘든건가요?
그래서 만국의 가장 흔한 단어이면서 누구나가 가장 많이 사용하는 표현이 I don't know 인가요?
그 옛날 까까머리 소년은 오늘도 헤매고 있습니다.
진정한 사랑을 찾아서...
하악 하악...
IP *.170.231.11
그는 세상의 모든 고민을 혼자서만 짊어지고 있다고 생각했지요.
아니 좀 더 솔직히 하자면 세상의 고민은 저 만의 것이여야 된다고 굳게 믿고 있는 놈이였지요. 그래야만 된다는 막연한 사명감까지 갖고 있었죠.
예를 들면 왜 인간은 똑 같은 아침이란 시간에 일어나서 학교에 가야하고 같은 공간 속에서 멍하니 선생님이라 칭하는 여러명의 그 분들의 일상과 같이 해야 하나?
그 분들이 쏟아놓는 그 말씀들이 과연 나의 미래의 인생에 어떤 도움이 되나?
누구를 위한 메시지인가?
그를 위한 아님 순간의 존재 유지, 그것도 아님 공식화 된 세속의 어울림!
그것도 아님 본인도 스스로 인정하고 싶지 않지만 주어진 환경과 처한 상황에 대한 의미없는 되울림!
그러다 뛰쳐 나가 봤지요. 다른 세상이 분명이 있으리란 기대감으로...
또 있어야 된다는 당위성을 갖고...
물론 또 다른 세상이 있었죠.
늘 또 다른 면들은 존재 하니깐.
근데 우스운건 그 세상을 갈망 했으면서도 결국 스스로 그 세상을 인정치 못하고 순간의 외도로 치부하고 돌아 섰다는거죠.
결국 고개 숙인 모습으로 돌아와서 대항치 못하는 현실에 더 암울해 하면서 지나온 세월이 지금의 내 모습인거죠.
근데 그렇다고 누가 비판 할 수 있을 것이며, 한다고 해도 누가 스스로 받아 들일수 있을까요?
세상 누구나가 손가락질 하더라도 결국 그대는 나이고, 이 세상에 단 한사람인 세상의 가장 소중한 나 이니까요...
결국 바보라고, 미친놈이라고 욕함을 받아 들일 수 있음은 스스로의 평가뿐임을 알기에...
그래서 득도의 길은 멀고도 험하고 자기 발견의 길 또한 힘들고, 그 과정을 그리는 글쓰기는 더더욱 힘든건가요?
그래서 만국의 가장 흔한 단어이면서 누구나가 가장 많이 사용하는 표현이 I don't know 인가요?
그 옛날 까까머리 소년은 오늘도 헤매고 있습니다.
진정한 사랑을 찾아서...
하악 하악...
댓글
2 건
댓글 닫기
댓글 보기
VR Lef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