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2012년 1월 6일 06시 16분 등록

  아리아드네와 메데이아라는 두 여인이 있었습니다.   한 여인은 실타래를 연인에게 주어 미로 속에서 길을 찾아 살아 돌아오도록 했고, 또 한 여인은 남자가 찾던 황금 양털을 얻을 수 있도록 도와주었지요.   두 여인 모두 아버지를 버리고 사랑하는 남자를 따라 나섰으나 모든 것을 다 준 남자에게서 버림을 받게 됩니다.    메데이아는 분노에 떨며 상대에게 가혹한 책임을 물었습니다. 떠나려는 사람은 물고 늘어져 피범벅이 되고, 둘  모두에게 세상은 지옥이 되고 말았습니다.    

 

  아리아드네는 메데이아와는 결이 다른 여인이었습니다. 그녀는 테세우스의 배신에 슬퍼했지만 격노하여 그가 불행에 빠지기를 바라지는 않았습니다.   죽은 사랑을 슬피 애도했지만 자신을 악마로 만들지 않은 것이지요.  자기애였을까요 ? 진정한 사랑이었을까요 ? 아니면 무력한 체념이었을까요 ?

 

 

리하르트 슈트라우스가 1912년 작곡한 '낙소스의 아리아드네' 중 2막 '고귀한 공주님' 속에서 희극배우 체르비네타가 버려져 실의에 빠진 아리아드네를 위로하기 위해 노래합니다.    고난도 아리아 '신과 같이 내게 다가오네. 그의 발걸음에 나는 귀 먹었네' 중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들이 노래됩니다.

 

 

가장 고귀한 공주님,

당신의 슬픔은 평범한 사랑이 알 수 없어

오직 한 남자의 여인이기를 꿈꿔 왔으나

어찌 그 마음이 그렇게 미로와 같은 지 놀라워

남자들은 신처럼 나타나 내 손에 키스하지

그리고 나는 신의 죄수가 되어 버리니

달콤하고 쓰디 쓰구나

누가 이처럼 고통을 받을 수 있단 말인가

그러나 나는 남자를 저주하지 않을 거야

자유가 내 찢어진 가슴을 축복해주나니

 

또한 니체도 '디오니소스의 송가' 속에서 술의 신 디오니소스의 입을 통해 아리아드네에 대한

 사랑을 노래합니다.

 

"현명하구나, 아리아드네여

너는 작은 귀를 가졌구나. 너는 내 귀를 가졌으니

그 귀에 지혜의 말 하나를 담아 두어라

자기가 사랑해야하는 것을 먼저 미워해서는 안되는 것이니

나는 너의 미로이니 "

 

아리아드네- 워터하우스.jpg

디오니소스가 아리아드네에게 전하고 싶은 말 한마디는 '사랑하는 것을 먼저 미워해서는 안된다'는 것이었습니다.   그러나 배신하고

떠나는 사랑을 어찌 미워하지 않을 수 있겠습니까 ?  그러니 인간은 복잡하고 이율배반적이며, 패러독스이며 스스로에게 딜레마인 것이지요. 즉 '나는 너의 미로이며, 동시에 나는 나 자신의 미로'인 것입니다.

 

자기 경영은 미궁 속에 길이 있음을 믿는 것입니다. 그것은 삶이 미궁이며, 우리 자신이 미궁임을 받아들이는 것입니다. 그러나 미궁 속에서도 아리아드네의 실타래를 잊으면 안됩니다.   그것이야 말로 유일한 출구의 단서이기 때문입니다. 다시 니체의 말을 기억합니다.

 

"나는 미래에 관한 내 무지를 사랑한다. 약속되어 있는 일을 미리 훔쳐봄으로써 나의 파멸을 손짓해 부르고 싶지 않다.

아모르 파티 Amor fati, 네 운명을 사랑하라."

 

 

그렇습니다.  그것이 무엇이든지 한 번 사랑한 것은 먼저 미워할 수 없으니 우리의 운명을 사랑할 수 밖에요.

IP *.128.229.22

프로필 이미지
2012.01.07 07:08:40 *.186.58.38

주말 아침 마음에 담아갑니다...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76 [월요편지 127] 나는 왜 그 말이 상처가 될까? [1] 습관의 완성 2022.11.06 1010
175 [수요편지] 휴식에 대해 불씨 2022.11.09 1106
174 모임에 대하여 어니언 2022.11.10 981
173 [라이프충전소] 보기싫은 것도 보는 능력, 자기객관화 [1] 김글리 2022.11.11 1204
172 화요편지 - 일생에 단 한 번, 그 날의 도시락 종종 2022.11.15 1039
171 [수요편지] 가을 하늘, 그리고 삶의 의미 [1] 불씨 2022.11.15 1007
170 두 갈래 길, 하나의 길 [1] 어니언 2022.11.17 1109
169 [라이프충전소] 강의갈 때 꼭 여행음악을 듣는 이유 [2] 김글리 2022.11.18 1180
168 [월요편지 128] 회사 다니며 부업으로 쌀국수 매장 2년 해보니 깨달은 것 [3] 습관의 완성 2022.11.20 1052
167 [수요편지] 일상과 여행, 가을을 보내며 [1] 불씨 2022.11.23 1047
166 삶의 전략이되는 다정함 [3] 어니언 2022.11.24 1115
165 [라이프충전소] 실패는 없었다 [3] 김글리 2022.11.25 1021
164 [월요편지 129] 퇴사 신호들 습관의 완성 2022.11.27 1182
163 [수요편지] 보왕삼매론 [1] 불씨 2022.11.30 1131
162 불확실성에 대처하는 확실한 자세 [1] 어니언 2022.12.01 925
161 [라이프충전소] 부모님을 모시고 첫 해외여행을 다녀왔습니다 [5] 김글리 2022.12.03 1015
160 좋아함의 증거 [1] 어니언 2022.12.08 867
159 [라이프충전소] 결국 누가 글을 잘 쓰게 되는가 [1] 김글리 2022.12.08 986
158 [월요편지 130] 50대 이상 퇴직자들의 현실 [1] 습관의 완성 2022.12.11 1440
157 [수요편지] 허상과의 투쟁 [1] 불씨 2022.12.14 7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