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승완
  • 조회 수 5987
  • 댓글 수 0
  • 추천 수 0
2012년 2월 14일 00시 07분 등록

언젠가 선승(禪僧)인 혜가(慧可)가 스승으로 모시는 보리달마(達磨)에게 말했습니다. “제 마음에는 평화가 없습니다. 스승이시여, 제 마음을 평화롭게 해주소서.” 보리달마는 “어디, 네 마음을 여기 꺼내 보아라. 그러면 평화롭게 해주겠노라”고 답했습니다. 긴 침묵이 흐르고 혜가는 자기 마음을 찾아보았지만 결국 찾지 못했다고 스승에게 말했습니다. 그러자 보리달마가 말했습니다.

 

“이미 네 마음을 평화롭게 만들었노라.”

 

혜가의 문제에 대한 보리달마의 처방은 마치 수수께끼 같습니다. 이야기는 짧은데 거기 담긴 뜻은 끝이 없어 보입니다. 존 C. H 우가 쓴 <禪의 황금시대>에는 이런 이야기로 가득합니다. 선종(禪宗)의 역사에 특별한 이야기가 많은 것은 선종의 특징 때문인 것 같습니다. 이 특징은 선종을 중국에 전한 보리달마의 교리를 후대의 선사들이 요약한 ‘사구게(四句偈)’에 잘 드러나 있습니다.

 

경전 바깥에서 따로 전한다.             敎外別傳

말과 글로 그 뜻을 세우지 않는다.    不立文字

사람의 마음을 곧바로 가리킨다.      直指人心

본성을 보고 부처가 된다.                見性成佛

 

존 C. H 우는 선(禪)의 특징을 ‘깜짝 놀랄 만한 비약’, ‘눈을 멀게 하는 섬광’, ‘귀를 막아버리는 고함’, ‘머리를 두들기는 폭발’, ‘신비롭기만 한 화두’, ‘이성의 경계를 찢어발기는 행동’, ‘사람의 애를 태우는 유머와 기행’, ‘영문을 알 수 없는 매질’로 요약합니다. 선의 특징은 위대한 선사(禪師)들의 특징이자 <禪의 황금시대>에 담긴 이야기들의 특징이기도 합니다.

 

그런 이야기를 하나 더 보겠습니다. 어느 중이 조주(趙州) 선사를 찾아와 물었습니다. “부처가 누구입니까?” 이 질문은 불교의 본질에 대한 것으로 상당히 까다로운 질문입니다. 그러자 조주가 말했습니다.

 

“누가 너냐?”

 

뒷이야기가 전해지지 않아 확실치는 않지만 질문 한 스님은 움찔했을 겁니다. 불교의 핵심을 물었더니, 부처를 알기 전에 너 자신부터 알라는 답이 돌아왔으니까요. 아마도 조주는 부처의 본성이나 불교의 본질은 외부가 아니라 자신 안에 있다는 이야기를 단순한 질문 하나로 일깨워준 듯합니다.

 

<禪의 황금시대>는 선종의 역사에서 절정기를 연 위대한 선사들의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책 속에 담긴 이야기들은 ‘문장은 끝이 나되 뜻은 끝나지 않았다(言有窮而意)’는 게 뭔지 실감하게 해줍니다. 여운이 짙은 이 책은 새벽에 읽어야 제 맛입니다. 하루의 시작을 깊은 뜻을 담은 향기로운 이야기로 열면 하루도 그렇게 될 것 같습니다. 물론 책을 읽다 보면 물음표만 가득해져 머리를 싸맬 때도 많지만, 핵심을 꿰뚫어 바로 드러난 본질을 보는 통쾌함도 맛 볼 수 있습니다. 그 맛을 중국 선 문학에서 자주 인용되는 시로 표현하면 이렇습니다.

 

영원토록 비어 있다가     萬古長空

하루아침에 바람과 달     一朝風月

 

sw20120214.jpg 

* 존 C. H 우 저, 김연수 역, 선의 황금시대 역, 한문화, 2006년

 

* 안내1

<유쾌한 가족 레시피>의 저자인 정예서 연구원이 <치유와 코칭의 백일간 글쓰기 9기>를 모집하고 있습니다. 본 과정은 100일간 매일 쓰기와 도서 리뷰, 오프 세미나 등 밀도 있고 풍성하게 진행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세요.

 

20120214-1.jpg

 

* 안내2

<단군의 후예>, <꼬레마켓>을 기획한 수희향 연구원이 <비커밍 마이셀프 2기>를 모집하고 있습니다. 애니어그램을 활용하여 참자아 및 천직을 찾아가는 프로그램으로서, 페르소나 워크숍, 바디 & 마인드 에너지를 업시키는 자율적 실천놀이 및 에너지 일지쓰기 등을 통해 재미있는 놀이처럼 진행되는 프로그램입니다. 자세한 사항은 여기를 클릭하세요.

 

 

IP *.122.237.16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354 삶의 여정: 호빗과 함께 돌아본 한 해 [1] 어니언 2024.12.26 951
4353 엄마, 자신, 균형 [1] 어니언 2024.12.05 977
4352 [수요편지] 발심 [2] 불씨 2024.12.18 1015
4351 [수요편지] 능력의 범위 불씨 2025.01.08 1017
4350 [내 삶의 단어장] 크리스마스 씰,을 살 수 있나요? [1] 에움길~ 2024.08.20 1054
4349 [수요편지] 형세 [3] 불씨 2024.08.07 1084
4348 [수요편지] 문제의 정의 [1] 불씨 2024.08.21 1108
4347 [목요편지] 흉터 [2] 어니언 2024.07.11 1124
4346 [목요편지] 육아의 쓸모 [2] 어니언 2024.10.24 1129
4345 [목요편지] 장막을 들춰보면 어니언 2024.08.22 1150
4344 [책 vs 책] 무해한 앨리스 화이팅! file [2] 에움길~ 2024.07.22 1153
4343 [월요편지] 세상이 분노가 가득한데 [1] 에움길~ 2024.07.08 1159
4342 새로운 마음 편지를 보내며 [4] 어니언 2024.07.04 1160
4341 [수요편지] 행복 = 고통의 결핍? 불씨 2024.07.10 1163
4340 [목요편지]’호의’라는 전구에 불이 켜질 때 [4] 어니언 2024.07.18 1164
4339 [내 삶의 단어장] 알아 맞혀봅시다. 딩동댕~! [1] 에움길~ 2024.07.30 1170
4338 [목요편지] 별이 가득한 축복의 밤 [3] 어니언 2024.12.19 1175
4337 [책 vs 책] 어디든, 타국 [1] 에움길~ 2024.08.26 1178
4336 [수요편지] 성공의 재정의 [2] 불씨 2024.07.03 1181
4335 [수요편지] 불행피하기 기술 [3] 불씨 2024.07.17 11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