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승완
- 조회 수 5664
- 댓글 수 0
- 추천 수 0
언젠가 선승(禪僧)인 혜가(慧可)가 스승으로 모시는 보리달마(達磨)에게 말했습니다. “제 마음에는 평화가 없습니다. 스승이시여, 제 마음을 평화롭게 해주소서.” 보리달마는 “어디, 네 마음을 여기 꺼내 보아라. 그러면 평화롭게 해주겠노라”고 답했습니다. 긴 침묵이 흐르고 혜가는 자기 마음을 찾아보았지만 결국 찾지 못했다고 스승에게 말했습니다. 그러자 보리달마가 말했습니다.
“이미 네 마음을 평화롭게 만들었노라.”
혜가의 문제에 대한 보리달마의 처방은 마치 수수께끼 같습니다. 이야기는 짧은데 거기 담긴 뜻은 끝이 없어 보입니다. 존 C. H 우가 쓴 <禪의 황금시대>에는 이런 이야기로 가득합니다. 선종(禪宗)의 역사에 특별한 이야기가 많은 것은 선종의 특징 때문인 것 같습니다. 이 특징은 선종을 중국에 전한 보리달마의 교리를 후대의 선사들이 요약한 ‘사구게(四句偈)’에 잘 드러나 있습니다.
경전 바깥에서 따로 전한다. 敎外別傳
말과 글로 그 뜻을 세우지 않는다. 不立文字
사람의 마음을 곧바로 가리킨다. 直指人心
본성을 보고 부처가 된다. 見性成佛
존 C. H 우는 선(禪)의 특징을 ‘깜짝 놀랄 만한 비약’, ‘눈을 멀게 하는 섬광’, ‘귀를 막아버리는 고함’, ‘머리를 두들기는 폭발’, ‘신비롭기만 한 화두’, ‘이성의 경계를 찢어발기는 행동’, ‘사람의 애를 태우는 유머와 기행’, ‘영문을 알 수 없는 매질’로 요약합니다. 선의 특징은 위대한 선사(禪師)들의 특징이자 <禪의 황금시대>에 담긴 이야기들의 특징이기도 합니다.
그런 이야기를 하나 더 보겠습니다. 어느 중이 조주(趙州) 선사를 찾아와 물었습니다. “부처가 누구입니까?” 이 질문은 불교의 본질에 대한 것으로 상당히 까다로운 질문입니다. 그러자 조주가 말했습니다.
“누가 너냐?”
뒷이야기가 전해지지 않아 확실치는 않지만 질문 한 스님은 움찔했을 겁니다. 불교의 핵심을 물었더니, 부처를 알기 전에 너 자신부터 알라는 답이 돌아왔으니까요. 아마도 조주는 부처의 본성이나 불교의 본질은 외부가 아니라 자신 안에 있다는 이야기를 단순한 질문 하나로 일깨워준 듯합니다.
<禪의 황금시대>는 선종의 역사에서 절정기를 연 위대한 선사들의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책 속에 담긴 이야기들은 ‘문장은 끝이 나되 뜻은 끝나지 않았다(言有窮而意)’는 게 뭔지 실감하게 해줍니다. 여운이 짙은 이 책은 새벽에 읽어야 제 맛입니다. 하루의 시작을 깊은 뜻을 담은 향기로운 이야기로 열면 하루도 그렇게 될 것 같습니다. 물론 책을 읽다 보면 물음표만 가득해져 머리를 싸맬 때도 많지만, 핵심을 꿰뚫어 바로 드러난 본질을 보는 통쾌함도 맛 볼 수 있습니다. 그 맛을 중국 선 문학에서 자주 인용되는 시로 표현하면 이렇습니다.
영원토록 비어 있다가 萬古長空
하루아침에 바람과 달 一朝風月
* 존 C. H 우 저, 김연수 역, 선의 황금시대 역, 한문화, 2006년
* 안내1
<유쾌한 가족 레시피>의 저자인 정예서 연구원이 <치유와 코칭의 백일간 글쓰기 9기>를 모집하고 있습니다. 본 과정은 100일간 매일 쓰기와 도서 리뷰, 오프 세미나 등 밀도 있고 풍성하게 진행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세요.
* 안내2
<단군의 후예>, <꼬레마켓>을 기획한 수희향 연구원이 <비커밍 마이셀프 2기>를 모집하고 있습니다. 애니어그램을 활용하여 참자아 및 천직을 찾아가는 프로그램으로서, 페르소나 워크숍, 바디 & 마인드 에너지를 업시키는 자율적 실천놀이 및 에너지 일지쓰기 등을 통해 재미있는 놀이처럼 진행되는 프로그램입니다. 자세한 사항은 여기를 클릭하세요.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3057 | 대화의 기술 두 가지 | 부지깽이 | 2012.02.03 | 6818 |
3056 | 축제 | 최우성 | 2012.02.06 | 5205 |
3055 |
나에 관한 마음가짐 ![]() | 승완 | 2012.02.07 | 71797 |
3054 | 제 1의 관심사 [2] | 문요한 | 2012.02.08 | 3978 |
3053 | 똥고집의 힘 | 김용규 | 2012.02.09 | 5500 |
3052 | 나는 무엇으로 사는가 ? [1] | 부지깽이 | 2012.02.10 | 6768 |
3051 | 두 남자 [2] | 최우성 | 2012.02.13 | 4180 |
» |
문장은 끝이 나되 뜻은 끝나지 않았다 ![]() | 승완 | 2012.02.14 | 5664 |
3049 | 어떻게 적용해볼까? [1] | 문요한 | 2012.02.15 | 4158 |
3048 | 아마추어와 프로와 장인의 차이 [1] | 김용규 | 2012.02.16 | 5592 |
3047 | 여자란 무엇인가 ? | 부지깽이 | 2012.02.16 | 7879 |
3046 | 당신의 기쁨 [2] | 최우성 | 2012.02.20 | 3650 |
3045 |
멀리 헤매야 알게 되나니 ![]() | 승완 | 2012.02.21 | 6163 |
3044 | 정말 괜찮아? | 문요한 | 2012.02.22 | 5399 |
3043 | 그래도 참아야 하는 이유 | 김용규 | 2012.02.23 | 5253 |
3042 | 대중에 머물면 안되는 이유 [1] | 부지깽이 | 2012.02.24 | 6537 |
3041 | 미래의 기억 [1] | 최우성 | 2012.02.27 | 4824 |
3040 |
순간의 꽃 ![]() | 승완 | 2012.02.28 | 10543 |
3039 | 최고의 동기부여 | 문요한 | 2012.02.29 | 5370 |
3038 | 다음 사전이 담아야 할 더 큰 말 | 김용규 | 2012.03.01 | 556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