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2012년 2월 22일 10시 29분 등록

조심스레 저공 비행을 하고 있었다. 예보를 살피고 스스로 경로를 점검해보니 순탄치 않은 날들이 예상되었다. 하지만 예측된 어려움은 두려움의 대상이 아니다. 예측 가능하다는 것은 대응 가능하다는 것과 일맥상통한다. 어쩌면 대응 가능한 범위에서 예측하고 항로를 조정하고 있었는지도 모른다. 아무튼 비행은 순조로웠다. 예측했던 어려움들이 예상했던 얼굴로 나타났다. 그것을 헤쳐나가는 일은 그다지 어렵지 않았다. 서서히 기회가 다가오고 있다는 느낌이 들었다. 조정간의 레버에 손을 얹고서 구름위로 치솟아 운해(雲海)를 깔고 고공비행을 하는 순간을 생각했다. 문제는 예측을 벗어난 돌발상황이다. 레버를 당겨 고공으로 오르려고 시도하는 순간 미처 예측하지 못한 장애물이 나타났다. 연착륙을 시도해야 한다고 생각했지만 뜻대로 되지 않는다. 비행기는 깊은 협곡으로 묻혀 버린다. 짧은 순간이었다. 외견상으로 들어난 장애물도 대단한 것이 아니었지만 조정간을 놓친 손은 제자리를 찾지 못하고 허공을 가른다.    

 

연구원 북페어 이후에 마음은 정처(定處)를 정하지 못하고 흔들리고 있었다. 예상하지 못한 일이었다. 무엇 때문인가 생각해보지만 딱히 이유가 없다. 북페어 발표에 대한 신통치 않은 반응 때문인 것 같기도 하고, 높은 산을 오른 후에 풀린 다리처럼 긴장이 풀어져서 그런 것 같기도 하고, 연구원 1년이 끝나간다는 보람과 허탈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생기는 반응 때문인 것 같기도 했다. 이유를 알 수 없지만 차지 않는 잔월처럼 마음은 이지러지고 몸은 물 먹은 솜처럼 무거웠다.

 

그런 마음을 주섬주섬 챙겨서 졸업여행 길에 올랐다. 그래도 여행은 소중한 이들과 함께 하는 즐거운 기대를 동반한다. 그들을 만나고 마음의 낯빛이 바뀐다. 응달에 비추는 해의 양기처럼 그들의 얼굴이 밝게 다가온다. 그들과 강원도 7번 국도 여행을 했다. 일정표가 없는 여행이었다. 지나던 길에 금진항에서 바다를 엿본다. 겨울바다의 기세는 바람을 타고서 하얀 포말을 도로 위에 퍼부어 놓는다. 옥계를 지나 늦은 저녁까지 숙소를 잡지 못하고 일행은 밤길을 더듬었고, 늦은 시간 어느 포구에 있는 구멍가게 주인 아줌마의 안내로 동해의 한편에서 일정을 풀고 쉴 수 있었다.

 

날이 밝아 추암 촛대바위를 찾았다. 촛대 바위는 바다 한가운데 홀로 남게 된 남자의 전설을 담고 있다. 그 위에 갈매기 한 마리가 30분이 넘도록 꼼짝하지 않고 앉아 있다. 전설 속 남자의 넋일 수도 있고, 본처나 소실의 마음일 수도 있겠구나 라고 생각이 스친다. 삼척 인근에서 5일장을 들른다. 시장(市場)은 내가 알고 있고, 살아가는 삶보다 훨씬 생생하다는 다른 삶에 대한 혼란스러운 갈망을 느끼게 한다. 비록 그 곳도 권태와 일의 피로와 삶의 애증들이 뒤범벅된 곳이겠지만 도시에 살면서 내가 느끼는 삶의 활력에 대한 갈증을 담고 있다는 혼란스러운 착각을 일으키게 한다. 사부는 <못된 음식>이라는 힌트를 주시면서 시장에서 이것 저것을 구입하신다. 우리에게 한 끼 밥을 손수 차려주신다고 하신다. 연구원 생활 중에 사부님께 우리가 차린 밥을 대접하면 좋겠다고 혼자 생각한 적이 있었는데 사부님에게서 받게 될 줄은 생각하지 못했다. 감사하는 표현이 궁색할 뿐이다. 우리는 저녁에 스승께서 차려주신 <못된 음식>으로 저녁식사를 하고 그림, 삶의 가치, 타로 점을 통해서 서로의 속 마음을 들춰본다. 운명에 대해서 그리고 작년에 이어 올해 우리가 얼마나 고독해야 하고 그것이 어떤 의미가 있는지를 생각했다. 자정이 넘은 시간 사부님은 각자에게 연구원 수료하였음을 알리는  말씀을 해주셨다. 제자들은 진심으로 무릎과 머리를 조아려 사부님께 감사의 인사를 드린다. 나도 머리 조아리며 마음으로 인사 드린다. '당신으로 인해서 생긴 좋은 인연들입니다. 함께 배우고, 살고, 기뻐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잠들기 전에 밤을 배경으로 겨울바다를 마주한다. 시선은 먼 곳을 응시한다. 애초에 무엇을 찾을 생각도 없었지만 멀리 던져진 시선은 어둠 속에서 방황하다 이내 발 끝으로 돌아온다. 밤 바다에서는 아무것도 보이지 않을 것 같았지만 부서지는 포말은 더욱 선명하게 자신을 드러내고 있었다. 갈 곳 없는 시선을 매어 놓는다.  다가와서 부서지고 다시 밀려나간다. 크고 검게 일렁이는 움직임은 밀려나가는 파도의 태클에 그르렁거리며 엎어지고 부서지고 있었다. 내 안에 무엇이 다가와서는 부서지고 그리고 멀리 밀려나갔다가 다시 돌아온다.

 

다음 날 아침 곰치를 넣은 김칫국, '곰칫국'으로 어제 저녁의 숙취를 달랜다. 그리고 태백을 들러, 서울 가시는 사부님을 배웅하였다. 우리는 정선을 둘러보고 화엄동굴 인근식당에서 막걸리와 곤드레 나물밥으로 배를 채운다. 점심 시간이 지난 탓에 우리는 식당에 누워서 잠깐씩 잠을 청하기도 하고, 지난 1년간의 이야기를 느긋하게 풀어놓았다. 아쉬움, 안타까움, 그리움이 있다. 서로에 대한 격려가 있고, 사랑이 있다. 1년간 함께 한 시간의 한 땀 한 땀이 '우리'라는 인연에 쉬이 풀어지지 않을 매듭으로 무늬를 수놓는다. 나에게 지난 1년간의 연구원생활은 낯선 비행과 같은 것이었다. 일상을 떠난 여행이었다. 직장 생활을 하면서 끊임없이 가졌던 갈망을 확인하는 길이었다. 욕망의 헛된 발길질에 채이지 않고 나의 삶을 살아본 시간이었다. 처음에 그곳은 동경의 대상이었고, 지금 그곳은 마음의 고향이 되었다. 정처(定處)를 알 수 없는 마음 하나가 언제든지 찾아가면 스승과 함께 사우(師友)들과 함께 쉴 수 있을 만한 그런 곳이 되었다. 우리의 여행은 가리왕산 자연휴양림에서 여독을 풀어놓는 것으로 막을 내렸다. 마치 한 가족이 된 것처럼 평화로웠던 휴양림의 저녁은 우리의 지난 시간을 말해 주고 있었다.

 

여행을 마치고 계속 잠이 온다. 지난 몇 년간 외면하고 일어났던 모든 새벽의 잠들이 몰려오는 것 같다. 졸업 여행 중 스스로를 다독였지만 나의 열정은 여전히 불시착한 지점에서 움직이지 않고 있다. 깊은 저녁 겨울 바다의 하얀 포말들이 밀려나고 밀려 오듯이 마음 속의 밀물과 썰물이 교차하며 나를 흔들고 있다. 어쩌면 진짜 여행은 지금부터인지도 모른다. 스승의 말씀은 깊은 울림으로 가슴에서 떠나지 않는다. "이제부터는 내가 너희를 도와줄 수 없다. 이 지점이 지나면 너희들 혼자서 걸어가야 한다. 고독할 것이고 그것을 잘 견디어 내야 너희들이 원하는 삶을 살 수 있을 것이다."

어쩌면 지금 불시착한 지점은 다른 비행기로 옮겨 타야 하는 환승지점인지도 모르겠다. 지금까지의 여행이 스승과 함께 사우들과 함께 동석했던 비행이었다면 이제부터는 아주 작은 비행기에 나만을 태우고 교신 장치를 준비하여 떠나야 하는 새로운 여행의 시작이다. 홀로 떠나는 비행을 두려워하고 있는 것 같기도 하다. 함께 한 지난 여행에 대한 그리움 같기도 하다. 가치관 경매에서 '고독'이라는 가치를 선뜻 구입하였던 것도 여전히 익숙하지 않은 고독을 조금이나마 익숙하게 영접하고 싶은 마음이었을 것이다. 7이들에게 연구원 2년차인 올해도 강제성을 두어 우리의 모임이 지속되어야 한다고 늦은 저녁 혀 꼬인 소리로 떠들었던 마음도 혼자 떠나기 싫어하는 마음의 항변 같은 것이었으리라.  

기침과 몸살이 심해졌다. 이틀째 링거를 맞고, 병원에 누워서 한나절을 보내도 잠은 여전히 몰려온다. 마음 속에서 으르렁거리며 달려 들었다가 다시 몰려 나가는 알 수 없는 소리들이 여전하다. 새로운 여행을 준비해야 하는데.....        

 

<끝> 

IP *.163.164.176

프로필 이미지
2012.02.22 15:47:26 *.46.48.253

'열정의 불시착'이란 제목이 와닿네요.

형의 책에도 이런 굴곡이 들어가면 사람냄새 풀풀 나는 멋진 책이 될듯.

 

감기몸살에도 불구하고 운전에 음주에 고생하시더니,

쓰러지신거에요? 아이구...

몇 일 푹 쉬라는 몸의 신호겠지요.

아무 생각없이 고민없이 푹 쉬는 시간 되시길...

프로필 이미지
2012.02.22 17:22:26 *.143.156.74

그랬구나. 우리 오라버니가 많이 아팠구나.

산삼이라도 구해서 다려 먹이고 싶은 우리 오라버니.

기운내세요.

오라버니는 혼자가 아니랍니다.

새로운 여행도 땡7이들이 함께 갈테니 외롭지 않을 거예요.

프로필 이미지
2012.02.23 11:43:49 *.32.193.170

겨울잠 자는 곰처럼 맥이 없다고 해서.. 여행이 너무 힘들었나 라고 생각했는뎅.;;;

 

링겔맞고.. 난리도 아니었구만.;;; 우리가 오라버니를 너무 부려먹었나봐..;;; (반성중...)

 

북페어 이후에 너무 상태가 안 좋은 것 같아서 걱정이었는뎅. 오라버니, 기운내요~!!!!

 

고독의 가치를 알고 있는 당신은, 잘 해낼 수 있을거라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

 

땡7이 맏이인 오라버니.

재경언니와 양 날개가 되어 준 덕분에 땡칠이 들이 1년간 비바람에도 크게 휩쓸리지 않게 잘 날아온 것 같아요.

감사합니다~!!!!^^ 으샤으샤 기운내염!!!

 

프로필 이미지
2012.02.24 17:58:01 *.136.129.27
오라버니 너무 달렸나봐
휴식은 오라버니에게 또 다른 의미가 되어주었겠지?
고독을 샀을 때 나는 우리 프로필 찍던 날 오빠가 생각났다
뒷모습을 보고 저건 누규? 이랬지....
한번 휘청한 오라버니는 더 단단해지겠지?
아님 더 부드러워 지려나?
더 사람냄새나는 책을 쓰겠지?
기대된다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872 이빨 빠진 괴물 [8] 루미 2012.03.05 3040
2871 43. 삶은 진지해야만 할까? file [8] 미선 2012.03.05 2287
2870 [늑대42] 왜 일하는 것이 재미없는가 file [10] 철학하는 인사쟁이 2012.03.04 3081
2869 나비 No.43 우리에게 필요한 건 오직 감탄뿐! file [5] 재키 제동 2012.03.04 2415
2868 #21. 신치의 모의비행- 옷주는 착한 친구들 외 [6] 미나 2012.03.04 2413
2867 성공 키워드 아줌마를 보라 - 21. 담밖에 장미보다 내 집안의 채송화를 가꾸어할 시대 [2] 書元 2012.03.04 2448
2866 [Sasha] 달밥그릇 file [6] 사샤 2012.02.27 2350
2865 나와 다른 친구와 묻지마 파티 [4] 루미 2012.02.27 5210
2864 [태어나서 7년] 1부_네가 무엇이 되든지 외 file [8] 양갱 2012.02.27 2372
2863 #20. 신치의 모의비행- 신치, 비서되다 외 [8] 미나 2012.02.27 2604
2862 인정한다고 세상이 뒤집어지지 않는다. file [6] 미선 2012.02.27 2119
2861 나비 No.42 - 여자는 왜 쉬지 못하는가? [8] 재키 제동 2012.02.26 2373
2860 단상(斷想) 91 - 뒤를 돌아다본다는 것 file 書元 2012.02.26 2359
2859 [태어나서 7년] 서문(수정)_너 참 아름답구나! [8] 양갱 2012.02.23 2366
2858 단지 생각만으로도 file [4] 미선 2012.02.23 2138
2857 [Sasha] 콘트라베이스 연주하기 [10] 사샤 2012.02.22 2533
» [늑대 42] 열정의 불시착 [4] 철학하는 인사쟁이 2012.02.22 2193
2855 사랑하는 그대들에게 [10] 루미 2012.02.22 2235
2854 [멈춰라 순간이여!] 서문_ 태어나서 7년 / 목차 [4] 양갱 2012.02.22 2326
2853 나비 No.41 - 삶의 속도를 늦추어 보라 file [8] 재키 제동 2012.02.21 24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