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커뮤니티

살다

여러분이

  • 똥쟁이
  • 조회 수 2387
  • 댓글 수 7
  • 추천 수 0
2012년 2월 26일 12시 32분 등록

나는 누구인가?

 

이 책에서 세 개의 문을 열고 나서, 제 마음의 문을 열 수 있는 황금열쇠를 선물 받았습니다. 하나씩 문이 열릴 때마다 다소 냄새가 나더라도 참아주시고 읽어주시기 바랍니다.  

 

1. 깨우침의 문 나는 사람들에게 행운을 가져다 주는 똥쟁이였습니다.   

 

저에게는 똥쟁이라 불리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분뇨처리장에서 일 한다고 친구들이 붙여준 별명입니다. 그 곳에서 하는 일은 분뇨를 미생물로 분해하는 일입니다. 간단히 말하면 미생물을 키우는 일입니다. 그들의 먹이가 똥인 것이죠. 그래서 똥차를 타고 다녔습니다. 좋은 점은 도로 위를 달릴 때 주변에 차들이 얼씬도 하지 않습니다. 알아서 비켜줍니다. 나쁜 점은 식당이나 휴게소에 가면 멀찌감치 주차를 하고 걸어와야 합니다. 그 때는 사람들의 시선을 피하면서 다녔습니다. 

고속도로 휴게소에 들렀습니다. 주차하고 내리려는데 버스 승객 한 분이 눈살을 찌푸리며 말했습니다. “하필이면, 옆에다 대고 그래기분은 나빴지만 늘 상 있는 일이라 별로 개의치 않았습니다. 하지만 휴게소 직원까지 나와서 저 멀리 주차하라며 손짓하는 것이 보였습니다. 다시 시동을 켜면서 혼자서 중얼거렸습니다. ‘뭘 보니, 니들은 똥 안 싸니

밤 늦은 고속도로에는 군데군데 가로등만 희미하게 비치고 있었습니다, 저녁을 먹어서 인지 졸음이 밀려 왔습니다. 하지만 강한 바람으로 차가 휘청거렸습니다. 조금씩 차가 흔들릴 때 마다 머리를 흔들면서 졸음을 쫓아냈습니다.

차선 중앙에 희미한 불빛이 깜빡 거리면서 다가왔습니다. 순간 차량 전조등이 아닌가? 불길한 예감이 와서 헤드라이트를 올렸습니다. 차량 한대가 도로 중앙에 뒤집어져 있었습니다. 본능적으로 브레이크를 밟았습니다. 멈출 수가 없었습니다. 우측으로 핸들을 꺾었습니다. 다행히 사고 차량을 지나서 멈춰 섰습니다.

차문을 열고, 사고 난 차량을 바라보았을 때 뒤집어진 차량 아래에서 사람 손이 움직이고 있었습니다. 함께 탄 동료에게 경찰에 신고하라고 부탁하고, 저는 앞으로 뛰어 갔습니다. 다음에 오는 차를 멈춰 세워야 했습니다. 추운 겨울이어서 바람이 매서웠지만 옷을 벗고 미친 듯이 흔들었습니다. 내리막이라 100km/h 이상으로 달려오는 차들을 마주해야 했습니다. 경찰이 오기 전까지 수십 대의 차를 세웠습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사람들과 함께 손을 흔들었습니다. 그 중에는 휴게소에서 만났던 버스 승객도 있었습니다.

오늘 똥차 만나서 운이 좋아웃으면서 말했습니다. 저도 함께 웃었습니다.

똥쟁이라는 사실이 부끄럽지 않게 느껴지는 순간이었습니다. 

 

2. 견딤의 문 - 나는 사람들의 불만을 먹고 사는 사람입니다.   

 

4년 동안 똥쟁이로 살면서 많은 것을 얻었습니다. 사랑하는 아내와 두 아들입니다. 지금도 아이들은 똥쟁이이야기만 나오면 열광을 합니다. 그리고 어떤 상황에서도 견딜 수 있는 인내심와 사람에 대한 배려심을 얻었습니다. 이후에 식품회사로 자리를 옮겼습니다. 그곳에서 고객 만나는 일을 했습니다. 영업으로 만나는 것이 아니라 불만으로 가득 찬 고객을 만나는 일입니다. 만나는 고객들 대부분이 호락호락 하신 분들이 아니어서 심적 부담감이 클 수 밖에 없습니다. 문을 열자마자 제품을 던지면서 욕 하시는 분, 불만 제품을 건네면서 너도 똑같이 먹어보라고 권하시는 분, 추운 겨울날 대문 밖에서 오랫동안 서서 기다리라고 하시는 분, 다양한 성격과 여러 계층의 고객들을 경험했습니다. 처음에는 실수도 많아서 오히려 고객을 화나게 만들기도 했습니다. 결국 회사에서 인사징계까지 받아야 하는 상황도 있었습니다.

또다시 사람 만나는 게 싫어졌습니다. 심지어는 회사까지 그만 두고 싶었습니다. 그런 힘든 순간에 아내는 똥쟁이 시절을 상기시켜 주었습니다. 그리고 데일 케네디의 <인간관계론>를 보면서 미소를 지어라라는 글귀가 가슴 속 깊이 와 닿았습니다. 그 미소는 나는 당신은 좋아해요, 당신은 나를 행복하게 만들어 줍니다. 뵙게 되어 반갑습니다.’라는 뜻이 있다고 합니다. 이후부터 고객을 만날 때면 활짝 웃으면서 인사를 했습니다. 효과가 있었는지 어떤 고객은 당신의 웃음 때문에 화가 다 풀렸다고 말하고는 그냥 가시는 분도 있었습니다. 확실히 긴장된 얼굴보다는 진심으로 웃는 얼굴로 다가갈 때 고객의 마음을 움직였습니다.

5년간 고객 만나는 일을 하면서 깨달은 것이 있다면 모든 고객은 고객이기 이전에 사람이라는 사실입니다. 내가 먼저 마음의 문을 열고 다가가면 그들도 문을 열어주었습니다. 하지만 생각했던 대로 잘 풀리지 않을 때가 있습니다. 그 때는 나를 표현해야 하는 순간입니다. 저를 한없이 낮추고 칭찬과 격려로 그들의 이야기에 활력을 불어 넣습니다. 심각한 순간에는 슬픈 생각을 하면서 눈물을 흘리기도 합니다. 이렇게 수 많은 사람들을 만나면서 그들의 심리를 배우고 싶어졌습니다. 그래서 심리학 책을 보고 성격과 유형을 상황 별로 분석해 보았습니다. 그리고 나름 대로 재미있게 정리해서 사내 교육자료로 만들었습니다. ‘고객커뮤니케이션이란 주제로 전국 영업지점 교육도 하게 되고 외부에서 강의 의뢰도 들어왔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부족한 저 자신을 발견하게 되었습니다. 변화와 배움에 대한 목마름이 스승님의 책을 읽게 했습니다. 그리고 어느 순간, 제가 경험했던 것을 글로 표현하고 싶어졌습니다.     

 

3. 넘어섬의 문 이제 똥쟁이는 글쟁이가 되려 합니다.

 

출판사에서 전화가 왔다. “작가님, 홍대 앞에서 독자 싸인회를 열 계획인데, 꼭 참석해 주세요지금까지 위대한 작가들의 싸인을 받기만 했었는데, 믿기지가 않았다. 과연 나의 꿈이 이루어진 것인가? 아니야, 사람들이 얼마 오지 않을 거야. 약속시간이 다가올수록 초조해지기 시작했다. 드디어 싸인회가 있는 장소로 발걸음을 옮겼다. 나는 일찍 도착해서 근처 커피숍에 들어갔다. 2층 창가에 앉았다. 앞으로 두 시간 뒤에 눈 앞에 보이는 싸인회 자리에 가서 사람들을 만나야 한다. 가슴이 두근거렸다. 조금씩 사람들의 모습이 보였다. 큰 현수막 옆으로 사람들이 줄을 서기 시작했다. 누군가에게 전화를 하고 싶어 졌다. 스승님 얼굴이 떠올랐다. 전화번호를 눌렀다. 신호는 가는데 받질 않으신다. 현장에서 내가 느낀 감동을 전하고 싶었는데 아쉬웠다. 출판사 담당자에게 전화가 왔다. “모두 준비되었으니 내려오세요”. 커피숍을 나와 야외 공터에 마련된 긴 탁자로 다가갔다. 사람들이 웅성대기 시작했다. 여기 저기서 카메라 불빛이 터졌다. 나는 간단한 인사를 하고 자리에 앉았다. 차례로 사람들과 인사하고 서명을 했다. 아직까지 실감이 가질 않았다. 순간, 힘들었던 시간들이 떠올랐다. 변화경영연구소에서 첫 책을 냈을 때의 모습, 몇 년 뒤에 회사를 그만두고 방황하던 모습들이 스치고 지나갔다. 누군가 나의 이름을 불렀다. 귀에 익은 목소리였다. “똥쟁이 양반, 축하하네”, 스승님의 얼굴이었다. 환하게 웃는 모습이 나를 더욱 가슴 벅차게 만들었다. 자리에서 일어나자, 나를 꼭 안아주셨다.

 

아직 넘어섬의 문은 열지 못했습니다. 이렇게 저의 꿈이 실현되었다고 가정하고 미래의 모습을 그려 보았습니다. 저는 좀 더 많은 견딤의 시간을 거쳐야 합니다. 그리고 좋은 사람들의 격려와 조언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레이스에 참가하는 것 만으로도 감사하고 큰 경험입니다.    

 

 

 

   

IP *.47.75.74

프로필 이미지
2012.02.29 10:21:34 *.123.71.120

승욱님 글에 사람 냄새가 물씬 나요...똥쟁이 이야기 재미있게 읽었어요.

승욱님 미소를 보면 저도 우울했거나 화가 나는 순간 기분이 확~풀릴 것 같은 생각이 들었어요.^^

만나는 날이 기대됩니다.^^

 

프로필 이미지
2012.02.29 10:55:37 *.154.223.199

아, 그래서 똥쟁이였군요.

목록에서 이름만 보다가 처음으로 글을 읽어봐요.

세 가지 장면이 아주 눈에 보일듯이 선명하게 잡힙니다.^^   

 

프로필 이미지
2012.02.29 16:52:01 *.182.111.5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사실 저희 아내는 '똥쟁이'라고 떠들고 다니지 말라고, 신신당부했습니다.

하지만, 나는 누구인가? 질문에 떠오르는 단어는 이것밖에 없더라구요.

그 다음은  막힘없이 문장들이 나왔습니다. 

이게 제 운명인가 봅니다.

 

 

프로필 이미지
2012.02.29 19:46:16 *.128.69.77

한승욱님, 안녕하세요?

이렇게 정감가는 닉네임이 또 있을까요?

냄새가 나니 참아달라 하셨는데, 글을 읽으면서 삶의 향기가

느껴진건 저뿐만이 아니었을 겁니다. 마음속에 작가의 꿈을 품은

한승욱의 미래에 냄새가 아닌 향기가 가득차길 바라겠습니다 ^^

프로필 이미지
2012.02.29 20:07:56 *.33.136.150

^^ 사진을 보니 더욱 향기느껴집니다. 

감히 '똥쟁이'라고 불러 되나...?? 

웃고 있는 모습에서 왠지 모르게 힘이납니다. 

저도 한 미소 하는 사람인데.. 깨갱입니다. 후후


특히 넘어섬의 문은 너무 리얼리티해서 처음 읽었을 때 

'한번 책 썼던 분인가? 연구원을 안했어서 다시 하시는 건가?' 했답니다. 

생생하게 꿈을 꾸면 현실이 된다고 이지성 작가가 이야기 했던가요? 


한승욱님의 꿈을 생생하게 응원합니다. 

프로필 이미지
2012.03.01 06:33:40 *.47.75.74

어쩜, 이렇게 댓글도 잘 쓰세요~^^

댓글이 저의 마음을 뭉클하게 만듭니다.

아마도 함께 '즐거운 고생'을 하고 있어서 그런가봐요,  

나중에 만나면, 오래전에 만났던 사람처럼

반가울 거예요.

 

감사합니다.

프로필 이미지
id: 문윤정
2012.03.02 22:41:41 *.85.249.182

그 많은 아름다운 별칭을 두고 왜 하필 '똥쟁이'로 했을 까 하고 생각했습니다.

아니 조금 못마땅했습니다. 글을 읽어보니 별칭에 대해 이해가 되었습니다.

밥먹고 똥으로 나온 그 똥은 미생물을 키우는 그 무엇이 되고,

생명을 기름지게 하는 것이 똥입니다.

화학성분을 품고 있는 똥, 내 몸의 독소를 품고 있는 똥이

생명을 키우는 에너지원이 된다는 것이 신기합니다.

똥쟁이에게 너무 똥이야기만 했나요?

만나게 되면 재미있는 이야기 많이  나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549 [예비8기 2주차 레몬] 나는 누구인가? [6] 레몬 2012.02.26 2496
3548 8기 연구원 후보 2주차 - 나는 누구인가? file [7] 샐리올리브 2012.02.26 2359
3547 [8기 지적레이스 2주차/ 정나라] 나는 누구인가? [5] [2] 터닝포인트 2012.02.26 2567
3546 제8기 지적레이스 2주차 칼럼-나는 누구인가 [6] id: 문윤정 2012.02.26 2343
» 8기예비연구원[2주차칼럼]-나는 누구인가? - 한승욱 - [7] 똥쟁이 2012.02.26 2387
3544 8기 예비연구원 2차 레이스 중단의 글 - '깊은 인생'을 읽고. [7] 안지수 2012.02.25 2827
3543 8기 예비연구원(허정화) 1주차 칼럼-나에게 역사란 무엇인가? file [1] 난다 2012.02.20 2379
3542 [8기 2차 레이스_권윤정] 나에게 역사란 무엇인가? [2] 권윤정 2012.02.20 2537
3541 [8기 지적 레이스 1주차 -최세린] 역사가 내게로 왔다. file 세린 2012.02.20 2437
3540 [8기 지적레이스 1주차/ 정나라] 나에게 역사란 무엇인가? [2] 터닝포인트 2012.02.20 2319
3539 [8기예비연구원 1주차 이길수] 나에게 역사란 무엇인가 길수 2012.02.20 2417
3538 [8기예비연구원1주차]나에게 역사란 무엇인가? file [2] 레몬 2012.02.20 2573
3537 8기 지적레이스-나에게 있어 역사란 무엇인가 칼럼 id: 문윤정 2012.02.20 2906
3536 [8기 레이스, 장재용] 왜 (사)냐고 물어라. [1] 장재용 2012.02.20 2425
3535 8기 예비연구원[1주차 칼럼] - 나에게 역사란 무엇인가? - 안지수 안지수 2012.02.19 2386
3534 나에게 역사란 무엇인가? - 학이시습 학이시습 2012.02.19 3732
3533 8기 예비연구원[1주차 칼럼] - 나에게 역사란 무엇인가? - 한승욱 한젤리타 2012.02.19 2202
3532 8기 레이스 1주차 컬럼 나에게 역사란 무엇인가? - 진성희 샐리올리브 2012.02.19 2184
3531 [8기 연구원지원] 1주차칼럼 – 나에게 역사란 무엇인가 펄펄 2012.02.19 2482
3530 [8기 레이스 - 1주차 칼럼] 나에게 역사란 무엇인가 [2] 이준혁 2012.02.18 23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