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승완
- 조회 수 10537
- 댓글 수 0
- 추천 수 0
고은 시인의 <순간의 꽃>에 담긴 시를 읽는 시간은 울림과 침묵의 연속이었습니다. 시인의 ‘다른 시선’을 보며 감탄했습니다. ‘아! 이렇게도 볼 수 있구나. 현상의 뒤를 보고, 사물의 옆을 놓치지 않고, 위에서 상황을 볼 수 있구나.’ 그런 몇 개의 시를 아래 옮겨 봅니다. 시와 시의 구분은 ‘*’로 표기했습니다.
내려갈 때 보았네
올라갈 때 보지 못한
그 꽃
*
옷깃 여며라
광주 이천 불구덩이 가마 속
그릇 하나 익어간다
시인의 ‘자유로운 해석’도 놀라웠습니다. ‘아! 이렇게 이야기할 수도 있구나. 모두가 사연이 있구나. 마음을 열면 보이고 들리는 구나. 세상에 별거 아닌 것들은 없구나. 잠든 정신이야말로 별거 아닌 거구나.’ 그런 시 2개 소개합니다.
4월 30일
저 서운산 연둣빛 좀 보아라
이런 날
무슨 사랑이겠는가
무슨 미움이겠는가
*
함박눈이 내립니다
함박눈이 내립니다 모두 무죄입니다
생각했습니다. ‘다른 시선에서 나와 자유로운 해석으로 응축된 시가 진부하지 않은 것은 당연하지만, 그 시들이 괴상하게 다가오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 낯익은 것을 낯설게 보고, 낯선 것을 낯익게 표현했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 어떻게 그럴 수 있을까요?
고은 시인은 <순간의 꽃>의 ‘시인이 쓰는 시 이야기’에서 “시쓰기보다 시를 버리는 시간 속에서 그 모순의 힘에 의한 시가 비극적으로 잉태되었던 것이 아닐까”라고 묻습니다. 그리고 답합니다.
“시와 삶 사이의 종종 있는 불화의 되풀이는 결국 다음의 시를 위해서 있어야 할 오르막길 언덕일 것이다. 그렇다면 삶의 뭇 역려(逆旅)인들 어찌 저마다 시의 동산 아니랴.”
* 고은 저, 순간의 꽃, 문학동네, 2001년 4월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1357 |
당신과의 인터뷰 ![]() | 최우성 | 2012.03.26 | 6551 |
1356 |
불행 속에 희망이 숨어 있는 이유에 대하여 ![]() | 부지깽이 | 2012.03.23 | 6500 |
1355 | 지금 다음의 모습을 통찰하라 2 | 김용규 | 2012.03.22 | 5260 |
1354 | 가장 중요한 깨달음 [1] | 문요한 | 2012.03.21 | 4826 |
1353 |
지복(bliss)의 길을 따르리 ![]() | 승완 | 2012.03.20 | 4774 |
1352 | 오래된 고마움 [1] | 최우성 | 2012.03.19 | 5464 |
1351 |
마르시아스, 오만의 껍질을 벗고 ![]() | 부지깽이 | 2012.03.16 | 10183 |
1350 | ‘지금 다음의 모습’을 통찰하라! [1] | 김용규 | 2012.03.14 | 5058 |
1349 | 세상의 모든 새는 둥지를 떠난다 [1] | 문요한 | 2012.03.14 | 6939 |
1348 |
신화의 역사는 인류의 역사 ![]() | 승완 | 2012.03.13 | 4225 |
1347 | 가장 소중한 존재 | 최우성 | 2012.03.12 | 5543 |
1346 |
어떻게 ‘지나치지 않게’ 개혁에 성공할 수 있는가? ![]() | 부지깽이 | 2012.03.09 | 5625 |
1345 | 오래 가기의 비밀 [4] | 김용규 | 2012.03.07 | 3969 |
1344 | 인생의 로열젤리 [1] | 문요한 | 2012.03.07 | 5474 |
1343 |
동시성, 의미 있는 우연의 일치 ![]() | 승완 | 2012.03.06 | 6466 |
1342 | 무엇이 슬픈가? [2] | 최우성 | 2012.03.05 | 4955 |
1341 | 혁명은 얼마나 어려운 것인가 ? [2] | 부지깽이 | 2012.03.02 | 4932 |
1340 | 다음 사전이 담아야 할 더 큰 말 | 김용규 | 2012.03.01 | 5562 |
1339 | 최고의 동기부여 | 문요한 | 2012.02.29 | 5366 |
» |
순간의 꽃 ![]() | 승완 | 2012.02.28 | 1053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