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승완
- 조회 수 10761
- 댓글 수 0
- 추천 수 0
고은 시인의 <순간의 꽃>에 담긴 시를 읽는 시간은 울림과 침묵의 연속이었습니다. 시인의 ‘다른 시선’을 보며 감탄했습니다. ‘아! 이렇게도 볼 수 있구나. 현상의 뒤를 보고, 사물의 옆을 놓치지 않고, 위에서 상황을 볼 수 있구나.’ 그런 몇 개의 시를 아래 옮겨 봅니다. 시와 시의 구분은 ‘*’로 표기했습니다.
내려갈 때 보았네
올라갈 때 보지 못한
그 꽃
*
옷깃 여며라
광주 이천 불구덩이 가마 속
그릇 하나 익어간다
시인의 ‘자유로운 해석’도 놀라웠습니다. ‘아! 이렇게 이야기할 수도 있구나. 모두가 사연이 있구나. 마음을 열면 보이고 들리는 구나. 세상에 별거 아닌 것들은 없구나. 잠든 정신이야말로 별거 아닌 거구나.’ 그런 시 2개 소개합니다.
4월 30일
저 서운산 연둣빛 좀 보아라
이런 날
무슨 사랑이겠는가
무슨 미움이겠는가
*
함박눈이 내립니다
함박눈이 내립니다 모두 무죄입니다
생각했습니다. ‘다른 시선에서 나와 자유로운 해석으로 응축된 시가 진부하지 않은 것은 당연하지만, 그 시들이 괴상하게 다가오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 낯익은 것을 낯설게 보고, 낯선 것을 낯익게 표현했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 어떻게 그럴 수 있을까요?
고은 시인은 <순간의 꽃>의 ‘시인이 쓰는 시 이야기’에서 “시쓰기보다 시를 버리는 시간 속에서 그 모순의 힘에 의한 시가 비극적으로 잉태되었던 것이 아닐까”라고 묻습니다. 그리고 답합니다.
“시와 삶 사이의 종종 있는 불화의 되풀이는 결국 다음의 시를 위해서 있어야 할 오르막길 언덕일 것이다. 그렇다면 삶의 뭇 역려(逆旅)인들 어찌 저마다 시의 동산 아니랴.”
* 고은 저, 순간의 꽃, 문학동네, 2001년 4월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3034 | 대화의 기술 두 가지 | 부지깽이 | 2012.02.03 | 6904 |
3033 | 축제 | 최우성 | 2012.02.06 | 5270 |
3032 |
나에 관한 마음가짐 ![]() | 승완 | 2012.02.07 | 72093 |
3031 | 제 1의 관심사 [2] | 문요한 | 2012.02.08 | 4065 |
3030 | 똥고집의 힘 | 김용규 | 2012.02.09 | 5565 |
3029 | 나는 무엇으로 사는가 ? [1] | 부지깽이 | 2012.02.10 | 6843 |
3028 | 두 남자 [2] | 최우성 | 2012.02.13 | 4272 |
3027 |
문장은 끝이 나되 뜻은 끝나지 않았다 ![]() | 승완 | 2012.02.14 | 5869 |
3026 | 어떻게 적용해볼까? [1] | 문요한 | 2012.02.15 | 4216 |
3025 | 아마추어와 프로와 장인의 차이 [1] | 김용규 | 2012.02.16 | 5653 |
3024 | 여자란 무엇인가 ? | 부지깽이 | 2012.02.16 | 7936 |
3023 | 당신의 기쁨 [2] | 최우성 | 2012.02.20 | 3714 |
3022 |
멀리 헤매야 알게 되나니 ![]() | 승완 | 2012.02.21 | 6297 |
3021 | 정말 괜찮아? | 문요한 | 2012.02.22 | 5501 |
3020 | 그래도 참아야 하는 이유 | 김용규 | 2012.02.23 | 5319 |
3019 | 대중에 머물면 안되는 이유 [1] | 부지깽이 | 2012.02.24 | 6683 |
3018 | 미래의 기억 [1] | 최우성 | 2012.02.27 | 4901 |
» |
순간의 꽃 ![]() | 승완 | 2012.02.28 | 10761 |
3016 | 최고의 동기부여 | 문요한 | 2012.02.29 | 5436 |
3015 | 다음 사전이 담아야 할 더 큰 말 | 김용규 | 2012.03.01 | 563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