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커뮤니티

살다

여러분이

  • 길수
  • 조회 수 2394
  • 댓글 수 9
  • 추천 수 0
2012년 3월 5일 10시 57분 등록

나에게 시란 무엇인가?

 

‘그는 나에게로 와서 이 되었다’

김춘수 님의 ‘꽃’이다.

처음으로 연애편지라는 걸 쓰면서 내가 가져다 쓴 시이다.

내게 와서 꽃이 된 사람. 또 그에게 꽃이 되고픈 마음을 이보다 더 잘 표현한 글을 보지 못했다.

 

누군가는 ‘언어란 부질 없는 도구다. 말로 무언가를 설명하고 남을 이해시키려는 노력은 번번이 수포로 돌아간다’고 했다. 맞는 말이지 않은가!

누구나 공감하는 말이지 않은가…. 우리는 늘 말을 한다. 물론 대화도 한다. 요즘은 말을 문자로 한다. 소통의 시대를 이야기한다. 소통의 부재를 나타내는 역설이지 싶다.

 

부부, 부모와 자녀, 친구 살면서 함께 살아가야 하는 많은 사람들과의 소통의 도구가 말이다.

그 말을 표현하는 형식에 따라 시도 되고, 노래도 되고, 소설도 되고, 그림도 되고, 영화도 된다.

 

입상진의立象盡意, 이미지를 들러리 세워서 설명하는 것, ..이미지는 불필요한 오해를 낳지 않는다. 상은 몸으로 설명한다는 입상진의론. 자신의 뜻을 전달하려는 노력의 일환. 언어를 통한 전달이 불완전함에서 생겨난 일이다.

 

사람은 살면서 사랑이 몇 번이나 찾아오는가. 첫사랑과 마지막 사랑이 있는가.

우리는 이야기한다. ‘넌 내 첫사랑이야, 나의 마지막 사랑이야.’ 이런 말들을.

 

나에게 시란 무엇인가…사랑이다. 첫사랑도 아니고 마지막 사랑도 아닌 유일한 사랑이다.

말하지 않을 수 없어서 하는 말. 지금이 아니면 할 수 없는 말.

당신을 사랑합니다단 한번이다. 더 이상 다른 표현을 쓸 수 없는 말이다.

그 느낌을 한 사람에게서 두 번 갖는가! 그렇지 않다. 같은 사람에게 수도 없이 할 수 있는 말이지만 그 느낌만은 유일한 순간이 있다. 스스로만 알 수 있는 느낌

 

그래서 사랑이다. 더 이상 다른 표현을 할 수가 없다. 도저히 스스로의 능력으로는 표현이 안 된다. 그렇게 선택되는 것이 시다. 어쩌면 이렇게 내 마음과 꼭 같을까라는 느낌을 전해주는 언어. 그 전달방식이 시이다.

 

처음에는 일로 시작했다. 좀 색다르게 나를 기억하게 하는 것이 없을까라는 막연한 생각으로.

고객에게 나의 존재를 알리고 동시에 작은 떨림도 전해줄 수 있겠다는 생각으로.

하루 이틀 지나면서 나의 글은 일이 아니었다. 기쁨이었다. 즐거움이었다.

매일 출근하여 시집을 뒤적이며 마음에 와 닿는 시를 고르는 일. 시를 읽다 보면 어느새 시인과 나는 하나가 된다. 그러면 그 시는 그날 내게 온 시이다.그렇게 시 한 수를 골라서 타이핑을 하고 내용 중에 특별한 단어나 문장을 꼭지로 하여 짧은 글을 적는다. 글에는 내가 녹아난다.

유명시인과 초보작가(?)의 만남. 내가 시를 자주 만나게 된 계기였다.

 

누군가가 시켜서 하는 일이었으면 좀 하다가 그만 두었을 것이다. 스스로가 좋아서 하는 일이 되다 보니 그 시간이 일이 아니라 에너지를 얻는 시간이 되는 것을 느꼈다.

 

정보의 홍수 속에서 정작 마실 물은 찾지 못하고 있는 우리들이다.

나를 들여다보고 타인의 삶도 들여다 보아줄 여유를 가질 수 있는 한편의 시.

오늘아침 정시情詩 한편 읽고 싶다.

IP *.166.160.151

프로필 이미지
2012.03.05 13:08:23 *.89.208.250

시와 함께 아침을 시작한다, 좋은 생각입니다.

저도 내일 아침부터 좋은 시와 함께 아침을 시작해야 겠습니다.

 

좋은 글, 감사합니다.

프로필 이미지
2012.03.05 13:38:46 *.200.81.18

시한편을 받은 고객분에게도 사랑이 잘 전달되었을 것 같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2012.03.05 15:09:01 *.161.70.32

늘 시와 함께 하신 나날 그 저력이 보이는 글이라서

감동 받았습니다. 감사합니다.

프로필 이미지
2012.03.05 17:49:20 *.238.85.60

시에 대한 님의 사랑이 넘쳐나네요~ 저도 그런 깊은 사랑에 빠지고 싶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id: 문윤정
2012.03.06 09:27:00 *.85.249.182

우와~~~~ 정말 멋진 분이시네요.

길수님께서 아침마다 작성하신 '시에 대한 짧은 느낌의 글'도 

한 편 올렸다면 우리들에게 더 큰 기쁨이 되었을 텐데요.

날마다 시를 읽고 글 쓰신다는 것에도 존경을 보냅니다.

날마다 행복한 날 되세요.

 

 

프로필 이미지
2012.03.06 09:27:57 *.36.72.193

좋은 시집 추천해 주세요. ^^

저는 길수님의 댓글을 볼때마다 즐겁습니다.

왠지 모르게 솔직함과 재치가 느껴지기 때문이지요.

정보의 홍수 속에서 정작 마실 물을 찾지 못하고 있는 우리들이란 말에

깊이 공감합니다.

 

정수를 뽑아낼 수 있도록..

오늘은 어떤 시를 읽으셨나요? ^^

마지막 주 과제도 파이팅입니다.

 

프로필 이미지
2012.03.06 15:12:53 *.123.71.120
송창식의 사랑이야~ 라는 노래가 생각나는 글입니다.^^ 시는 사랑이군요.
프로필 이미지
2012.03.06 23:54:59 *.229.239.39

시인과 하나가 된다는 표현은 ....출근해서 시집을 뒤적이면서 얻는 접신(?)의 상태가 있으니 즐거우시겠습니다. 시를 사랑으로 승화시켜 표현하신 것 도 아름다운 느낌을 주네요...

프로필 이미지
2012.03.08 20:29:24 *.154.223.199

우왕, 시는 사랑이고 기쁨이고 즐거움이라고 하시는 포스가 장난 아니십니다. 아 눈부셔~~~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49 제 8기 지적레이스 세째주 -나에게 시란 무엇인가 문윤정 [16] id: 문윤정 2012.03.05 2444
548 [예비8기 3주차] 나에게 시란 무엇인가? [11] [1] 레몬 2012.03.05 2445
547 [8기 레이스 - 3주차 칼럼] 나에게 시란 무엇인가 ? [8] 이준혁 2012.03.05 2228
546 [8기 예비 3주차 세린신]나에게 시란 무엇인가? [11] 세린 2012.03.05 2366
545 [8기 예비] 나에게 시란 무엇인가 -장재용- [16] 장재용 2012.03.05 2544
544 <칼럼>8기 예비연구원 (허정화)- 나에게 시란 무엇인가? [20] 난다 2012.03.05 2565
543 나에게 시란 무엇인가? 진성희 [19] 샐리올리브 2012.03.05 3133
542 [예비8기 3주차_권윤정] 나에게 시란 무엇인가? [26] 권윤정 2012.03.05 2497
» [제8기레이스-3주차 나에게 시란 무엇인가]이길수 [9] 길수 2012.03.05 2394
540 [8기예비_학이시습]나에게 시란 무엇인가? [10] 학이시습 2012.03.05 2492
539 [3주차 칼럼] 나에게 시란 무엇인가 [13] 펄펄 2012.03.05 3370
538 살다 보면 [3] 난다 2012.03.06 2339
537 3 주차 레이스를 보며 [17] 부지깽이 2012.03.07 2431
536 시집 난다 2012.03.10 2154
535 컴이 가출하고 시는 날아가버리고 [12] id: 문윤정 2012.03.10 2389
534 8기예비연구원[4주차과제-내 인생의 시집 서문]-한승욱 file [4] 똥쟁이 2012.03.11 2300
533 [제8기 레이스 4주차 '내 인생의 시집 한 권' 서문]이길수 [3] 길수 2012.03.11 2109
532 8기 레이스 - 4주차 내 인생의 시집 서문 file [3] 이준혁 2012.03.12 3083
531 [예비8기 4주차 김이준] 서문 [3] 레몬 2012.03.12 2469
530 제 8기 지적 레이스 내 인생의 시집에 대한 서문 [2] id: 문윤정 2012.03.12 23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