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문요한
  • 조회 수 6548
  • 댓글 수 0
  • 추천 수 0
2012년 3월 14일 08시 40분 등록

 

“알의 상태일 때는 둥지가 좋다. 그러나 날개가 자라나면 둥지는 더 이상 좋은 곳이 못된다.”

 

-미상-
--------------------------------------

 

콜로라도 계곡에서 서식하는 독수리는 튼튼한 둥지를 짓기 위해 250킬로미터 이상을 날아 단단한 나뭇가지를 물어온다고 합니다. 그런데 흥미로운 것은 그 중에 일부는 날카로운 가시가 있는 나뭇가지라고 하네요. 왜 그럴까요? 처음에 둥지를 지을 때 어미 독수리는 나뭇잎, 깃털, 풀을 켜켜이 쌓아 새끼들이 가시에 찔리지 않도록 쿠션을 만들어놓습니다. 그러나 새끼들이 자라나면 그 쿠션들을 조금씩 치워 가시가 드러나게 합니다. 새끼들이 둥지에 안주하지 않고 날개짓을 익혀 자신의 둥지를 지으러 날아가게 하기 위함입니다.   


세상의 모든 새는 때가 되면 둥지를 떠납니다. 기러기, 꿩, 오리처럼 둥지가 땅 위에 있는 새들은 거의 부화하자마자 둥지를 떠납니다. 땅의 천적들로부터 자신을 보호해야 하기 때문에 시간을 지체할 수 없습니다. 그에 비해 두견새, 부엉이, 제비처럼 높은 곳에 둥지를 둔 새들의 새끼들은 상대적으로 오랫동안 어미의 보호를 받습니다. 그러나 시기는 달라도 날개가 자라면 둥지를 떠나는 것은 한가지입니다. 그리고 자신의 힘으로 새 둥지를 틉니다. 새만 그럴까요? 살아 움직이는 생명들은 자신이 자란 곳을 떠나 새 공간을 스스로 만들어갑니다.


나는 것이 무섭다고 둥지를 떠나지 않는 새는 없습니다. 나고 자란 곳을 떠나 새로운 둥지를 트는 것은 새의 본능이기 때문입니다. 사람은 어떨까요? 가장 오래 둥지에 머물러 살지만 인간 역시 이주본능migratory instinct이 있습니다. 아직 정착문화에 젖어있지만 사실 인류의 역사를 보면 이주의 역사가 97%에 해당하며 정착의 역사는 고작 3%에 불과합니다.

 

이제 역사는 다시 바뀌어 새로운 이주의 시대로 나아가고 있습니다. 지금 둥지가 좁고 불편한가요? 스스로 만든 둥지가 아닌가요? 그렇다면 당신 안의 이주본능을 일깨워 새 둥지를 틀어야 할 때입니다. 물론 날개짓 연습은 필수겠지요.  

 

- 2012. 3. 14.  '당신의 삶을 깨우는 ' 문요한의 Energy Plus 558호-



link.jpg

IP *.120.20.156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56 [금욜편지 38- 신화속 휴먼유형-예고편] [2] 수희향 2018.05.25 823
1355 [자유학년제 가족 독서 #03] 소크라테스의 변명 file [2] 제산 2018.05.27 964
1354 타임캡슐, 10년의 꿈을 드러내다 file [2] 차칸양 2018.05.29 901
1353 [일상에 스민 문학] -샬롯 브론테 <제인에어> 정재엽 2018.05.30 826
1352 목요편지 -5월을 보내며 운제 2018.05.31 804
1351 [금욜편지 39- 신화속 휴먼유형- 헤라클레스형 1-자기고백] 수희향 2018.06.01 814
1350 가족처방전 – 일곱 살 엄마와 화해하고 싶어요 file 제산 2018.06.04 809
1349 '1인 기업가' 차칸양의 명함 제작기 file [4] 차칸양 2018.06.05 961
1348 [일상에 스민 문학] <사슬에 묶인 프로메테우스> 정재엽 2018.06.06 808
1347 목요편지 - 사람 사이의 거리 [3] 운제 2018.06.07 833
1346 [금욜편지 40- 신화속 휴먼유형- 헤라클레스형 2-열정과 분노사이] 수희향 2018.06.08 780
1345 [자유학년제 가족 독서 #04] 법구경 [2] 제산 2018.06.11 919
1344 ‘1인 기업가’ 차칸양의 직업, 일, 미션 이야기 file [6] 차칸양 2018.06.12 762
1343 [일상에 스민 문학] 우리모두 초록빛 평화가 되게 하소서 [3] 정재엽 2018.06.13 819
1342 목요편지 - 마음공부 [1] 운제 2018.06.14 779
1341 [금욜편지 41- 신화속 휴먼유형- 헤라클레스형 3- 유형분석] [2] 수희향 2018.06.15 879
1340 가족처방전 – ‘엄마의 글쓰기’ 동아리 file 제산 2018.06.18 807
1339 캘리그라피를 배우며 차칸양 2018.06.19 840
1338 [일상에 스민 문학] - 2018 이상문학상 대상작 정재엽 2018.06.20 798
1337 목요편지 - 자존심과 자존감 [1] 운제 2018.06.21 9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