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승완
  • 조회 수 6331
  • 댓글 수 0
  • 추천 수 0
2012년 4월 10일 01시 38분 등록

다독(多讀)은 많이 읽기입니다. 여기서 ‘많이’는 책의 종류와 책 한 권을 읽는 횟수를 말합니다. 두보(杜甫)의 시에 나오는 ‘다섯 수레의 책은 읽어야 한다(須讀五車書)’는 말과 공자가 <주역>을 거듭 읽어서 죽간(竹簡)을 묶은 가죽 끈이 세 번 끊어졌다는 ‘위편삼절(韋編三絶)’은 다독에 대한 강조입니다.

 

정독(精讀)은 깊이 읽기입니다. ‘깊이’라 함은 그저 천천히 꼼꼼히 읽는 게 아니라 뜻을 새기며 읽는 걸 말합니다. 깨닫기 위한 독서입니다. 조선 후기의 학자 홍길주(洪吉周)는 독서에 있어 “재주는 부지런함만 못하고, 부지런함은 깨달음만 못하다”고 말했습니다. 똑똑한 머리보다 근면한 독서가 낫고, 깨우치며 읽는 것이 최고라는 뜻입니다.

 

조선 중기의 인물 김득신(金得臣)은 <사기>의 ‘백이열전(伯夷列傳)’을 1억 1천1백 번을 읽었습니다. 당시 1억은 10만을 의미합니다. 그는 갑술년(1634년)부터 경술년(1670년)까지 즐겨 읽은 옛글 36편의 독서 횟수를 기록으로 남겼습니다. ‘고문36수독수기(古文三十六首讀數記)’라는 글입니다. 그는 1만 번 이상 반복해서 읽은 책들을 꼽고는 마지막에 이렇게 적었습니다.

 

“<장자>와 <사기>, <대학>과 <중용>을 많이 읽지 않은 것은 아니나, 읽은 횟수가 만 번을 채우지 못했기 때문에 이 글에는 싣지 않는다. 만약 뒤의 자손이 내 ‘독수기’를 보게 되면, 내가 독서에 게으르지 않았음을 알 것이다.”

 

당시 독서가 묵독(默讀)이 아닌 소리 내서 읽는 성독(聲讀)임을 감안하면 기막힌 독서벽((讀書癖)입니다. 김득신만큼은 아니지만 걸출한 옛 문사(文士)들 중에 좋은 책 몇 권을 수백 수천 번 읽은 분들이 적지 않습니다. 정민 교수는 “옛 사람들이 말하는 다독은 이 책 저 책 많이 읽는 독서가 아니라, 한 번 읽은 책을 읽고 또 읽는 다독이었다”고 말합니다. 이쯤 되면 다독은 정독과 같습니다. 정독의 창조적 반복이 다독입니다.

 

정민 교수는 <일침>에서 ‘우작경탄(牛嚼鯨呑)’ 독서법을 알려줍니다. 소는 여물을 빨리 먹어 일단 배를 채운 뒤 여러 번 되새김질해서 완전히 소화시킵니다. ‘우작’은 ‘소가 되새김질하듯 읽는 독서법’입니다. “한 번 읽어 전체 얼개를 파악한 후, 다시 하나하나 차근차근 음미하며 읽는 정독”입니다.

 

‘경탄’은 고래가 큰 입을 벌려 바닷물과 물고기 등 온갖 것을 통째로 삼킨다는 뜻입니다. 물은 이빨 사이로 빠져나가고, 물고기들은 고래 뱃속으로 빠져 들어갑니다. 고래의 큰 배를 채우기 위해서는 경탄도 부지런히 반복해야 합니다. 독서에 비유하면 다독입니다. 정민 교수는 “‘고래의 삼키기 독서법’은 강렬한 탐구욕에 불타는 젊은이의 독서법이다. 그들은 고래가 닥치는 대로 먹이를 먹어치우듯 폭넓은 지식을 갈구한다”고 말합니다.

 

사람에 따라 정독과 다독 둘 중 하나를 강조하기도 하고, 젊을 때는 다독을 중년 이후에는 정독을 권하기도 합니다. 내게 정독과 다독은 크게 다른 독서법이 아닙니다. 양자택일의 문제도 아닙니다. 정독과 다독은 상호보완적 관계입니다. 다양한 책을 읽어야 편협함에서 벗어날 수 있고 좋은 책을 고를 수 있습니다. 정독해야 책을 소화할 수 있고, 재독(再讀)해야 깊게 깨달을 수 있습니다. 훌륭한 책 한 권만 한 양식(糧食)이 없고, 좋은 책도 소화해야 존재에 득이 되고, 깨달음이 있어야 삶에 보탬이 있습니다.

 

sw20120403.jpg

* 정민 저, 일침, 김영사, 2012년 3월

 

* 안내1

변화경영연구소 문요한 연구원이 신간 <천 개의 문제 하나의 해답>을 출간했습니다. 많은 관심과 축하 바랍니다. 자세한 사항은 여기를 클릭하세요.

 

1000_books.jpg

<천 개의 문제 하나의 해답 : 자꾸만 행복을 미루는 당신에게>
문요한 저, 북하우스, 2012년 4월

 

* 안내2

변화경영연구소에서 ‘하루 2시간 자기혁신’ 프로젝트 <단군의 후예> 7기를 모집하고 있습니다. 100일간 진행되는 이 프로젝트는 새벽기상 습관화와 새벽활동 수련을 통해 1만 시간의 법칙을 실천하고 내면을 탐험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세요.

 

 

IP *.122.237.16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976 첫 발을 내딛는 용기 [1] 어니언 2021.08.19 1230
2975 [화요편지]자신의 삶을 온전히 살아내는 것만으로도 [6] 아난다 2021.12.21 1230
2974 [변화경영연구소] [월요편지 20] 그들에겐 3가지가 없었다 습관의 완성 2020.08.09 1231
2973 [월요편지-책과 함께] 넌 내게 모욕감을 줬어 에움길~ 2023.12.04 1231
2972 다양성과 그 뒤섞임의 아름다움 김용규 2016.04.21 1232
2971 실루엣 마케팅은 어떨까요? 이철민 2017.12.21 1232
2970 [화요편지]나만의 성소 만들기 <공간살림>메이킹 스토리 1 [2] 아난다 2021.04.12 1232
2969 [용기충전소] 어떤 사람으로 기억되고 싶나요? [7] 김글리 2021.12.17 1232
2968 모든 책에는 제나름대로의 쓰임이 있다. 나처럼 [1] 어니언 2021.11.18 1233
2967 [월요편지 8] 좋은 루틴, 나쁜 루틴, 이상한 루틴 file 습관의 완성 2020.05.17 1234
2966 [알로하의 맛있는 편지] 잃어버린 기억을 찾아서... file 알로하 2019.12.08 1235
2965 [알로하의 두번째 편지] 머리에서 몸으로의 전환 file 알로하 2020.05.17 1235
2964 이제 막 사회에 진출하는 너를 위한 경제조언 file [9] 차칸양(양재우) 2017.02.28 1236
2963 '컨셉'은 있나요? [4] 이철민 2017.03.16 1236
2962 마흔아홉, 삶은 수련입니다 書元 2016.07.23 1238
2961 [용기충전소] 100일동안 매일쓰면 일어나는 일 [2] 김글리 2020.09.11 1238
2960 나는 3가지 원칙으로 책을 산다 연지원 2016.09.05 1240
2959 [화요편지]욕심, 실은 깊은 두려움 file 아난다 2020.07.27 1240
2958 <여름독서2> 너무 잘 읽히고 깜찍하고 야무진- 나의 토익만점 수기 한 명석 2016.08.17 1241
2957 [알로하의 두번째 편지] Just shake your booty file [2] 알로하 2020.04.05 12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