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나를

꿈벗

‘나를

2012년 4월 10일 06시 46분 등록

날씨가 따뜻해지는 것을 어떻게 알았는지 꽃들이 활짝 펴기 시작했습니다. 여러분들에게도 활짝 피는 시절이 찾아 오시기를 소망합니다.

 

무슨 이야기를 할까 생각을 하며 한 주를 보내는 것이 저에게 많은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지난 주에 아이가 학교에서 겪은 이야기에 대하여 어떻게 답을 해 줄 것인가를 고민했었습니다. 내용은 이렇습니다. 아이가 다니는 학교에 한 아이가 있습니다. 그 아이가 점심을 같이 할 친구가 없었나 봅니다. 아무도 그 친구와 밥을 함께 먹으려고 하지 않나 봅니다. 큰애랑은 다른 반 아이임에도 불구하고 큰 애에게 와서 밥을 같이 먹자고 간청을 합니다. 한번은 아내가 아이의 옷에서 껌을 발견했는데 사연을 물어 보았더니 껌을 가지고 와서 뇌물(?)을 주면서 같이 밥을 먹자고 했다고 합니다. 저와 아내의 답은 정해져 있습니다. 하지만 이번에는 강요하지 않았습니다. 다행히 큰애와 같이 다니는 친구의 어머니가 친구가 전한 말을 듣고 그 애를 따돌리는 것은 너무 한 것 같다라고 말씀 주셨나 봅니다. 우리애도 혼자는 힘들지만 둘이라면 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제가 살았던 시절과 지금의 학창시절이 많이 다르다는 것을 어렴풋이 알고 있었습니다. 더구나 저는 남자라서 그런지 왜 밥을 같이 먹는 것이 그토록 소중한지조차 공감을 하지 못하는 사람입니다. 그래서 한번 알아보기로 했습니다. 제가 매주 만나는 중학교 2~3학년 친구들에게 물어 보았습니다. 열 명의 친구들중 한명만 빼고 하나같이 대답합니다. 같은 상황에서 자신은 그 친구와 밥을 같이 먹지 않겠다고 말입니다. 한 친구는 저와 같은 과였습니다. 밥을 같이 먹는 것이 중요하냐고 묻더군요. 그래서 또 물어 보았습니다. 여러분들의 부모님은 그 이야기를 들으면 무엇이라 할 것 같냐구 말입니다. 그랬더니 한 친구가 대답합니다. 부모님은 같이 친하게 지내야 한다고 말씀하실 것이라구 그리고 부모님은 우리 생활을 모르시잖아요 라고.

 

처음에 이 이야기를 나누어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요즘 세태를 한탄하기 위해서 쓰는 글이 아니라고 밝히고 싶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세상을 만들어 놓은 어른으로서 가슴이 아프다라고 쓰려고 했습니다. 지난주 일요일 독서관련 라디오 프로그램에서 김선우 시인이 말했던 것은 이러한 세상에서 아무것도 할 수 없는 그래서 울 수 밖에 없다는 시인의 흉내를 내고 싶었습니다. 그런데 계속 생각하다보니 가슴이 아프다 혹은 울고 싶다라고 글을 쓰는 것은 자신을 포장하는 것임을 알아차리게 되었습니다. 반대로 하루중 대부분의 시간 그런 것이 아프지도 않고 슬프지도 않은 채 무감각하게 잘(?) 살고 있는 자신의 모습이 보였습니다. 그것을 알고나니 자신을 그럴듯한 사람으로 포장하는 것이 낯 간지러워지기 시작했습니다.

 

요즈음 회사에서 하는 일이 잘 풀리지 않아 마음이 몸이 많이 복잡합니다. 잘 생각해보니 너무 잘 보이려고 의욕을 보인 것이 오히려 저에게 독이 된 것 같습니다. 실력을 자랑질 하고 싶어하다가 오히려 저의 꾀에 넘어간 것 같습니다. 다른 사람에게 도움을 청하는 방법을 생각해 봐야겠습니다. 있는 그대로를 보여줄 수 있는 것이 가장 큰 힘임을 조금씩 알아차립니다.

 

아이의 문제는 있어서도 제가 살아온 경험에만 비추어 판단하지 않았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IP *.10.140.183

프로필 이미지
2012.04.11 21:28:26 *.116.114.33

아이보다 먼저 경험한 인생 선배로서, 부모로서,  올바른 방향을 제시해 주는 것도 쉬운 일이 아닙니다.

현실이 이상과 일치하면 좋겠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 이거든요. 잘 생각하시길...

프로필 이미지
2012.04.12 11:15:51 *.242.48.4

아이의 문제는 아이가 해답을 가지고 있을지 모릅니다. 너무 걱정하지 않으셨으면 합니다. ^^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53 [화요편지] 이너프...( Enough) [1] 햇빛처럼 2012.06.26 2324
152 [ 수 ] 국가기술자격증 따려는 사람들 file [2] 포거인 2012.06.27 3210
151 [목요편지] 체화(體化) [1] 깊고맑은눈 2012.06.28 3963
150 [금요편지] 초여름밤의 꿈 [2] 효인 2012.06.29 2430
149 [월요편지] 자신감. [1] 새벽산책 2012.07.02 2299
148 [화요편지]웃음가스...그리고 반년 [1] 햇빛처럼 2012.07.03 2779
147 [ 수 ] 직업훈련 file [3] [1] 포거인 2012.07.04 2589
146 [목요편지] 잠시 떠나오기 [2] 깊고맑은눈 2012.07.05 2372
145 [금요편지] 생각의 편린들 [2] [1] 효인 2012.07.06 2356
144 [화요편지]프로메테우스 ...그리고 스승님. [2] 햇빛처럼 2012.07.10 2402
143 [ 수 ] 굴삭기 운전 file [1] 포거인 2012.07.11 4198
142 *늦은 월요편지* 열정, 진정성. 새벽산책 2012.07.11 2272
141 [목요편지] 개선사항을 제안해주세요... file [1] 깊고맑은눈 2012.07.12 4958
140 [월요편지] 좋아하는 일을 한지 만 1년을 넘기면서..... 새벽산책 2012.07.17 2674
139 [화요편지]그냥 바라보는 것? 햇빛처럼 2012.07.17 2327
138 [수요이야기] 거인의 수요일 아침 이야기 포거인 2012.07.18 2297
137 [목요편지] 행복해라~ [1] 깊고맑은눈 2012.07.19 2370
136 [금요편지] 초복의 의미 효인 2012.07.20 3115
135 [월요편지] 사부님처럼.... 새벽산책 2012.07.23 2289
134 [화요편지]어리석음 햇빛처럼 2012.07.24 22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