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북

연구원들이

2012년 4월 23일 08시 31분 등록

* 무찔러드는 글귀는 첨부합니다.

 

1 . 캠벨 교수에 대하여

1904년, 미국의 뉴욕에서 태어나 평생을 비교 신화학자로서 서로 다른 문화권 신화와 종교의 공통되는 현상과 기능을 연구해온 학자다. 그는 어린 시절 아메리카 인디언의 민화를 접하고, 문화적 접촉이 전혀 없었던 이들 민화와 아더왕 전설의 상징 체계가 놀라우리 만치 유사한데 착안. 모든 문화권 신화를 두루 꿰는 신화의 본 (원형)을 찾아내는데 평생을 바쳤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 연구를 이집성한 노작이 바로 4부작으로 된 그의 주저인 ‘신의 가면’인데 본서 ‘천의 얼굴을 가진 영웅’은 바로 이 주저의 서곡인 셈이다.

 

‘천의 얼굴을 가진 영웅’은 융파 심리학의 입장(인간은 무의식 속에다 고대적 경험의 잔존물인 집단 무의식을 공유하는데, 꿈의 구조물인 원형 패턴은 곧 고대의 잔존물인 신화 상징을 나타낸다는)을 원용하면서 다양한 영웅 전설을 통해 인간의 의식을 규명하려는 한편 현대 문명에 대해 하나의 재생 원리까지 제시하려는 야심적인 작품이다.

마지막 부분 역자 후기를 읽으며 2년 전 워싱턴 인디언 박물관 갔던 기억이 났다. 그 때 본 인디언 소년이 길 떠나는 이야기가 있었는데 영웅의 이야기가 아니었나 싶다. 캠벨 교수가 어렸을 적 들었던 이야기와 일치하나 모르겠지만 이번 주 컬럼의 주제를 찾아 냈다 싶었다.

눈을 감고 잠시 캠벨 교수가 어렸을 적 방문한 박물관을 그려보았다. “뉴욕역사박물관에 아버지가 데려간 이후, 그는 원시미국문화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이것이 캠벨이 비교신화학을 하게 된 첫 번째 계기였다.” 또 그는 우연찮게 인디언 이야기를 듣게 되었고 그것이 아더왕의 전설 상징체계와 같다는 것을 발견해 낸다. 몇 살에 그것을 발견했는지....... 하지만 자신도 그렇고 사후에 계속 그의 글을 읽는 독자 입장에서 보아도 그 날은 켐벨의 천복을 찾은 날이 아닌가 싶다.

아무튼 캠벨은, 무대가 다르고 사건이 다르고 의상이 다르지만, 인간의 무의식이 투사된 영웅, 말하자면 인간의 집단이 그려낸 영웅 신화는 거의 일정한 형태를 취하고 있다고 주장하며 다양한 이야기를 이 책에서 소개하고 있다.

 

2 . 내가 저자라면

캠벨의 주장에 따르면 아폴로든, 동화 속의 왕자든, 듀톤의 신 오딘이든 부처든, 모든 영웅은 일정한 영웅의 사이클을 따른다. 그는, 서로 접촉이 없는 세계 각 문화권의 무수한 영웅 신화와 심층 심리학의 꿈 해석에서 재발견되는 영웅의 상징 체계를 분석, 천의 얼굴을 가진 영웅들 가운데서 하나의 영웅, 그러니까 모든 영웅 신화의 본(원형)이 되는 하나의 영웅을 떠올린다. 책을 읽고 있노라면 종교학+신화학+철학+심리학+미학등이 뒤섞여있지만 재미있게 술술 넘어 간다.

목차는

프롤로그 원질신화

제 1 부 영웅의 모험

제1장 출발

제2장 입문

제3장 귀환

제4장 열쇠

제 2 부 영웅의 모험

제1장 유출

제2장 처녀의 잉태

제3장 영웅의 면모

제4장 소멸

에필로그 신화와 사회

 

이렇게 구성이 되어 있다. 나라면 제 1, 2부의 제목을 다르게 붙였을 것 같고 (영웅의 탄생. 영웅의 모험) 뒷 부분에는 찾아보기가 수록되어 있기는 하지만 색인편에 좀 친절하게 잘 모르는 심리분석학의 용어가 있었으면 좋았겠다는 생각을 해 보았다. 너무 많은 방대한 양의 여러 통합 학문을 다루다 보니 좀 산만한 감도 없지 않았다. 하지만 상담을 전공한 나로서는 책을 통째로 필사해야 하는 것이 아닌가 할 정도로 좋은 분석적 내용이 많았다. 뿐만 아니라 신화와 심리학이 연결된 여러 부분에서 통찰이 일어나는 곳이 있어서 책을 읽는 내내 감사함이 있었다. 영웅과 아버지에 대한 이야기, 또 통과의례, 입문에 대한 스토리는 더 많이 분석해 볼 자료라는 생각이 든다. 신화와 심리분석적 연구를 이미 해 놓은 학자가 있다는 것은 후대 피라미 심리학을 공부하는 나에겐 엄청난 시간의 절약과 심리적으로 많은 위안을 준다는 생각을 해 본다.

IP *.107.137.43

프로필 이미지
2012.04.29 06:01:41 *.154.223.199

언니의 53쪽이나 되는 마음을 무찔러드는 글귀를 열어보았어요. 주로 파랑색 글씨를 읽었어요. 저는 40몇 쪽을 주말에 몰아치면서 잘한다고 생각했는데, 어휴 역쉬 언니십니다. 찬찬하게 단어 뜻도 찾고 삶에도 적용하는 모습을 보니 저도 열심히 공부하고 싶어집니다. 벼락치기로 하지말고 날마다 공부를 해서 새기고 적용하는 그런 공부를 해보고 싶은데 말입니다. ^^ 언니가 계셔서 좋습니다. 물이 낮은 곳으로 흐르듯 마음이 따뜻하고 편안한 데로 가는 건 인지상정이지 말입니다. 저도 그렇게 하는 사람이고 싶습니다. 잘 읽었습니다^^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512 35. 살아남기 위하여_자크 아탈리 한젤리타 2012.12.30 2380
1511 깨어 있는 자들의 나라 _ 자크 아탈리 레몬 2012.12.30 48243
1510 #35_세계는 누가 지배할 것인가. 자크 아탈리 서연 2012.12.31 3203
1509 호모 노마드 유목하는 인간-자크 아탈리 [12] id: 깔리여신 2012.12.31 4558
1508 살아 남기 위하여 - 자크 아탈리 세린 2012.12.31 2468
1507 # 35. 미래의 물결 - 자크 아탈리 file 샐리올리브 2012.12.31 3630
1506 마르크스 평전 - 자크 아탈리 콩두 2012.12.31 3867
1505 세계는 누가 재배할 것인가 - 자크 아탈리 file [3] 학이시습 2012.12.31 4527
1504 한국신화 새롭게 쓰기 - 임금복 file 콩두 2013.01.06 3554
1503 36. 꾸뻬씨의 행복여행_프랑수아 를로르 지음 [1] 한젤리타 2013.01.06 4635
1502 #36 프레임 :나를 바꾸는 심리학의 지혜- 최인철 file 샐리올리브 2013.01.06 9334
1501 니가 수학을 못하는 진짜 이유 - 임익 세린 2013.01.06 14480
1500 어느 등산가의 회상 -에밀 자벨- [1] 파에톤 2013.01.07 3161
1499 알베르 카뮈 _ 이방인 레몬 2013.01.07 4626
1498 #36_투자, 심리학에서 길을 찾다. 마크 더를라스 서연 2013.01.07 4421
1497 여자의 심리학-베르벨 바르데츠키지음 id: 깔리여신 2013.01.07 7870
1496 경영이란 무엇인가 [2] 학이시습 2013.01.07 4596
1495 창조하는 경영자 - 피터 드러커(Managing for Results) [1] [8] 학이시습 2013.01.14 5536
1494 37. 꼬마 꾸뻬, 인생을 배우다_프랑수아 를로르 지음 [2] 한젤리타 2013.01.15 3478
1493 #37_ 사람-중심 상담 (A way of Being) 칼 로저스 [3] 서연 2013.01.15 55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