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 양갱
  • 조회 수 2586
  • 댓글 수 8
  • 추천 수 0
2012년 5월 22일 01시 19분 등록

두개의영혼.JPG

<태어나서 5년 10개월>

 

민호는 세 살 때 치과치료의 악몽이 있습니다.

이가 약한 편인지 잘 닦아 주어도 충치가 생겼습니다. 모유 수유를 하니 하루 세 번 칫솔질로는 한계가 있었나봅니다.

뽀로로 그림이 있는 소아치과에 갔습니다. 아이를 묶어놓고 치료를 하더군요.

몸을 움직일 수도 없는 상황에서 그 "윙~"하는 소리, 그 공포의 소리가 민호의 마음에 남았을 겁니다.

그런데 얼마전 민호의 앞니가 깨졌습니다.

  "치과에 안 갈 수도 없고, 가기도 싫어!"

치과에 또 가야 한다는 말에 민호가 한 소리입니다.

또다시 그런 고통을 겪지는 않을까? 민호는 걱정, 또 걱정입니다.

 

  "안 먹을 수도 없고, 먹기도 싫어!"

채소를 먹이려는 엄마, 아빠의 노력에대한 민호의 대답입니다.

채소와 야채를 먹어야 감기도 안걸리고, 키도 쑥쑥 큰다니 안 먹을 수도 없고, 먹자니 쓴 맛이 나니 마음이 혼란스러운 것입니다.

 

  "집에 안 갈 수도 없고, 그만 놀기도 싫어!"

저녁 8시까지 친구 집에서 놀아도 더 놀고 싶고, 그렇다고 집에 안 갈 수도 없는 민호의 외침입니다.

한 번은 휘찬이네 집에서 놀다가 거기서 잔다고 해서, 엄마가 두고 왔는데 밤 10시 정도에 전화가 왔습니다.

잘 놀다가 자려고 이불깔고 누웠더니 민호가 집에 가고 싶다고 운다는 것입니다. 어쩔 수 없이 데려 왔지요.

 

파우스트는 "아, 내 가슴에 두 영혼이 살고 있다" 고 말했습니다.

민호의 모순되는 말을 들으면, 이 말에 수긍할 수밖에 없습니다.

민호 안에는 '이성의 영혼과 감성의 영혼'이 서로 싸우고 있는 것 같습니다.

이성의 영혼이 대변하는 것은 세상을 살기위해 배워야 할 규칙들입니다.

일단 규칙을 알아야 게임을 할 수가 있습니다. 규칙을 무시하면 게임에 끼워주지도 않습니다.

감성의 영혼이 말하는 것은 내면의 소리입니다. 불안, 두려움, 욕망 같은 감정들입니다. 알 수 없는 끌림이나 거부라고도 할 수 있지요. 이것은 생존을 위한 신호입니다. 불안과 두려움이 있었기에 안전하게 몸을 지킬 수 있고, 욕망이 있기에 미지의 세계에 한 발 내딪을 수도 있을 테니까요.

 

분석심리학의 기초자인 '칼 구스타브 융'도 자서전에서 이런 말을 했습니다.

 "나는 단지 '안'과 '밖'의 화해할 수 없는 모순을 보았을 뿐이었다."

융은 우리 안에 있는 두 개의 화해할 수 없는 영혼, '안'과 '밖'의 대립이 당연한 것임을 보여주었지요. 그리고 이 두 세계의 조화를 이루는 것이 자기실현의 목표임을 주장했습니다.

 

이 두 세계의 조화는 치과에 가야 치료를 할 수 있다는 것도 알고, 달콤한 사탕도 먹고 싶은 모순된 마음을 인정하는 것에서 시작합니다. 한 쪽을 무시하거나 억압하지 않고 알아주는 것이 시작입니다. 그 다음은 스스로의 의지가 담긴 선택이 필요합니다.

 

그래서 먼저 민호의 감정을 알아 주었습니다. 그리고 객관적 정보를 줍니다. 세상의 규칙을 알려주는 것이지요.

   "그래 민호가 무섭구나, 그런데 그렇게 하면 이가 더 썩을꺼고 더 많이 아플지 몰라. 더 큰 수술을 해야할지도 모르고."

   "세 살때도 잘 해냈으니까, 일곱살인 지금은 더 잘할 수 있을꺼야."

민호가 고민 끝에 대답합니다.

   "알았어, 대신 묶어 놓고 하는데는 싫어! 그리고 아빠가 손 꼭 잡아줘야 해~"

저희는 친절한 치과를 찾아 민호의 요구사항을 다 들어주었습니다. 

치료를 끝내고는 사탕도 먹으며 산책을 했답니다.  

 

 

 

IP *.166.205.132

프로필 이미지
2012.05.22 03:49:55 *.70.10.30

나는 언젠가 하니를 모델로 삼아 아이에게 배우는 것에 대한 글을 쓰고 싶었어.

하니가 한살 한살 먹어가며 내가 배워가는 것들이 넓어지고

공급은 언제나 있으니 관찰력만 키우면 된다는 생각이 있었거든.

오빠 글을 보니 자신이 사라지는 걸~~~~ ㅋㅋㅋㅋ

민호의 표현이 좋다. 수용적인 분위기에서 나올 수 있는 말이네.

대안을 제시하기 전에 자신이 대책을 생각해내는 모습도 좋다.

오빠와 언니를 보여주는 그림이네.

최근 나는 내가 가지고 있는 괴팍함을 발견하고 깜짝 놀랬지.

음... 생각할 거리가 생겼다. 좋은 꼭지 하나 탄생하나요? ㅋㅋ

오빠의 글을 보니까 좋다.

잊지마. 첫 칼럼부터 지금까지 난 오빠 팬이얌~

우리 하니는 얼마 전 7살이 되면 이가 빠진다는 말에 울었다. ㅋㅋㅋ

프로필 이미지
2012.05.22 09:36:23 *.138.53.71

루미야, 밑에 재동누님 글 봤지?

네가 나의 독자다. ^^

어려우면 어렵다, 이해할 만하다, 좋다. 등

루미의 솔직한 느낌들을 기다리마~ ㅎㅎ

 

프로필 이미지
2012.05.22 09:24:03 *.252.144.139

경수의 글을 오랜만에 보니 참 좋다.

역시 오프수업의 효과가 있네.

 

그런데 글이 자꾸 어려워지고 있는 것 같아.

그것이 경수가 하고 싶은 이야기인 줄은 알겠는데 아이의 성장일기를 기대한 독자들이 어찌 생각할지.

물론 경수같이 심오한 내면을 가진 독자도 분면 존재하겠지만.

경수가 생각하는 독자 1명을 구체적으로 설정하고 글을 쓰면 좋겠다.

주변에 찾아봐. 분명 있을거야.

그 사람의 눈 높이에 맞춰서 쓰면 좋은 글이 나올거야.

다음주에도 기대할게.

프로필 이미지
2012.05.22 09:40:02 *.138.53.71

책 전체적으로는

좀 어려운 것과 쉬운 것들을 섞어 가려고 하는데

이번 것은 좀 어려웠나요?

길게 설명하는 것 대신 함축적인 대화만으로 전달될 줄 알았는데

좀 풀어봐야 겠군요.

 

저의 독자는 루미와 훈형이랍니다~

다음주도 기대하세요~~^^

 

 

프로필 이미지
2012.05.22 11:35:10 *.38.222.35

그렇게 어렵진 않은 것 같은데. 융의 인용구는 좀 어려운 것 같기도.

파우스트의 인용문은 확 와닿아서 좋았음!!! 인용문에서 확 와닿는데, 오히려 밑에 설명하려고 쓰는 글이 좀 어렵네..(다시보니..ㅋㅋ)

 

요즘 EBS 에서 하는 어른들이 달라졌어요. 시리즈를 재미있게 보고 있는데,

민호네 가족은 아주 행복하고 소통이 잘 되는 가족인 듯.

 

오라버니 칼럼을 이 게시판에서 보니 더  반갑구려.ㅎㅎㅎ.

프로필 이미지
2012.05.23 01:55:28 *.166.205.131

미나가 안 어렵다니 다행.

요새 어려운 책 읽어서 상대적으로 그런거 아녀?^^

다시 읽어보고 조금 줄여봤다~

 

우리 가족도 어둠이 있지, 싸우고 삐지고 상처받고...

이 속에서 길을 찾아가는 것이 나의 과제 같아.

 

미나의 댖글이 반갑구려 ㅎㅎ

프로필 이미지
2012.05.25 08:55:04 *.114.49.161

아이를 낳아 기른다는 건 스승을 한 분 모시는 것과 같다는 말을 최근에 들었어요.

민호의 말이 화두가 되고 질문이 되는 듯 합니다.

열공하시는 듯 합니다. 잘 읽었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2012.05.26 09:47:54 *.166.205.131

오딧세이아와 율리시즈를 오가며 하루를 살고 계실 콩두님.

관심어린 댖글에 고맙습니다.

연구원생활로 인해 스트레스가 많으시겠지요?^^

잘 관리하며 생활하시길.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232 #6오르페우스이야기 서연 2012.05.15 2288
2231 #30. 신치의 모의비행-사진 file [3] 미나 2012.05.16 2288
2230 쉼표 여섯 - 쉬어야 할 때는 몸이 알아요 file [2] 재키 제동 2012.05.16 2639
2229 #7. 터키로 떠나면서 [6] 한젤리타 2012.05.18 2274
2228 단상(斷想) 101 - Viva La Vida file [1] 書元 2012.05.20 2269
2227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클라리넷 협주곡 KV 622 [10] [1] 샐리올리브 2012.05.21 3052
2226 대가의 인생 및 가족 경영 [5] 학이시습 2012.05.21 2184
2225 몰리와 거티의 대화- 여자의 욕망에 대하여 [8] 터닝포인트 2012.05.21 2367
2224 쌀과자#7_불안한 사랑이냐, 불행한 안정이냐 [5] 서연 2012.05.21 2312
2223 2년 전 오늘의 하루 [5] 장재용 2012.05.21 2024
2222 10일간의 스승의 날 - 의식의 흐름을 따라서 file [4] 세린 2012.05.21 2250
2221 클레오파트라와 안토니우스 그리고 나우시카와 블룸 [10] id: 문윤정 2012.05.21 3078
2220 스킬라 쪽으로 붙어 [10] 콩두 2012.05.21 2511
2219 [재키제동이 만난 쉼즐녀 2] 서치펌 커리어케어 이영미 상무 file [8] 재키 제동 2012.05.21 3712
» [일곱살 민호] 두 영혼이 화해하는 방법 file [8] 양갱 2012.05.22 2586
2217 꼭 책을 써야 할까? file [12] 루미 2012.05.22 2312
2216 나를 가장 미워하는 사람 [5] 미선 2012.05.22 2570
2215 #31. 신치의 모의비행<나를 바라보는 세개의 시선>외 [11] 미나 2012.05.22 2100
2214 신부님,우리들의 신부님 [3] id: 문윤정 2012.05.28 2865
2213 쌀과자#8_소돔과 카오르 [3] 서연 2012.05.28 21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