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좋은

함께

여러분들이

  • 명석
  • 조회 수 8912
  • 댓글 수 3
  • 추천 수 0
2012년 5월 30일 20시 44분 등록

류시화, 나의 상처는 돌 너의 상처는 꽃, 문학의 숲, 2012


수강생에게서 시집 한 권을 선물받았다. 류시화, 시인이기보다는 명상시집의 편집자로서 탁월하다고 생각했고, 어딘지 음습해 보이는 인상 때문에 그다지 호감을 갖고 있지 않았기에 별 기대 없이 책을 펼쳤다가 깜짝 놀랐다. 평이한 시어 속에 담긴 상념이 너무나 진솔하여 거의 모든 시가 내 속을 비집고 들어왔기 때문이다. 한번쯤 나도 느껴 보았던 단상들이 그의 손을 빌어 시로 탄생해 있었다. 비슷한 연배겠구나 싶어 서둘러 찾아보니 나보다 한 살 아래인 58년생이다.


이 시집을 관통하는 것은 ‘사라진다는 것에 대한 쓸쓸한 경이감’이다. 이 책에 네 번째로 실린  ‘소면’을 나는 이 시집의 대표시로 읽었다.


------------

잠시 후면, 우리가 이곳에 없는 날이 오리라

열흘 전 내린 삼월의 눈처럼

봄날의 번개처럼

물 위에 이는 꽃과 바람처럼

이곳에 모든 것이 그대로이지만

우리는 부재하리라

그 많은 생 중 하나에서 소면을 좋아하고

더 많은 것들을 사랑하던

우리는 여기에 없으리라

------------

이것이 그것인가 이것이 전부인가

------------

이 영원 속에서 죽음은 누락된 작은 기억일 뿐

나는 슬퍼하는 것이 아니다

경이로워하는 것이다

저녁의 환한 살구나무 아래서



중년이 지나면 끝이 보인다. 언제고 이 모든 것이 끝나는 날이 오고야 말리라는 것이 확실해진다. 그러니 지금 너무나 당연하게 누리는 것들이 모두 기적처럼 느껴질 수밖에 없다. 또 다시 내게 주어진 하루, 어김없이 피어난 진달래, 맛있게 무쳐진 나물, 공기와 햇살... 모든 것이 너무나 소중해서 가슴이 저리다. 이 生을 좀 더 맛보고 싶어 허둥거려질 때, 내 삶의 정점은 언제였나  되짚어 보기도 한다.


첫사랑... 내가 30년 만에 그 마을을 찾아갔듯이 시인도 반딧불이가 날아다니는 고향을 추억한다.  “내 사랑은 언제나 과적이었다”고 말하는 감성 풍부한 시인이지만, 그래도 '처음'은 독보적인 가치를 가진다.  서툴고 가난하던 시절에 다락방에서 몸부림치던 실존을 알아 봐 준 사람과, ‘훗날 우연히 명성을 얻어 자유로이 여러 나라를 돌아다니던’ 시절의 풍요가 같을 수는 없기 때문이다.   두 편의 시에서 발견한 그이의 ‘이마’에 나는 가슴이 뛴다. 우리 모두가 두고 온 시절, 너무 어리고 뭘 몰랐지만 그렇기에 더욱 충만하고 가슴 벅차던 시절, 이제 믿지 못할 나이의 지쳐 빠진 낙타가 되어 되돌아 보는 우리들의 청춘.



어머니에게 인사를 시키려고

당신을 처음 고향 마을에 데리고 간 날

밤의 마당에 서 있을 때

반딧불이 하나가

당신 이마에 날아와 앉았지


그때 나는 가난한 문학청년

나 자신도 이해 못할 난해한 시 몇 편과

머뭇거림과

그 반딧불이 밖에는

줄 것이 없었지

 


 

나는 너의 이마를 사랑했지

새들이 탐내는 이마

이제 막 태어난 돌 같은 이마

----

스물 두 살의 봄이었지

새들의 비밀 속에

내가 너를 찾아낸 것은

책을 쌓아 놓으면 둘이 누울 공간도 없어

거의 포개서 자다시피 한 오월

내 심장은 자주 너의 피로 뛰었지

 



시인은 계속해서 이와 비슷한 감성을 변주해 낸다. 그저 길을 걷다가 生이 끝나버릴 수도 있다는 것을 알게 된 세대답게, 남들보다 두세 배는  예민한 촉수를 가진 시인답게, ‘이 곳’에 간절한 시선을 던진다. 하지만 그의 노래는 시종 담담하다. 잘은 몰라도 명상과 수행에 오랜 관심을 가져 온 덕분일지, 비통하기 보다 그저 조금 쓸쓸하다. 생명이 오고 가는 것은 계절이 바뀌는 것 만큼이나 자연스러운 일이고, 앞서고 뒤서는 것 역시 '다른 꽃보다 아홉 밤은 먼저 지는 흰 모란' 과 다르지 않다는 것을 받아들인 목소리로 '이 곳'을 노래하듯 '저 곳'에 수신호를 보낸다. 그래도 계속해서 그의 시상을 점령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이 담담함이 얼마나 깊은 슬픔을 거쳐 왔을지는 짐작이 가는지라 그의 담담함이 더욱 애잔하다.


 

지상에서의 삶은 어떤가요

매화는 피었나요 소복이

삼월의 마지막 눈도 내렸나요 지난번

가시에 찔린 상처는 아물었나요

천상에서의 삶은 어떤가요

그곳에도 매화가 피었나요 촉촉이

초봄의 매우도 내렸나요 혹시

육체를 잃어서 슬픈가요



어느 날 갑자기 너는 그곳에 도착할 것이다

죽는 법을 배우지도 못한 채

사랑하는 법도 배우지 못한 채

질문과 회피로 일관하던 삶을 떠나

이미 떨어진 산목련 꽃잎들 위에

또 한 장의 꽃잎이 떨어지듯

네가 기억하지 못하는 모든 생들에

또 하나의 생을 보태며



15년 만에 펴낸 세 번째 시집이란다. 그의 명성에 비해 시집이 너무 적어서 살짝 놀랐지만, 350여 편의 시에서 고른 56편을 보는 것만으로도 “놀지 않았구나!” 하는 심경이 된다. 동시에 그에게 가졌던 근거 없는 비호감을 거두어 들인다.  이 시집에서 보여준 쓸쓸한 해탈에 깊은 동질감을 느꼈기 때문이다. 특히 이런 구절들이  좋았다.



슬픔만으로는 무거워 날지 못할 테니

기쁨만으로는 가벼워 내려앉지 못할 테니

--------

내 한 손이 다른 한 손을 맞잡으면

기도가 된다는 것을

---------

몇 번의 계절보다 약간 긴 삶에서

이 꽃만큼 우리가 이곳에 존재하는 이유를

일러 준 것도 드물었지요



그의 해탈에 일등공신은 당연히 詩일 것이다. ‘저쪽 세계’에 가서도 할 일이 있는 사람은 행복하다. 나도 행복하다.



모로 돌아누우며 귓속에 담긴 별들 쏟아 내다


어느 소수민족은

여인이 죽어서 땅에 묻힐 때면

그 영혼이 한쪽으로 돌아눕는다고 한다

영혼들의 세계에 가서 한 손으로 실을 자아야 하기 때문이다


그 여인이 잣는 실 아득히

은하처럼 흐르는 밤

별똥별은 깜박 졸다가 지붕 위로 떨어진 것


내가 죽어서 땅에 묻히면

내 혼도 모로 눕겠다

저쪽 세계로 가서

한 손으로 시를 지어야 하니까


 


 

글쓰기, 책쓰기 강좌를 하고 있습니다.

글쓰기를 통한 삶의 혁명 --->  http://cafe.naver.com/writingsutra


 





IP *.108.71.130

프로필 이미지
2012.07.06 21:39:19 *.10.140.31

원서로 읽을 책과 번역서를 함께 본적이 있는데

그 맛깔스러운 번역에 감수성하며...

이름도 그렇고 해서 ..

한동안 류시화 시인이 여자인줄 알았었습니다.

 

=

 

중년이 지났다고는 하기는 어렵고 이제 중년을 누리는 나이가 되어 보니..

그러면 보인다고 하시는 말이 조금은 이해가 됩니다.

 

시가 좋고 철학이 마음에 끌리고...

밥 먹고 살자고 하는 나의 모습도 보이고....

먹고 살자고 정신없이 뛰어가는 주변 사람들도 보이고..

쑥쑥자라는 아이들도 보이고..

프로필 이미지
2012.07.15 13:06:50 *.108.47.162

잘 지내시지요? 햇빛처럼님.

내 모습과, 나를 둘러 싼 정황이 다 보이면,

내가 해야할 일이 보이고, 나아가야 할 곳도 보이겠지요.

좋은 일입니다. 

살아있음으로 충만한 나날 보내시구요, 댓글 감사드려요~

프로필 이미지
2012.08.31 16:14:03 *.181.155.100

명석선생님, 안녕하세요? 이경우입니다.

아직도 책 못쓰고 있어요. 게으름이 첫번째, 다음은 용기 부족...어쨋거나 이관문을 통과하는 것이 숙명인데,......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북리뷰 안보이시는 분들 일단 파일첨부를 해주시기 바랍니다... [4] 관리자 2009.03.09 154011
818 북리뷰4주차-기억 꿈 사상 file 이은주 2010.03.08 6441
817 <북리뷰>한국판 잃어버린 10년이 온다-『2020 부의전쟁 in ... 구름을벗어난달 2011.01.17 6847
816 다산이 걸어간 '사람의 길' -『뜬 세상의 아름다움』 현운 2009.10.30 7277
815 [먼별3-19] <헤르만 헤세의 "나르치스와 골드문트"> 예술 너... 수희향 2011.02.10 7444
814 [먼별3-21] <자크 아탈리의 "살아남기 위하여"> 미래사회 7... 수희향 2011.02.16 7496
813 <북리뷰>풍경 너머로 흔들리는 부성의 부재-『내 젊은 날의... 구름을벗어난달 2011.02.01 7529
812 [그림책] 우리도 가끔은 하느님이예요 file 한정화 2012.05.16 7601
811 신화와 인생 북 리뷰 file narara 2010.02.15 7620
810 8기 예비 연구원 (1) 헤로도토스의 역사 : 진성희 file 샐리올리브 2012.02.19 7737
809 서른 살 직장인, 책읽기를 배우다 나리 2009.08.12 7834
808 [7기 연구원지원] 서양문명을 읽는 코드 신을 읽고서 file 박주선 2011.03.14 7916
807 10기 2차 레이스 4주차-괴테와의 대화(이은심) file 왕참치 2014.03.03 8377
806 [먼별3-33] <이부영의 "아니마와 아니무스"> 남성안의 여성성... 수희향 2011.03.23 8394
805 숲에게 길을 묻다 부지깽이 2009.06.02 8468
804 16. 소크라테스의 죽음에서 얻는 삶의 지혜 관리자 2011.12.01 8487
803 책을 읽으며 나우리 2008.10.22 8499
802 [북] 왜 일하는가? 대답할 수 있는가? 하모니리더십 2010.11.24 8515
801 억압받는 자들이 가야 할 길.. [위건부두로 가는 길] -조... 날고픈돼지 2011.02.07 8532
800 그리스 비극을 읽는 기본지식 연지원 2013.09.16 8548
799 "신화와 인생"-6기 후보자 김창환 야콘 2010.02.15 85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