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루미
- 조회 수 4651
- 댓글 수 6
- 추천 수 0
“다녀오겠습니다.”
하니를 태운 어린이집 차가 멀어집니다.
“다녀오마.”
엄마가 문화센터에 갑니다.
나는 집에 있습니다.
내가 평범한 전업주부라면 다른 이들을 밖으로 보낸 후 맞이하는 혼자만의 시간을 만끽했을 거예요. 두 다리를 쭉 뻗고 티비 리모컨을 손에 쥐었겠지요. 나 역시 엄마처럼 문화센터에 나가 뭔가를 배우겠다며 시도하고 있을지도 모릅니다. 나는 그럴 입장이 아닙니다.
집이 이사를 하면서 다니던 직장을 정리했습니다. 이 넓은 세상에 나 하나 할 일이 없겠냐며 걱정도 안했습니다. 이제 생각해보니 걱정해야 했던가봅니다. 예전엔 학원 강사를 했는데 주요 과목이 아니라 경력을 이어갈 방법도 없습니다. 자리가 많지 않거든요. 구하는 곳을 찾는 것부터 힘든 일이었지요. 다른 일을 하자니 할 줄 아는 것도 없었습니다. 내가 뭐 대기업에 들어가 성공가도를 달리겠다는 것도 아니고 그저 딸아이와 함께 살 수 있는 정도의 돈을 벌자는 것 뿐인데 쉽지 않네요. 몇 군데 이력서를 넣고, 미끄러지다보니 석달이라는 시간이 훌쩍 지나버렸습니다. 아르바이트라도 해야 할까요?
아무런 할 일이 없는 하루는 일로 바쁜 하루만큼 피곤합니다. 하루 중 어느 일에도 집중할 수 없습니다. 혹시나 연락이 왔는데 받지 못할까봐 휴대폰을 떼어 놓지도 못합니다. 머릿속으로는 언제 어디에 이력서를 냈는지를 더듬어 보며 연락이 올만한 예상 날짜를 잡습니다. 할 일 없이 티비를 돌리다 아무 할 일없는 상황에 짜증도 나지요. 아침이면 혹시나 하는 기대를 해 보고 퇴근 무렵이면 기대 크기 만큼의 실망이 돌아오는 날입니다. 하루가 지날때마다 자신감은 절반으로 부러집니다.
찌개를 끓입니다. 냉장고에서 반찬들을 꺼내 접시에 담아냅니다. 물 한 컵까지 가지런히 세팅하고 식사를 합니다. 혼자 먹는 점심입니다. 밥이 먹고 싶었습니다.
혼자 하는 식사는 초라해지기 일쑤였습니다. 아이가 있을 때는 계란프라이라도 하곤 했지만 혼자서는 그럴 생각도 못했습니다. 아침에 내려놓은 커피를 마시거나 과자를 몇 개 먹곤 했지요. 식사를 한다는 느낌보다는 한끼를 때운다는 느낌이 강했습니다. 그걸 이상하다 느껴본 적은 없었습니다. 하지만 그 날은 나에게 밥상을 차려주고 싶었습니다. 점점 기운 빠져 가는 내가 불쌍히 느껴져서 그랬는지도 모르겠습니다. 부른 배를 통통 두드리며 만족스러운 미소를 띄어봅니다.
우리는 밥값이라는 말을 사용합니다. 밥을 먹을 자격이라는 의미지요. 일하지 않는 자는 먹지도 마라는 말처럼 놀고 있는 녀석은 자격도 없는 주제에 먹을 것을 탐한다 합니다. 하지만 사람은 밥을 떠나 살 수 없습니다. 어떤 식으로든 무엇이든 우리를 유지해 줄 만큼의 영양분을 섭취해야 합니다. 예외는 없습니다. 살아 있는 생명은 누구라도 이를 필요로 합니다. 식사는 우리를 살아있게 만드는 최소한의 물질적 필요입니다. 선택이 아닌 필수이지요. 살아있다는 사실만으로 식사는 의무가 됩니다.
많은 백수들의 구직 조건은 여러 가지겠지만 그들의 바람은 한 가지입니다. 일을 하고 싶다 것이 그것이지요. 지금은 일을 하지 않고 있다 하여 그들이 일을 하고 싶지 않은 것은 아닙니다. 누구보다 일을 하게 되기를 바라고 있지요. 이런 마음을 가지고 있는 나에게 밥값이라는 잣대를 들이대 비난하는 것은 너무 가혹한 일입니다. 계속되는 거절에 휘청거리지 않을 사람은 별로 없지요. 아직도 거절당할지 모르는 상황에 처해 있기에 우리는 더욱 든든히 먹어 두어야 합니다.
식물은 자신에게 필요한 양분을 스스로 만들어냅니다. 그들은 자연이 주는 약간의 물과 햇빛만으로 자신을 키울 수 있지요. 사람은 아닙니다. 사람은 다른 생명의 희생을 필요로 합니다. 우리의 식탁에 오르는 아이들은 얼마 전까지만 해도 살아서 숨쉬는 생명이었습니다. 지금 그들은 온 몸을 던져 우리에게 하루를 살아갈 수 있는 힘을 나누어 줍니다. 밥을 먹고 살아간다는 것은 수많은 생명에게 빚을 지는 것과 같습니다. 다른 생명으로 나의 생명을 유지하는 나는 또 다른 생명을 위해 나의 생명을 사용해야 합니다.
어미의 몸 속에서 탯줄을 통해 전해오는 양분을 공급받으며 태어난 우리는 생명에게 빚을 지는 것을 피할 수는 없습니다. 우리의 생명은 다른 생명의 희생으로 연장됩니다. 그들에게 우리를 살리려는 의도가 없었다 해도 말입니다. 우리가 어떤 상황 속에 있다 해도 이는 변치 않을 사실입니다. 우리의 하루는 누군가가 빌려준 생명이며 우리는 이 안에 나의 생명을 유지해야 하는 책임과 다른 생명을 도와야 하는 의무를 부과받습니다. 오늘 밥을 먹은 우리는 눈을 크게 뜨고 찾아야 합니다. 무엇으로 이를 갚을 것인지.
밥을 든든히 먹고 주변을 둘러보세요. 살아 있기에 밥은 피할 수 없는 숙명이며, 이것에는 어떤 자격도 없습니다. 그저 살아있는 생명이라면 누구나 행해야 하는 일이지요. 우리가 해야 할 일은 나를 유지하고 나의 생명을 다른 생명을 위해 사용하는 일입니다. 그것이 우리에게 생명을 나누어 준 모든 것들에 대한 보답이겠지요. 꼭 거창할 필요도 없는 듯 합니다. 오늘 우리 집 앞의 쓰레기 하나를 주워도 다른 생명에 대한 배려 아니던가요. 옆의 사람을 웃게 해도, 꽃에 물을 주어도 역시 마찬가지겠지요.
오늘 당신은 무엇을 드셨나요? 그리고 무엇을 하셨나요?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3072 | 혼자서 뭐하지? [12] | 루미 | 2012.07.03 | 2806 |
3071 | 무너진 자리에서 다시 일어서기 [7] | 장재용 | 2012.07.02 | 2561 |
3070 |
내 고향은 아프리카 ![]() | 구라현정 | 2012.07.02 | 2106 |
3069 | 소크라테스 처럼 [14] | 세린 | 2012.07.02 | 2218 |
3068 |
#13 우리들의 이야기 ![]() | 샐리올리브 | 2012.07.02 | 2210 |
3067 | #13. 눈을 감고 느껴보세요 [14] | 한젤리타 | 2012.07.02 | 2313 |
3066 | 쌀과자#13 잉여와 결핍 [12] | 서연 | 2012.07.02 | 2297 |
3065 | 싫어요 [10] | 콩두 | 2012.07.02 | 2994 |
3064 | 시대를 가르는 Mind-Power 어떻게 키울것인가? [10] | 학이시습 | 2012.07.02 | 2123 |
3063 | 머리카락 한 올의 오차가 가져오는 결과는 [8] | ![]() | 2012.07.02 | 2537 |
3062 |
[일곱살민호] 힌트는 눈이야 ![]() | 양갱 | 2012.06.26 | 2457 |
» | 밥값도 못 하는 순간 [6] | 루미 | 2012.06.26 | 4651 |
3060 | 깨달음을 위한 프로세스 2 생각의 시스템1 시스템2 [6] | 백산 | 2012.06.26 | 2388 |
3059 | 쉼표 열 하나 - 그 많던 여자들은 다 어디로 갔을까? [6] [1] | 재키 제동 | 2012.06.25 | 2815 |
3058 | 연구원 1년차 이후의 길잡이 [10] | 콩두 | 2012.06.25 | 2393 |
3057 | 아빠에게 [5] | 세린 | 2012.06.25 | 2345 |
3056 | 책은 선인가 악인가 [6] | ![]() | 2012.06.25 | 2179 |
3055 | 쌀과자 #12_단테와 프로메테우스 [3] | 서연 | 2012.06.25 | 2611 |
3054 | 파우스트 박사의 진실의 힘 [4] | 샐리올리브 | 2012.06.25 | 2593 |
3053 | 권위에 맞서는 자者 [10] | 장재용 | 2012.06.25 | 2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