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 루미
  • 조회 수 2296
  • 댓글 수 6
  • 추천 수 0
2012년 7월 10일 12시 28분 등록

? 수술이요?”

화상을 입은 손가락이 구부러지지 않을 수도 있으니 발바닥의 피부를 옮겨야 한답니다. 덤덤히 작은 수술이라고 말하는 의사선생님을 멍하니 바라봅니다. 상처가 생각보다 심하다며 큰 병원을 가보라 해서 왔지만 수술이라는 말을 들을 줄은 몰랐습니다. 그렇게 14개월짜리의 병원 생활이 시작되었습니다.

 

커다란 병원 침대에 혼자 뉘여 수술실로 들어보냈습니다. 밖에서 발만 동동 구를 뿐입니다. 마취 가스에 제대로 된 울음소리조차 내지 못하는 아이를 안아줄 수도 없습니다. 작은 아이 몸에는 이름도 알지 못하는 선들이 주렁주렁 매달려 있거든요. 조심하지 못하는 아이는 손의 붕대를 늘 풀어내지만 붕대를 감아주는 의사를 그저 바라봅니다. 제대로 먹지 못하던 아이를 관장하는 일이 다반사였지만 그저 금방 끝날거라는 말만 되풀이 합니다. 널 위해서라면 못할 일이 하나도 없다고 말하던 엄마는 점점 작아집니다. 아무것도 해줄 수 있는 일이 없었지요. 아이를 먹게 할 수도 없고, 붕대를 풀지 못하게 하지도 못했습니다. 그저 안아주고 달래주는 것 뿐이었지요.

 

다른 사람이 아픈 모습을 지켜보는 것은 힘든 일입니다. 사랑하는 대상이라면 더욱 그렇지요. 할 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고 그저 사랑만 있습니다. 사랑만으로는 아무것도 할 수 없습니다. 현실적으로 어느 것 하나 도움이 되지 않지요. 때 되면 배고파지는 내가 싫어집니다. 아이가 화상을 입게 만든 나의 부주의가 못 견뎌집니다. 다쳐서 힘든 아이 앞에 멀쩡한 내가 미안해집니다.

 

김애란님의 <두근두근 내 인생>의 주인공 아름은 조로증입니다. 아름에게는 시간이 빨리 흐르지요. 하루가 다른 이들의 3~4일쯤 되나 봅니다. 아름은 말합니다.

아플 때는 그냥 그런 기분이 들어요. 철저하게 혼자라는. 고통은 사랑만큼 쉽게 나눌 수 있는 게 아니라는. 더욱이 그게 육체적 고통이라면 그런 것 같아요.”

아름의 말에 공감합니다. 상대의 아픔을 이해할 수 있기를 바라지만 그게 어떤 고통인지 짐작할 수조차 없는 지도 모릅니다. 그 고통 앞에 해줄 수 있는 일이 하나도 없다는 사실이 우리를 괴롭힙니다.

 

아이가 병원에 있는 동안 아기띠는 필수품이 되었습니다. 아무것도 할 수 없는 아이를 안고 병원 모험을 얼마나 다녔던지요. 소아과에 가서 또래 아이들을 구경하기도 하고, 바깥바람을 쐬러 나가기도 했습니다. 잠들지 못하는 아이를 안고 동요를 부르며 깜깜한 병동을 도는 것은 매일의 일과였지요. 한 시간쯤 지나 잠든 아이를 보면 마음이 편안해지곤 했습니다. 나는 아무것도 할 수 없는 것이 아니었습니다. 철저히 혼자일 수밖에 없는 시간을 함께 보내는 사람이 있다는 사실을 일깨워주려 부단히 노력하고 있는 엄마였지요.

 

아름은 한 소녀에게서 메일을 받습니다. 소녀는 아름에게 힘이 되어줍니다. 아름은 처음으로 비밀을 공유하고, 마음의 설렘을 느낍니다. 하지만 그 메일의 주인공은 열일곱 소녀가 아닌 서른여섯 아저씨였지요. 앞을 못 보게 된 아름 앞에 찾아온 아저씨에게 아름은 말합니다.

우린 한 번도 만난 적이 없지? 직접 목소리를 들은 적도 없고, 얼굴을 마주한 적도 없고, 어쩌면 앞으로도 영영 만날 수 없을 테지? 하지만 너와 나눈 편지 속에서, 네가 하는 말과 내가 했던 얘기 속에서, 나는 너를 봤어. 그리고 내가 너를 볼 수 있게, 그 자리에 있어주었던 것 고마워.”

아름은 서른여섯의 아저씨에게 말하는 것이 아니라 열일곱의 서하에게 말을 합니다.

 

삶의 힘든 장면에서는 혼자라는 느낌을 받습니다. 누구도 나와 대등한 아픔을 느끼지 않기 때문이지요. 그런 사람을 보는 마음은 쉽지 않습니다. 이해해준다고 하기에는 이기적이고, 아무것도 해줄 수 없는 나는 무능력하지요. 문득 생각해 봅니다. 모두가 해결책을 바라는 걸까요? 물론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는 이는 매력적인 대상이 될 수 있음을 인정합니다. 하지만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한다고 우리가 쓸모없는 사람인 걸까요? 그의 손을 잡아 줄 수 있는 우리가?

 

우리가 나 아닌 다른 이의 아픔을 백퍼센트 공감하고 이해한다는 것은 오만일지도 모릅니다. 그렇다고 옆에 있는 우리의 존재가 아무것도 아닌 것은 아닙니다. 아픔으로 악악 거리며 울어대는 하니의 옆에서 눈물만 뚝뚝 흘리며 아무것도 못해주는 나를 질타했지만 그게 내가 없어도 되는 이유는 아닙니다. 내가 아프다는 사실을 알아주는 존재만으로도 위로를 받는 것이 사람입니다. 아픔의 긴 터널을 지날 때 옆에서 계속 종알거리기만 하는 귀찮은 존재에게도 사람은 위안을 느낍니다. 아름 역시 소녀에게 위안을 느꼈던건 아닐까요.

 

아픈 사람의 모습을 보는 것은 쉽지 않은 일입니다. 사랑이 없다면, 애정이 없다면 옆에 있어줄 수조차 없습니다. 나의 시간을 쪼개어 혹은 나의 모든 노력을 기울여 아픔이 있는 사람의 옆에 있어주세요. 지금은 비록 그가 아픔에 가리어 나의 노력을 몰라줄지도 모르지요. 그렇다고 하여 내가 쓸모 없는 존재는 아닙니다.

 

육체적인 고통이건 마음의 상처건 극복해야 하는 건 당사자입니다. 다음날 아침 씻은 듯 낫게 해줄 수 있는 건 신밖에 없는지도 모릅니다. 할 수 없는 건 제쳐두고 우리는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에 메달려야 합니다. 하니의 발바닥을 빨리 아물게 할 수는 없지만 발이 되어 나들이를 갈 수 있습니다. 아픔에 칭얼대는 아이를 품에 품어 줄 수 있습니다. 눈이 동그란 아이를 위해 한 시간 동안이라도 자장가를 불러 줄 수 있습니다. 회복속도를 빠르게 하지도 못하고 아픔을 덜어줄 수도 없지만 그 시간을 함께 해줄 수 있습니다.

 

아무것도 해줄 것이 없다면 노래라도 불러주세요. 아주 어린 날 엄마가 우리를 펑온히 잠재우기 위해서 불러주었던 자장가라도. 그렇게 나의 온기를 전해주세요. 넌 지금 힘들지만 나는 너에 곁에 있을 거라는 말을 소곤거려 주세요. 아픔에 발버둥치는 사람의 곁을 묵묵히 지켜주세요. 우리는 아무것도 하지 못한 것이 아닙니다. 가장 커다란 것을 해주는 것이지요. 그를 사랑하지 않은 사람은 해줄 수 없는 아픈 그의 곁에 있어주는 대단함.

 

지금도 아프고 힘들어 하는 이를 위해 현실적인 도움을 주어야 한다고 생각하나요? 자책은 그만 두세요. 대신 온 마음을 다해 그 사람을 안으세요. 상대의 아픔에 아파하고 터널을 빠져나오는 순간을 기뻐해 주세요. 그것이 우리가 상대에게 베풀어 줄 수 있는 최선입니다.

IP *.23.188.163

프로필 이미지
2012.07.10 12:43:32 *.151.207.149
루미의 글에서 법정스님을 만났네요. 법정스님이 그러셨다지요. 고달푼 중생이 이런저런 고민을 들고오면 다 듣고난 후 차 한잔을 쓰윽 내미셨다고. 이렇다할 조언은 없이.. 하은이는 잘자라고 있지요?
프로필 이미지
2012.07.12 19:54:49 *.70.30.79
법정스님이라니요......
너무 영광인데용~~ 캬~~~
하은이를 낳을 때 엄마의 존재가 그랬어요
아무 것도 해주지 못하지만 그저 침대 옆에 서 있는 것만으로
저에겐 힘이 되더라구요....
우리 엄마 칭찬도 잘 못하는 사람이라 잘한다 내새끼...
뭐 이런 말도 못했는데 말이예요 ㅋㅋㅋ
매번 힘을 주는 우산님~~ 보고파용~~
프로필 이미지
2012.07.10 17:25:40 *.114.49.161

제가 댓글 안 달고 연구원 칼럼을 읽으러 들어왔을 때

누가 누구인지를 구분 못하면서 저한테는 뭉뚱거려 다 '연구원 칼럼'일 때요,

병원에 입원한 아이를 업고 동요를 내내 불렀다는 글을 읽고 내내 기억에 남았어요.

옆에 있어 주는 것이 사랑이라고 하던데, 그게 참 어렵지 말입니다.

잘 읽었습니다. 보석이름 or 시인이름 루미 선배님

프로필 이미지
2012.07.12 19:58:44 *.70.30.79
일화 기억이 오래간다고 하죠... ㅋㅋ
스토리가 가진 힘인 듯 합니다
이야기를 보여 주는 것만으로 기억의 연장 효과가 있는 듯 해요
착각인가요? ㅋㅋㅋ
보석이름, 시인이름이라니요....
너무 좋네요~~~ 캬캬캬
윤정님은 항상 제게 힘을 주는 분이세요^^
프로필 이미지
2012.07.11 09:03:45 *.252.144.139

루미는 참 좋은 엄마야.

나는 무뚝뚝해서 그렇게 못해주는데.

하은이는 사랑이 가득한 아이로 자랄거라 믿는다.

프로필 이미지
2012.07.12 20:01:14 *.70.30.79
언니는 동기부여와 성과에 탁월한 엄마가 될꺼야.....
우리 루미도 언니 따라 잘 가고 있잖아요 ㅋㅋ
형부한테 하는 거 보면... 우리 언니 무뚝뚝하지 않은데...ㅋㅋ
언니는 좋은 엄마야
언니가 언니 자신을 잘 가꿔나가고 있잖아
그것보다 더 좋은 엄마가 어딨어.... 안 그래?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092 나의 오지 [1] 장재용 2012.07.17 2071
3091 #15. 7월 오프수업 - 내적 외적 탐험 [2] 한젤리타 2012.07.17 2264
3090 7월 오프 수업 - 내적 외적 사건 [2] [1] 세린 2012.07.17 2437
3089 7월off수업_내적 외적사건 [1] 서연 2012.07.17 2374
3088 나의 내적 탐험 이야기 학이시습 2012.07.16 2397
3087 7월 off수업-내적 외적사건 [4] id: 깔리여신 2012.07.16 2300
» 해줄 것이 없어 미안해(수정) [6] 루미 2012.07.10 2296
3085 #37. 신치의 모의비행-서른살생일 [8] 미나 2012.07.09 2505
3084 쉼표 열둘 - 멀리가려면 함께 가라 file [8] 재키 제동 2012.07.09 2620
3083 나의 문명 전환 [6] 콩두 2012.07.09 2369
3082 원형극장에서 부르는 노래 [6] id: 깔리여신 2012.07.09 2524
3081 김교수와의 만남(공개) :) [7] 세린 2012.07.09 2349
3080 Louisvuitton과 문명 그리고 의식성장에 관한 소고. file [11] 샐리올리브 2012.07.09 2164
3079 쌀과자 #14_인간활동의 동기 [4] 서연 2012.07.09 2155
3078 최초의 여성 심리 비극 ‘메데이아’ 를 읽고 생각 한다. [10] 학이시습 2012.07.09 3584
3077 #14. 자연과 하나가 된 시인 '테오크리토스' file [6] 한젤리타 2012.07.09 2748
3076 길을 거스르다 [7] 장재용 2012.07.09 2437
3075 단상(斷想) 105 - 도시의 그날 하루 file [1] 書元 2012.07.08 2407
3074 #36.신치의모의비행-누가날위해울어줄까 [6] 미나 2012.07.03 2365
3073 [재키제동이 만난 쉼즐녀 3] 로레알 키엘 이선주 상무 file [18] 재키 제동 2012.07.03 87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