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문요한
  • 조회 수 5811
  • 댓글 수 0
  • 추천 수 0
2012년 7월 18일 10시 54분 등록

 

"건축가로서 내가 한 일은 원래 거기 있었던 사람들의 요구를 공간으로 번역한 것이다."

arch.jpg


- 고 정기용 건축가 (1945~2011)-
----------------------------

얼마 전에 영화 한편을 보았는데 보는 내내 잔잔한 감동이 끊이지 않았습니다. 영화는 고 정 기용 건축가의 생애 말기를 집중적으로 다룬 다큐멘터리였습니다. 고인은 2005년 대장암이 발견되었고 전이로 인해 수차례의 수술을 받은데다가 항암치료의 부작용으로 성대 결절이 와서 목소리가 잘 나오지 않는데도 죽는 날까지 공공건축을 위해 자신이 할 일을 묵묵히 하다가 세상을 떠났습니다. 그런데 그 모습이 애처럽거나 답답하기는커녕 마치 사랑하는 가족과 따뜻한 시간을 보내고 떠나는 것 같은 충만한 느낌이 들었습니다. 그만큼 고인은 자신의 일을 사랑했었다는 게 고스란히 느껴졌습니다. 

 

 

우리는 ‘일’하면 부정적인 느낌이 강합니다. ‘일이 좋아서 하는 사람이 어디 있냐!’는 말처럼 일은 어쩔 수 없이 하는 스트레스이고, 생계를 위한 고역이며, 심지어는 형벌의 의미로 받아들이기도 합니다. 일이 ‘ill'이 된 것입니다. 그렇기에 많은 사람들은 마치 자식 때문에 이혼하지 못하고 형식적으로 부부관계를 유지하는 사람들처럼 일에서 마음을 닫고 일을 합니다. 자식이 결혼하면 그 때 이혼하고 자신의 삶을 살겠다고 생각하는 것처럼 이들도 어쩔 수 없이 일해야 하는 시간이 지나고 나면 남은 여생을 즐기겠다고 생각합니다. 인생을 둘로 나누어 사는 것입니다. 과연 그 사람에게 행복하고 즐거운 날이 찾아올까요?   

 

 

사람들은 일상생활 중에 언제 행복을 느낄까요? 많은 사람들이 퇴근 후 여가시간이나 친교시간이 가장 즐거운 시간이라고 이야기합니다. 하지만 실시간으로 사람들의 몰입상태를 조사한 미하이 칙센트미하이에 의하면 의외의 결과를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사람들이 좋다고 하는 여가 시간에는 정작 몰입 상태가 18%에 불과했지만, 일 할 때에 64%(화이트칼라), 47%(블루 칼라)의 몰입상태를 경험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어쩌면 우리는 일은 괴로운 것이라고 마음을 닫고 있기 때문에 실제로는 일을 더 좋아하면서도 싫어하는 것으로 착각하고 있는지도 모릅니다.

 

 

‘일은 괴로운 것’이라는 프레임에서 벗어나 보세요. 마음을 닫고 아무 생각없이 일을 하고 있다면 다시 마음을 열고 일을 보세요. 속 마음을 열면 갈등의 관계도 풀려나는 것처럼 일은 고역이라는 프레임에서 벗어나고 닫힌 마음을 열게 되면 우리는 지금의 일과 더 좋은 관계로 나아갈 수 있고, 혹은 좀 더 자신에게 맞는 일을 찾아갈 수도 있습니다. 일은 고역이나 껍데기가 아니라 자신이 어떤 사람인지를 드러내는 것이고, 삶의 중심이며, 평생 동안 함께 할 사랑의 대상이기 때문입니다.
   

 



 

- 2012. 7. 18.  당신의 마음을 깨우는 '문요한 에너지 플러스' 594호-



 

image.png

 페이스북으로도 에너지 플러스를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QR 코드를 클릭해서 '좋아요'를 눌러보세요. 

IP *.131.5.196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916 [월요편지 79]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1] 습관의 완성 2021.10.31 1259
2915 [월요편지 85] 가짜 곰, 진짜 곰 [1] 습관의 완성 2021.12.13 1260
2914 자가용에 대한 여러 생각들 [1] 차칸양(양재우) 2016.08.02 1261
2913 "물은 셀프~~" [2] 이철민 2018.01.18 1261
2912 제주에 집을 얻어 <글쓰기여행 in Jeju>공저를 진행합니다 file [6] 한 명석 2017.02.22 1262
2911 소로우의 아침 書元 2015.10.03 1263
2910 좋은 삶은 무엇으로 채워지는가? 김용규 2016.07.07 1263
2909 백열세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10대 풍광 [2] 재키제동 2017.08.04 1264
2908 '빨딱병'과 조류 독감,그 이면에 감추어진 현실(2편, 완) [2] 차칸양(양재우) 2017.01.31 1265
2907 [화요편지]100% 실패를 받아들이고 나자 생긴 일 아난다 2021.11.02 1267
2906 show는 어디에나 있다 file [1] 한 명석 2015.09.03 1268
2905 인공지능의 시대, 창의성이란?(7편) file 차칸양(양재우) 2016.10.04 1269
2904 [일상에 스민 문학] 세월호와 <노인과 바다> file [7] 정재엽 2017.03.29 1269
2903 [알로하의 두번째 편지] 춤을 배우기에 늦은 나이는 없다 file [2] 알로하 2020.03.29 1269
2902 <알로하의 두번째 편지> 그 엄마에 그 딸 1 file [2] 알로하 2020.11.01 1269
2901 열 살에 삶의 길을 결단한 남자 김용규 2016.06.30 1270
2900 틀려도 괜찮다 잘하고 있으니 너무 애쓰지 마라 [1] 장재용 2021.06.22 1271
2899 [용기충전소] 행복을 씹는다 [2] 김글리 2021.10.15 1271
2898 그를 위한 기도 한 명석 2016.07.20 1272
2897 [용기충전소] 상실을 견디는 법 [1] 김글리 2021.07.30 12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