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승완
  • 조회 수 4529
  • 댓글 수 0
  • 추천 수 0
2012년 8월 21일 00시 26분 등록

인간이라는 존재는 여인숙과 같다.

매일 아침 새로운 손님이 도착한다.

 

기쁨, 절망, 슬픔

그리고 약간의 순간적인 깨달음 등이

예기치 않은 방문객처럼 찾아온다.

 

그 모두를 환영하고 맞아들이라.

설령 그들이 슬픔의 군중이어서

그대의 집을 난폭하게 쓸어가 버리고

가구들을 몽땅 내가더라도.

 

그렇다 해도 각각의 손님을 존중하라.

그들은 어떤 새로운 기쁨을 주기 위해

그대를 청소하는 것인지도 모르니까.

 

어두운 생각, 부끄러움, 후회

그들을 문에서 웃으며 맞으라.

그리고 그들을 집 안으로 초대하라.

누가 들어오든 감사하게 여기라.

 

모든 손님은 저 멀리에서 보낸

안내자들이니까.

- 잘랄루딘 루미, ‘여인숙’

 

좋은 시를 읽으면 때때로 숨이 멎습니다.

한 줄기 빛 속에서 나를 발견합니다.

시는 벼락입니다.

 

존재가 시를 보다 문득 깨어날 때도 있습니다.

틈새로 들리는 속삭임에 영혼이 눈을 뜹니다.

시는 영혼의 목소리가 전하는 노래인 듯합니다.

 

삶이 두렵고 존재가 불안할 때 필요한 것은 많은 것이 아닙니다.

 

동굴을 빠져나오는 데 한 줄기 빛이면 충분하듯이,

어두운 삶에 필요한 것도 그것입니다.

때때로 한 편의 시가 깨달음을 줍니다.

 

작은 불씨로 피운 모닥불로 추위를 견딜 수 있듯이,

흔들리는 존재에게 필요한 것도 그와 같습니다.

문득 만난 한 편의 시가 마음을 따뜻하게 해줍니다.

 

시인 메리 올리버의 말에 미소짓습니다.

“시는 단어들이 아니라 추위를 녹이는 불,

길 잃은 자를 안내하는 밧줄, 배고픈 자를 위한 빵이다.”

 

거울이 나의 외모를 비추듯,

시는 나의 내면을 비춥니다.

홀로 거울 보며 떠들지 않듯이,

시와의 교감은 언어 밖에서 이뤄집니다.

‘삶을 멈추고 듣는 것’이 곧 시입니다.

그래서 시와의 공명은 침묵입니다.

 

“한 편의 좋은 시가 보태지면 세상은 더 이상 전과 같지 않다. 좋은 시는 삶의 방식과 의미를 바꿔 놓으며, 자기 자신과 자신을 둘러싼 세상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시는 인간 영혼으로 하여금 말하게 한다. 그 상처와 깨달음을. 그것이 시가 가진 치유의 힘이다.”

- 류시화

 

20120821.jpg

* 류시화 엮음, 사랑하라 한번도 상처받지 않은 것처럼, 오래된미래, 2005년 3월

 

* 안내1

<나는 쓰는 대로 이루어진다>와 <늦지 않았다>의 저자 한명석 연구원이 글쓰기 강좌인 ‘글쓰기를 통한 삶의 혁명’ 14기를 모집합니다. 자신안의 창조 본능을 깨우고 글쓰기 실력을 키우고 싶은 분들에게 추천하고 싶은 프로그램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 혹은 아래 이미지 클릭하세요.

 

20120214-2.jpg

 

* 안내2

구본형 사부님의 신간 <구본형의 신화 읽는 시간>이 출간되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 혹은 아래 이미지 클릭하시기 바랍니다.

 

bhgoobook19.jpg

<구본형의 신화 읽는 시간 : 신화에서 찾은 다시 나를 찾는 힘>, 구본형 저, 와이즈베리, 2012년 8월

 

IP *.122.237.16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96 [용기충전소] 결핍은 삶의 이정표 [3] 김글리 2021.03.12 1784
595 <알로하의 두번째 편지> 그리고 이년 후에…_마지막 편지 [6] 알로하 2021.03.14 1208
594 [월요편지 50] 부장 진급에 떨어졌습니다 [6] 습관의 완성 2021.03.14 1328
593 [화요편지] 아이를 기다리는 시간 in YOGA [4] 아난다 2021.03.16 1020
592 둘러갈 것 [2] 장재용 2021.03.16 1562
591 결정의 순간 [2] 어니언 2021.03.18 1568
590 [용기충전소] 어떤 마음으로 '그 일'을 하고 있나요? [4] 김글리 2021.03.19 1797
589 <알로하의 영어로 쓰는 나의 이야기> 첫번째 편지 [4] 알로하 2021.03.21 1361
588 [변화경영연구소] [월요편지 51] J 수석의 고민, 이놈의 회사 당장 옮기던지 해야지 [1] 습관의 완성 2021.03.21 1424
587 [화요편지] 할 수 있는 만큼이 최선임을 믿는 힘 [2] 아난다 2021.03.23 1876
586 스승과 같은 산의 말 [1] 장재용 2021.03.23 2253
585 재능은 꽃피우는 것 [1] 어니언 2021.03.25 1818
584 [용기충전소] 죽기로 결심하고 생긴 일 [1] 김글리 2021.03.26 1869
583 <알로하의 영어로 쓰는 나의 이야기> 인공지능 시대에 영어 공부는 왜 해야 하나요? [2] 알로하 2021.03.28 9784
582 [변화경영연구소] [월요편지 52]상처받지 않고 자란 사람은 없습니다 [1] 습관의 완성 2021.03.28 1213
581 [화요편지]인요가가 글쓰기를 만났을 때 [2] 아난다 2021.03.30 1118
580 멀리 본 것을 기억할 것 [1] 장재용 2021.03.30 1414
579 과정이 바로 나의 보물 [1] 어니언 2021.04.01 1457
578 [용기충전소] 자존감을 높이려면 바꿀 한 가지 [1] 김글리 2021.04.02 1646
577 <알로하의 영어로 쓰는 나의 이야기> 처음부터 다시 시작 [2] 알로하 2021.04.04 1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