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승완
  • 조회 수 5835
  • 댓글 수 0
  • 추천 수 0
2012년 10월 2일 00시 30분 등록

판테온(Pantheon)에는 내가 로마를 방문한 나이에 세상을 떠난 라파엘로의 무덤이 있습니다. ‘회화의 완성자’ 라파엘로는 37살 생일날(1520년 4월 7일)에 세상을 떠났습니다. 그는 바자리(Georgio Vasari)의 말처럼 ‘하늘이 오랜 세월을 두고 여러 사람에게 나눠주는 은총을 한꺼번에 받은 단 한 사람’입니다. 하지만 신은 한 사람에게 모든 것을 주지 않습니다. 예술적 재능과 잘 생긴 외모와 온화한 성격까지 뭐하나 부족한 게 없는 라파엘로였지만 장수라는 선물은 받지 못했습니다. 라파엘로는 자신이 죽으면 판테온에 묻어달라고 유언을 남겼고, 당시 교황은 그의 청을 흔쾌히 받아들였습니다. 라파엘로는 ‘만신전(萬神殿)’ 판테온에 묻힌 유일한 예술가입니다. 그의 묘비에는 다음과 같은 글이 새겨져 있습니다.

 

“여기 라파엘로 산찌오(Raffaello Sanzio)가 누워 있다. 그가 살아 있을 때에는 만물의 위대한 어머니가 정복당할까봐 두려워하였고 그가 세상을 떠나자 대자연은 그와 함께 죽는 것이 아닌가하고 떨었다.”

 

그는 왜 판테온에 묻히기를 원했던 것일까요? 건축가 정태남은 <매력과 마력의 도시 로마 산책>에서 말합니다. “판테온 안에 있으면 마치 속세로부터 격리된 듯한 느낌이 든다. 골목길과 광장에서 들리던 소음은 어디론가 사라지고 폭풍우 지난 후의 바다와 같은 잔잔한 분위기에 휩싸이게 된다. 참으로 묘한 공간이다.” 책으로 읽을 때는 감이 오지 않았는데 이곳에 들어와 보니 느낄 수 있습니다. 판테온의 거부할 수 없는 묘한 매력이 라파엘로가 이곳을 무덤으로 정한 이유가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판테온에서 인상적인 것은 둥근 천장에 뚫린 구멍입니다. 지름 약 9미터의 구멍은 태양을 상징하는데, 이 구멍을 ‘오쿨루스(oculus)’, 우리말로 ‘눈’이라고 부릅니다. 그래서 어떤 이들은 판테온을 ‘로마의 눈’이라 부르기도 합니다. 또 하나, ‘비어 있는 내부 공간’도 인상적입니다. 단단한 벽과 달리 판테온의 내부는 대나무 속처럼 비어 있습니다. 판테온의 ‘눈’으로 들어온 햇살은 내부 곳곳을 비춥니다. 그래서인지 “‘비어 있는 공간’ 안에서는 눈앞의 공간뿐만 아니라 눈에 보이지 않는 등 뒤의 공간도 느껴진다”는 정태남의 말은 적어도 이곳에서는 진실입니다.

 

sw20121002-1.jpg sw20121002-2.jpg

판테온의 ‘눈(oculus)’

 

판테온을 나온 직후였을 겁니다. 지난 3년간 배우고 깨달은 것들이 퍼즐이 맞춰지듯 정리되었습니다. ‘지난 3년’은 회사를 그만 둔 시점부터 지금까지의 기간입니다. 작은 구멍으로 들어온 햇살이 판테온의 넓은 내부 구석구석을 비추듯이 내 안의 ‘오쿨루스’가 열리면서 지난 3년을 통찰한 것 같습니다. 그렇게 3년이라는 시간이 한 순간에 펼쳐졌다가 7개의 키워드로 응축되었습니다. 정리가 필요하다고 생각하곤 했지만 깊이 생각해 본 적 없었는데 뜻밖이었습니다.

 

시간에는 얽매이기라도 했지만 공간의 중요성은 모르고 살았습니다. 판테온은 내게 알려주었습니다. 공간은 시간의 짝임을, 시간에는 순서가 있고 공간에는 질서가 있음을. 그리고 시간과 공간 속에서 인간이라는 존재가 살고 있기에 시간과 공간에 대한 이해 없이는 인간에 관한 이해도 할 수 없음을 판테온은 내게 보여주었습니다.

 

sw20120924_1.jpg

* 정태남 저, 매력과 마력의 도시 로마 산책, 마로니에북스, 2008년

 

* 안내

<유쾌한 가족 레시피>의 저자 정예서 연구원이 <치유와 코칭의 백일간 글쓰기> 11기를 모집하고 있습니다. 본 과정은 100일간 매일 쓰기와 도서 리뷰, 오프 세미나 등 밀도 있고 풍성하게 진행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세요.

 

20120214-1.jpg

 

IP *.34.180.125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16 화요편지 - 음식은 힘이 셉니다 [3] 종종 2022.08.23 882
215 [수요편지] 대체 뭐가 문제야 [1] 불씨 2022.08.24 864
214 하찮지만 하고 싶으니까 [2] 어니언 2022.08.25 849
213 [라이프충전소] 어떻게 이 순간을 잡을 건가요? [4] 김글리 2022.08.26 940
212 [월요편지 121] 탈모지만 괜찮아 [2] 습관의 완성 2022.08.28 927
211 [수요편지] 수오훈 [1] 불씨 2022.08.30 970
210 질문의 힘 [1] 어니언 2022.09.01 769
209 [라이프충전소] 꿀잠 프로젝트를 가동합니다 [4] 김글리 2022.09.02 848
208 화요편지 #따로또같이 프로젝트 - 가을단상, 일과 나, 그리고 우리 [1] 종종 2022.09.06 831
207 [수요편지] 가을, 그리고 마흔, 나를 사랑할 적기 [1] 불씨 2022.09.06 809
206 [변화경영연구소] 추석의 바이브 [1] 어니언 2022.09.08 790
205 화요편지 - 이토록 은밀하고 스펙타클한 [1] 종종 2022.09.13 877
204 [수요편지] 명경지수 [1] 불씨 2022.09.13 878
203 케미가 맞는다는 것 [1] 어니언 2022.09.15 737
202 [라이프충전소] 인생의 방향을 다시 설정하고 싶다면 [2] 김글리 2022.09.17 926
201 [월요편지 122] 아내와 유튜브를 시작한 이유 [6] 습관의 완성 2022.09.18 855
200 화요편지 - 오늘도 틀리고 내일도 [1] 종종 2022.09.20 1046
199 [수요편지] 오!늘! [3] 불씨 2022.09.21 934
198 [라이프충전소] 불안을 활용할 몇가지 방법 [1] 김글리 2022.09.24 1013
197 [월요편지 123] 최악의 물 마시는 습관 습관의 완성 2022.09.25 10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