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나를

꿈벗

‘나를

2012년 10월 15일 23시 25분 등록

저는 숫자를 좋아합니다. 하지만 예전에는 숫자에 대하여 많이 알고 있다고 생각했지만 정말 아무것도 모르고 있다는 것을 요즘에 알게 되었습니다. 수와 관련하여 특히 수와 뗄레야 뗄 수 없는 이 무엇인지 공부하면서 너무나 많은 것을 모르고 살았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또한 많은 사람들이 단지 숫자로 제시되었다는 이유로 쉽게 믿어버린다는 것도 알게 되었습니다.

 

에 관련한 책을 보다 보면 가장 많이 나오는 이야기이가 복리 이야기이고 그것에 따라 나오는 이야기가 이 복리라는 것은 인간이 발명한 최대의 발명품이라고 아인슈타인이 이야기 했다라는 인용을 하고는 합니다. 그런데 제 머리 속에는 실제 아인슈타인이 그런 이야기를 했을까 하는 의문이 들었습니다. 제가 생각하기에는 복리와 아인슈타인은 그다지 어울리는 조합이 아니었기에 그랬습니다. 그 말을 아인슈타인이 했든 안했든 그다지 중요한 일이 아닐 수도 있지만 호기심 많은 저는 검색을 해 보았습니다. 여러 자료를 검색해 본 결과 제가 내린 결론은 아인슈타인이 그런 말을 하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었습니다.

 

구본형 선생님이 진행하는 고전 읽기를 다시 듣기를 하다가 비슷한 경우를 또 발견하게 되었습니다. 잠시 그 장면 녹취를 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구본형 : 저를 감동시킨 것중에 하나가 뭐냐면 고은기선생님이 한 번 언젠가 그런 얘기를 하신 적이 있는 걸 제가 알고 있어요. “나는 이 책 한 권을 가지고 유명해지리라내 이말을 들었을 때 ..아 여기 대가가 한 분 나오시겠구나. 그리고 이 얘기를 제 제자들에게도 많이 했습니다. 이런 분이 있다. 책 한권과 결혼했다.

 

고운기 : 유명해진다기 보다는요. 삼국유사 원본을 영인한 책을 제가 학생때 처음 사가지고 그 앞에다가 그렇게 썼어요. 내 하는 공부는 여기서 시작해서 여기서 끝내겠다.

 

구본형 : . 그게 원본이네요. 원본(?)으로 쓰신 거네요.

 

고운기 : 한문으로 썼습니다. 지금 제가 이렇게 번역해서 말씀드린 거에요.

 

이희구 : 멋지다

 

원본과 사람들이 다른 사람이 이야기 했다고 인용하는 말의 차이를 확인할 수가 있었습니다. 어떤 사람이 다른 사람의 말을 전할 때는 대부분의 경우 말을 전하는 사람의 의견이 포함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몇 사람을 거치다 보면 원래 한 사람의 말과는 전혀 다른 뜻의 말이 되는 경우도 종종 있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소문은 부풀려지게 되어 있는 법인가 봅니다.

 

지금 내 머리속에 가지고 있는 것들을 우리는 태어나면서 부터 가지고 있지는 않았을 것입니다. 경험을 통하여 얻을 수 있는 지식의 양이 그리 많지 않으므로 아마도 많은 것을 읽음으로 내 머리속으로 들어 왔을 것입니다. 예전에는 작가들의 이야기를 그대로 받아들이기 급급했던 것 같습니다. 지금도 작가들의 생각을 이해하기에도 벅차지만 이제 그런 작가의 이야기가 왜 나왔는지 한 번 더 생각해 봐야 겠다는 생각을 해 보았습니다. 특히 다른 사람의 이야기를 인용하는 사람의 경우 어떤 것을 전달하기 위하여 사용한 것인지 알아 보는 공부를 좀 더 해야겠습니다.

IP *.10.140.115

프로필 이미지
2012.10.16 15:31:47 *.41.83.203

살다보면 숫자에 강한 달란트가 유용하게 쓰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해득실 이라는 교묘한 숫자놀음의 변화를 잘 이해한다면 말입니다.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73 [화요편지]그냥... [2] 햇빛처럼 2012.05.29 2271
172 변화의 즐거움 file [1] 탑거인 2012.05.30 2355
171 [목요편지] 자기소개하기 file [2] 깊고맑은눈 2012.05.31 2839
170 [금요편지] 너는 누구냐 [6] 효인 2012.06.01 2301
169 [월요편지] 겔럭시 노트로 바꾸고 나서.... file [2] 새벽산책 2012.06.04 2699
168 [화요편지]바닥이 나를 받아주네 [1] 햇빛처럼 2012.06.05 2562
167 타워를 내려오며 탑거인 2012.06.06 2272
166 [목요편지] 가치판단의 기준 깊고맑은눈 2012.06.07 2527
165 [금요편지]우리 자녀의 진로 어떻게 도와주어야 할까? [1] 열정 2012.06.08 2320
164 [월요편지] 내려놓음 [2] 새벽산책 2012.06.11 4025
163 [화요편지]나처럼사는건 나밖에 없지 [1] 햇빛처럼 2012.06.12 2574
162 [수] 포크레인 [1] [1] 포거인 2012.06.13 4727
161 [목요편지] 다시 시작? [3] 깊고맑은눈 2012.06.14 2287
160 [금요편지] beautiful day [1] 효인 2012.06.15 2277
159 [월요편지]"나의 방식으로 세상을 여는 법" file 새벽산책 2012.06.18 2427
158 [화요편지]스마트폰 버리기 [1] 햇빛처럼 2012.06.19 3063
157 [ 수 ] 자유가 열정을 만든다 포거인 2012.06.20 2300
156 [목요편지] 기억속 글쟁이와 그 기억속의..... [1] 깊고맑은눈 2012.06.21 2363
155 [금요편지] 꿈벗 33기 구공주 이야기 file [3] 쇠북 2012.06.22 3645
154 [월요편지] 한결같음으로... 새벽산책 2012.06.25 23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