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승완
- 조회 수 5326
- 댓글 수 1
- 추천 수 0
결혼을 하고 새집에 와서 좋은 점 중 하나는 별을 볼 수 있다는 것입니다. 날씨가 좋은 날에는 수십 개가 넘는 별들을 볼 수 있습니다. 그런 날이면 옥상 지붕에 누워 별을 보곤 합니다. 별을 보다 보면 별과 내가 연결되어 있다는 상상을 하곤 합니다. 그대도 별과 자신 사이에 어떤 공명을 느껴본 적이 있을지도 모릅니다.
별은 ‘우주에 존재하는 극도로 뜨거운 불덩어리’입니다. 별은 내부에서 일어나는 핵 연소를 통해 에너지 생성하고 방출합니다. 별이 스스로 빛나는 이유입니다. 그에 비해 지구나 금성과 같은 행성은 핵 연소를 하지 못하기 때문에 스스로 빛을 만들어내지 못합니다. 그럼에도 밤에 빛나는 것은 태양과 같은 별의 빛을 받아서 반사하기 때문입니다. 달과 같은 위성도 마찬가지입니다.
신비로운 점은 별의 핵 연소 과정에서 모든 생명체의 근간이 되는 원소들이 생성된다는 점입니다. 인간의 신체 장기와 조직 속에 있는 탄소, 뼈 안에 있는 칼슘, 피에 들어 있는 철분 등 생명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인 원소들은 모두 별에서 만들어졌고, 지금도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우주의 신비입니다. 핵천체물리학(Nuclear Astro-physics) 연구가인 하인츠 오버훔머는 <4시간 만에 끝내는 우주의 모든 것>에서 이렇게 말합니다.
“우리 몸을 구성하고, 우리가 생명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인 원소들은 모두 별에서 만들어졌다. 우리는 모두 결국 아주 오래된 과거 별의 유산이자 자손인 셈이다. 만일 당신이 사랑하는 사람에게 다가가 ‘당신은 나의 별이오!’라고 말한다면 그것은 아주 적절한 표현이다. 왜냐하면 우리는 실제로 모두 별들의 먼지로 구성되어 있는 존재이기 때문이다.”
며칠 전 다녀온 변화경영연구소의 ‘꿈벗 소풍’에서 꿈벗 유형선 형의 딸 수민이가 자작시를 소개했습니다. 수민이가 네다섯 살 때 지은 시인데 제목은 ‘별과 꽃’입니다. 아래와 같습니다.
아빠!
몰랐어?
꽃은 원래 별이었어.
아빠!
몰랐어?
별은 원래 꽃이었어.
꽃은 별이 떨어져서 된 거야.
시를 파워포인트로 옮기는 과정에서 실수로 시의 마지막 행이 빠졌음.)
이 시를 보며 나는 경이로웠습니다. 인간뿐만 아니라 꽃도 역시 별에서 온 원자로 만들어집니다. 나는 겨우 별과 인간의 공명에 대해 상상했는데 수민이가 그린 그림에서 노란별은 꽃으로 바로 변환됩니다. 맑고 투명한 꼬마 예술가는 세상을 ‘있는 그대로’ 보기 때문입니다. 예술이 미리 본 것을 과학이 나중에 입증한다는 것을 실감했습니다. 과학이 증명하고 설명하는 데 오랜 세월이 걸리는 것을 수민이와 같은 예술가는 직감하고 직시합니다.
이런 마음은 선불교(禪佛敎)의 표현을 빌리면 ‘초발심자의 마음’입니다. 미국에 선을 보급한 스즈키 순류 선사(禪師)는 이 마음을 강조하면서 “시작하는 사람의 마음에는 많은 가능성이 있지만, 숙련된 사람의 마음에는 가능성이 아주 조금밖에 없다”고 말했습니다. 맑고 투명하게 비어 있는 마음은 모든 가능성에 대해서 열려 있습니다. 그래서 있는 그대로 볼 수 있고, 섬광처럼 만물의 진면목을 알아차릴 수 있습니다.
과학과 예술과 영성은 높은 곳에서 만나고 깊은 곳에서 서로 통하는 듯합니다.
* 하인츠 오버훔머 저, 이종완 역, 4시간 만에 끝내는 우주의 모든 것, 살림, 2011년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1517 | 골든 타임 [1] | 최우성 | 2012.11.05 | 4978 |
1516 | 나는 위험을 환영하기로 결심했다 [2] | 부지깽이 | 2012.11.02 | 5089 |
1515 | 쉰 살에 중학교 1학년이 된 남자의 꿈 | 김용규 | 2012.10.31 | 6085 |
1514 | 나는 독립적인가? | 문요한 | 2012.10.31 | 7532 |
» |
그대는 어느 별에서 왔나요? ![]() | 승완 | 2012.10.30 | 5326 |
1512 | 길을 걷는 사람들 [1] | 최우성 | 2012.10.29 | 5554 |
1511 | 행복이 당신 곁을 떠날 때 [2] | 부지깽이 | 2012.10.26 | 7199 |
1510 | 삶의 가지 하나 뚝 부러졌다 할지라도 [2] | 김용규 | 2012.10.25 | 3373 |
1509 | 당신의 정체성은 어떤 상태일까요? [1] [2] | 문요한 | 2012.10.24 | 8004 |
1508 |
진실한 마음으로 진실한 내용을 쓰고 있는가 ![]() | 승완 | 2012.10.23 | 8100 |
1507 | 오래된 미래 | 최우성 | 2012.10.22 | 4977 |
1506 | 새로운 삶의 방식에 대한 실험 [1] | 부지깽이 | 2012.10.19 | 6284 |
1505 | 왜 공부하는가? [1] | 김용규 | 2012.10.18 | 5670 |
1504 | 자기통제 강박증 | 문요한 | 2012.10.17 | 6668 |
1503 |
천복과 천복의 만남 ![]() | 승완 | 2012.10.16 | 3873 |
1502 | 반가운 손님 | 최우성 | 2012.10.15 | 4624 |
1501 | 가을엔 편지를 하겠어요 [1] | 부지깽이 | 2012.10.12 | 6363 |
1500 | 뱀에게 잡힌 개구리에게서 배운 것 | 김용규 | 2012.10.11 | 12935 |
1499 | 당신은 적응을 잘 하는 사람인가요? [3] | 문요한 | 2012.10.10 | 5275 |
1498 |
깊은 고민과 마음공부 ![]() | 승완 | 2012.10.09 | 458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