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2012년 11월 9일 06시 49분 등록

 

세상의 모든 길은 땅바닥에 새겨진 기억을 가지고 있다

무수한 보행자들은 길 위에 자신의 서명을 알아볼 수 없는 모습으로 써놓고 간다

걸으면서 우리는 풍요로운 생각을 가지에 달린 과일처럼 따낸다

걸으면서 얻은 생각은 그래서 무겁지 않고 달다

쓸 때 조차 우리는 손만 가지고 쓰지 않는다

발도 항상 한 몫을 한다  

때때로 들판을 건너고 때때로 산을 오르던 발은 손을 빌어 종이 위에 생각을 쏟아낸다.

 

 

걸음으로써 배낭을 가볍게 할 수 밖에 없게 하는 자발적 빈곤을 배우고

구불구불 내면을 따라 걷다가 문득 자기로 향한 길을 열게 한다.

신발 한 결레 배낭 하나로 남도의 바다를 돌고, 강물을 따라 굽이굽이 휘어들고

꼿꼿한 산의 등어리를 넘어 간다.

먼저 발로 걷지 않고는 순례의 길을 떠날 수 없고

침묵을 횡단하지 않고 신에게 기도할 수 없다.

 

피에르 쌍소의 '느리게 산다는 것의 의미'와 다비드 드 브루통의 '걷기 예찬'을 읽다 얻은 구절과 생각들을 엮어 적어 두었습니다.

동물은 움직입니다. 그래서 동물입니다. 모두 발을 가지고 있습니다. 발로 걷습니다. 걷지 못할 때 그 동물은 동물이기를 그만두고

죽게 됩니다.

 

마흔 여섯의 나이로  회사를 그만두고 나왔을 때 가장 먼저 했던 일은 배낭매고 2달간 남도를 걷는 일이었습니다. 비가 오나 바람이 부나 나는 매일 25키로 내외를 걸었습니다. 아침에 여관을 나와 저녁에 다른 여관에서 잘 때까지 하루종일 내가 한 일은 걷는 일 뿐이었습니다. 배낭이 어깨를 누르면 경관이 좋은 곳에서 잠시 쉬었고, 이내 다시 걸었습니다. 우체국을 만나면 짧은 엽서와 한두 권의 무거운 책과 입던 옷 몇 개를 싸서 집으로 돌려 보내곤 했습니다. 짐을 덜어내면 걸음이 가벼웠습니다.

 

두 달 후 집에 도착했을 때 나는 회사원이었던 20년간의 묶은 때를 홀떡 벗어낼 수 있었습니다. 두 달간의 남도 걷기는 새 인생을 살기 시작한 내가 첫 번 째로 한 가장 멋진 일이었습니다.

 

 

나는 늘 걷습니다. 산을 걷고 길을 걷고 골목길 안으로 들어섭니다. 그러면 거리마다 다른 삶의 얼굴이 나타납니다. 골목의 초라한 삶,

큰 거리의 소비적 삶,  산 속의 조용한 삶을 만날 때 마다 내 생각의 스펙트럼이 달라집니다. 나는 걷습니다.  살아있습니다.

IP *.128.229.89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354 삶의 여정: 호빗과 함께 돌아본 한 해 [1] 어니언 2024.12.26 962
4353 엄마, 자신, 균형 [1] 어니언 2024.12.05 980
4352 [수요편지] 발심 [2] 불씨 2024.12.18 1021
4351 [수요편지] 능력의 범위 불씨 2025.01.08 1027
4350 [내 삶의 단어장] 크리스마스 씰,을 살 수 있나요? [1] 에움길~ 2024.08.20 1069
4349 [수요편지] 형세 [3] 불씨 2024.08.07 1095
4348 [수요편지] 문제의 정의 [1] 불씨 2024.08.21 1114
4347 [목요편지] 흉터 [2] 어니언 2024.07.11 1133
4346 [목요편지] 육아의 쓸모 [2] 어니언 2024.10.24 1140
4345 [책 vs 책] 무해한 앨리스 화이팅! file [2] 에움길~ 2024.07.22 1166
4344 [목요편지] 장막을 들춰보면 어니언 2024.08.22 1166
4343 새로운 마음 편지를 보내며 [4] 어니언 2024.07.04 1168
4342 [월요편지] 세상이 분노가 가득한데 [1] 에움길~ 2024.07.08 1170
4341 [수요편지] 행복 = 고통의 결핍? 불씨 2024.07.10 1175
4340 [목요편지]’호의’라는 전구에 불이 켜질 때 [4] 어니언 2024.07.18 1175
4339 [내 삶의 단어장] 알아 맞혀봅시다. 딩동댕~! [1] 에움길~ 2024.07.30 1185
4338 [책 vs 책] 어디든, 타국 [1] 에움길~ 2024.08.26 1191
4337 [수요편지] 성공의 재정의 [2] 불씨 2024.07.03 1193
4336 [목요편지] 별이 가득한 축복의 밤 [3] 어니언 2024.12.19 1198
4335 [수요편지] 불행피하기 기술 [3] 불씨 2024.07.17 1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