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이시습
- 조회 수 2789
- 댓글 수 0
- 추천 수 0
나이 40, 그토록 영웅을 꿈꾸었는가?
나이 50, 영웅의 꿈이 지속 되는가?
학교를 졸업하고 어느 직장을 가야 할까?
누구나 던져보는 질문이지만, 삶의 방향이 결정되는 중요한 선택이라는 점에서 더 말할 나위가
없는 것 같다.
청년 실업도 문제이지만, 베이비 붐 세대들의 퇴직도 이미 일어난 미래가 되어버렸다.
요즘 회사에서 신입 직원들을 뽑아보면, 참으로 안 쓰러운 일들을 보게된다. 황금 같은 시기에
취업에 대한 부담, 직장의 선택, 미래의 불확실성들으로 고민에 휩싸인 채 힘들게 살아간다.
이른바 ‘스팩 쌓기’에 전력투구해 보지만 미래에 대한 불안감은 좀처럼 해소되지 않는다.
면접을 하다보면 ‘스팩’이 너무 좋은데도, 떨어지는 경우를 많이 봤다.
뽑는 기업에서는 ‘쓸만한 인재’가 없다며 해외까지 나가 인재확보를 위한 전쟁을 벌리고 있는
실정이다. 뭔가 코드가 맞지 않은 일들이 일어나고 있는 것이다.
베이붐 세대도 약 300만명 규모의 인력이 정들었던 직장으로부터 쏟아져 나오고 있다.
요즘 생계형 창업이 말도 못할 정도로 성황을 이루고 있으나, 성공한 사례는 그리 많지
않다고 한다. 이모작을 위한 미래 준비는 좀 더 계획적이고, 체계적으로 현업에 있을 때
업무에서 그 해답을 찾는 필살기를 갖추는 것이 중요해 보인다.
나는 대학원을 졸업하고 IT 와 경영을 같이 접목하는 컨설턴트가 되고 싶었다.
처음 인연을 맺게된 회사도 IT를 기반으로 경영 컨설팅을 하는 회사여서 꿈에 부푼 신입사원
시절을 보낼 거라는 기대와는 다르게 매우 힘든 나날을 보내게 되었다.
프로젝트에 투입되고 나면, 매일 계속 되는 야근 과 오픈 날이 가까워지면 주말도 없이 프로그램
테스트에 올인 하다시피 일에 매달려 살아야 한다. 프로젝트 범위는 항상 처음 보다 늘어나
시간이 갈수록 초치기에 몰리고, 몸으로 때우는 일을 밥 먹듯이 하다 보니 건강도 챙기지 못 할 때가 많았다.
설사 몸으로 때우고, 매일 야근하고, 주말에 나와서 일을 한다 치더라도 컨설턴트가 사람 대접
받고 일 하는 것은 아니다. Junior때는 참기 어려운 수모 와 인격적 모멸감을 견디어야 하는데
이런 일을 넘어서지 못하면 본인이 스스로 한계에 와 있는 것을 알고 회사를 떠나는 경우를 많이 지켜 봤다.
우리가 자주 듣는 이야기가 있다. 힘든 프로젝트 일수록 컨설턴트들은 이렇게 말한다.
우리가 왜 이런 고생을 하고 있지? 남 탓하기 일수다.
"헐값에 수주한 저가 프로젝트가 문제이지!
아무것도 모르는 영업 때문이야"라고 책임을 전가하지만, 영업 입장은 완전히 다른 생각이다.
컨선턴트의 역량 부족 때문에Value를 Selling 을 못한 이유로 좋은 성적을 못 받다보니 헐 값 밖에 받을 수 없다.
Presentation를 잘 할 수 있는 역량있는 ‘영웅’적인 스타가 없어서 그런 거야라고 맞불을 놓는다.
컨설턴트의 꽃은 Project Manager 이다. 물론 개인적인 성향이 맞는 경우이면 다행이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에는 스스로 자신의 역할을 받아드리지 못하고 다른 역할을 할 수 밖에 없다.
컨설턴트로 삶을 살아가는 우리 안 에는 영웅적인 일들이 등장한다.
첫째, 그는 자기일 을 통해 세상을 바꾸고 싶은 소명을 지닌 사람이다.
IT가 주는 이로움을 믿고, 그 일을 함께 만들어 간다.
함께 동참하는 동료들에게 기회를 만들어 주고 그들의 성장을 돕고져 한다.
둘째, 탁월한 Presentation 능력을 갖추고 있어서 우리가 하는 일을 어떤 방식으로
Selling하는지, ‘ Value ’를 어떻게 전달하는지를 알고 있는 사람이다.
IT 기술은 점점 더 보편화(Commodity 화) 되어간다.
정보를 사용하는 일반인들의 인식이다.
그러나 정보를 생산하는 IT인력들은 매우 힘든 작업을 하고 있다.
Value를 생산하는자가 전달도 해야 한다. 자신의 Value를 표현하는 역량이 부족
컨설턴트들은 고객 앞에서 존재감을 키워가질 못한다. 매우 낮은 대우를 받는다.
셋째, 고객과 컨설턴트간 Communication 능력을 갖춘 사람이다.
‘소통’은 어디에서나 중요한 사안이지만, 어디에서도 문제가 되는 이슈이다.
프로젝트를 함께 해 나가는 멤버들은 매우 기술적인 성향을 갖고 있는 사람들이다.
발생된 이슈들은 기술적인 사항 뿐만 아니라, 기술 외적인 사항, 즉 조직간의 상충된 이견,
내부 관리 체계가 다르기 때문에 발생하는 인식 차이 등등은 파악 되지 못한 상태 때문에
합의점 도출에 많은 어려움을 겪는다.
넷째, 프로젝트 관리 능력을 갖추고, 주어진 자원을 효과적으로 배분하고 활용 할 줄 안다.
프로젝트는 여러 이해 관계자들로 구성되어 있고, 대형 프로젝트 일수록 자신의 역할등이
불 분명하여 묻어다니는 사람들이 곳곳에 묻혀있다. 이런 인력을 찾아내어 제 역할을 하도록
도와줘야 한다. 업무간의 조율 능력과 강력한 리더쉽을 기반으로 프로젝트을 박진감 있게
끌고 나가는 힘이 필요하다.
다섯째, 선행 관리 능력이 프로젝트를 이끄는 힘의 원천이라는 안목을 지닌 사람이다.
프로젝트을 끝낼 때 어떤 이미지로 끝을 낼 수 있는지를 미리 이미지화 하고, 이를 Management 할 수 있어야 한다.
모든 타스크는 최종적인 이미지의 완성도를 높여주기 위해 필요한 요소 들이다.
그러므로 최종 Output-image가 불분명하면 불 필요한 타스크들에 많은 자원과 시간을 허비하게 된다. 중간 과정에서도 컨설턴트들을 하드-워킹하게 만드는 주된 요인이될 뿐 아니라
프로젝트 손익 악화에도 양향을 준다.
여섯째, 시련을 만날 때 ‘계속하는 힘’을 발휘하며, 남다른 모험을 즐기는 사람이다.
프로젝트는 시작이 반 이지만, 나머지 반은 지루하고 힘이 드는 여정 이기도 하다.
초반은 전체 구도를 잘 잡아야 하지만, 중반을 넘어가면서 내용을 질과 완성도가 매우 중요한데
이를 일관된 시각으로 계속 밀고 나갈 수 있는 힘이 없으면 용두사미로 끝나고 만다.
많은 IT 프로젝트가 시작은 화려했더라도, 과정상 적지 않은 시련을 만나게 되는데,
“계속 하는 힘”이 약해지면, 좌충우돌하는 일이 벌어진다.
‘초심’을 들추어내면서 일관된 자세를 견지하면서 주위를 설득하고 끝까지 끌고가는
자신감을 보여 줘야 한다. 그래야 기대하는 Output-image에 도달 할 수 있다.
일곱째, 고객에게는 성공적인 프로젝트로 보답하고, 회사로 귀환한다
그는 리더쉽이 입증되고, 좋은 결과를 만들어낸 사실에 만족하지 않고 공익 정신을 실천한다.
자료를 정리하면서 배울 점 을 뽑아내어, 다름 동료들과 공유한다. 다른 프로젝트에서도 활용
할 수 있도록 자산을 남겨준다. 이는 회사가 시켜서 하기 보다는 자신의 소명에 충실해서 하는 일 이기에 주변을 더욱 놀라게 만들어 준다.
여덟째, 전문가 식견을 갖고 사업을 일구는 사업 책임자로 변화를 추구 한다.
이 대목에서 많은 사람이 좌절을 겪고, 또 다른 시련을 맞이 한다.
회사는 모든 권한이 사업을 진두 지휘하는 사업부장이나 사업 본부장에 집중 되어 있다.
대부분의 경우에 조직의 권한을 갖고 계신분은 현장에서 영웅적인 역할을 한 사람은
거의 없다. 이것이 IT 조직의 아픔이기도 하지만, 전문가에서 사업 책임자로 넘어가는
심연이 너무 깊어 쉽게 도달 할 수 없는 이유에서 비롯된다.
이때 어떤 조력자의 도움에 힘입어 다른 사람으로 거듭나는 체험을 하게 된다.
개인적으로 큰 변화를 겪게 된다.
현장과 사업를 통합해 내고, 조직의 많은 모순을 풀어낼 진정한 영웅적인 모습을 지니게 된다.
이 변화를 거부하면, 그는 현장 인생으로 회사 생활을 마무리 하게 되며 경영자의 대열에
끼지 못하게 된다. 나이가 경쟁력이 되지 못하고 나이 때문에 조직에서 밀려나게 된다.
아홉째, 조직 전체를 책임지는 최고 경영자의 반열에 오른다.
자신의 사업이 가치를 지니고 있을 때, 비로소 물 줄기가 열리는 것이다.
비로소 자기 조직원들과 더불어 일 하는 시기 이다.
그들을 행복하게 만들어 줄 책임이 있다. 더욱 중요한 것은 고객을 위한 가치를 창출 해 내는 리더쉽이다.
열번째, 영웅에게도 죽음이 온다. (인생 1막 1장을 마무리 한다.)
살아있는 조직은 물이 흘려가듯 흐르는 물이 되어야 한다. 고이는 물이 썩는 것 처럼 흐르는
물이 되어야 한다. 우리의 영웅도 흐르는 물 위에 자신을 올려 놓고 물의 흐름과 동화
되어 자신을 감추게 된다.
영웅이 치루는 신화적 모험의 표준 궤도는 통과 제의에 나타난 양식, 즉 <분리>, <입문>, <회귀>의 확대판이다.
영웅의 모험은 세계로부터의 분리, 힘의 원천에 대한 통찰, 그리고 황홀한 귀향의 패턴으로
이루어진다.
나는 내 나이 40대에 이런 영웅적인 신화를 만들고 보고 싶었다.
각 분야에서 영웅을 꿈꾸는 작은 거인들을 만날 때 마다 그들로부터 받은 인상은
신화의 모험에서 영웅의 행보와 너무 닮았다
내 나이 50대에 꿈은 지속 되는가? (인생 2막 2장을 위한 변화의시기이다.)
3rd Age라는 책에서 나이 50세 에서 75세 까지가 인생의 황금시기라고 한다.
그 이유로는, 1st Age는 태어나서 25년 동안은 사회에 나가기 위한 준비를 하는 시기이다.
이때 자기 인생을 살았다고 말 할 수 없다. 대 부분의 시간은 가정과 학교로부터 배우는
시기 이다.
2nd Age는 사회와 관계를 맺는 과정에서 직장을 갖고, 결혼을 하고, 자녀를 출산하면서
인생의 가장 바쁜 시간을 보내야만 한다. 대 부분의 것들이 처음 해 보는 일이라 시행착오
도 많아서 아픔과 상처로 얼룰진 시기 이기도 하다. 인생으로는 세상을 좀 알 것 같은 시기
이나, 인간의 나이로는 훌쩍 40대를 넓어 50대에 이른 나이가 된다.
이때까지는 ‘해야만 하는 일’로 바쁜 생활의 연속 이였다.
3rd Age는 드디어 인생을 이해 할 시기가 되었다.
삶의 의미 와 행복을 좆아 갈 수 있는 절호의 때를 만난 것이다.
상대가 무슨말을 하면, 그 말이 갖는 뜻을 헤아리게 된다.
직장에서 흐르는 분위기만 보아도 감을 갖게 된다.
이젠 세상과 겨루어 힘을 자랑하기 보다는, 자연 스러움을 받아드리는 입장이 되어간다.
이때는 ‘해야만 하는 일’ 보다는 ‘하고 싶은 일’을 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한다.
이제 부터는 실천이 필요한 시기가 아닌가 싶다.
그럼 '하고 싶은 일'을 위해 내가 할 수 있는 실천이 무엇이 있을까?
내가 하고 싶은 일, 하고 싶은 말을 위해 글을 쓰고 있다.
하고 싶은 일에 대하여, 글을 쓴다.
또한 하고 싶은 말을 하기 위하여 글을 쓴다.
인생의 구비 마다 찾아오는 고난과 시련이 있었지만, 지금의 때를 견디기 위한
준비 였다고 생각 해 본다.틀린 이야기가 아닌 것 같다.
훌륭한 어부는 거친 파도 속에서 길러진다고 한다.
어려움이 닥쳐 오다 하더라도, 의연한 삶을 맞이 할 시기가 이 때가 아닌가 한다.
고난의 의미들을 되새기며, 삶의 황홀한 순간들을 맞이 하리라.
3rd Age는 누구에게나 주어질 수 있지만, 참다운 행복을 발견 하는 것은
영웅적인 꿈을 지속하는데 있지 않을까?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3252 | 눈 내린 풍광을 두고 울고 싶어라 -샤프란블루 [1] | ![]() | 2012.11.19 | 6095 |
3251 | 쌀과자#29_사람을 알아보는 눈 [1] | 서연 | 2012.11.19 | 5215 |
3250 | 꿈쟁이 뿌꼬 #2 [4] | 한젤리타 | 2012.11.19 | 6773 |
3249 | 알려지지 않은 신 2 [2] | 레몬 | 2012.11.18 | 2531 |
3248 | 박지원을 통해 본 여행의 기술 | ![]() | 2012.11.13 | 2550 |
» | 나이 50대, 아직도 영웅의 꿈이 지속 되는가? [1] | 학이시습 | 2012.11.13 | 2789 |
3246 | 11월 꼭지글 (수정) [2] | 레몬 | 2012.11.10 | 2386 |
3245 | 11월 책 목차 | 레몬 | 2012.11.10 | 2514 |
3244 | 11월 오프수업 - 목차, 서문, 꼭지글 [2] | 콩두 | 2012.11.10 | 2982 |
3243 | 서문과 꼭지글 | 샐리올리브 | 2012.11.10 | 2318 |
3242 | 마흔과 오십의 경계에서 중년여성이 일어야 할 책 -서문과 꼭지글 | ![]() | 2012.11.10 | 4432 |
3241 | 11월 과제 서문 과 꼭지글 | 학이시습 | 2012.11.10 | 2494 |
3240 | 11월과제 서문과 꼭지글 | 서연 | 2012.11.09 | 2378 |
3239 |
11월 오프 수업 과제 서문과 대표 꼭지글 ![]() | 세린 | 2012.11.09 | 6719 |
3238 | 11월 OFF 수업 과제 (서문, 꼭지글 포함) | 장재용 | 2012.11.09 | 2204 |
3237 | 꿈쟁이 뿌꼬 - 꼭지글 [1] | 한젤리타 | 2012.11.08 | 2600 |
3236 | 꿈쟁이 뿌꼬 - 서문 [2] | 한젤리타 | 2012.11.07 | 2708 |
3235 | 사람이 날아다니고 물이 거꾸로 흐르는 곳 [3] | 콩두 | 2012.11.05 | 3825 |
3234 |
쌍둥이는 합동일까? 닮음일까? ![]() | 세린 | 2012.11.05 | 4041 |
3233 | 나의 오지 (prologue) [3] [1] | 장재용 | 2012.11.05 | 219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