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변화경영연구소-김용규
- 조회 수 8532
- 댓글 수 4
- 추천 수 0
비 오고 제법 큰 바람이 붑니다. 꽃가루받이를 마치지 못한 꽃들의 외로운 낙화를 염려합니다. 비바람 거세지니 문득 그리워지는 나무가 있습니다. 백두산. 해발 1800~2100m 지점에 형성되는 수목한계선(Timber line)의 최전방을 지키고 있을 사스래나무입니다.
연구자들에 의하면 사스래나무는 혹독한 추위와 강풍을 세상에서 가장 잘 견디며 살 수 있는 낙엽활엽수라 합니다. 그 안으로 전나무를 비롯한 침엽수가 숲을 이룹니다. 사스래나무가 전나무의 울타리 노릇을 하며 바람막이가 되어 주는 셈이지요. 강풍에 가지가 꺾이고 잎이 찢기면서도 자신의 생을 구불구불 살아내는 사스래나무는 그래서 제 부모님을 닮은 듯도 하고, 척박한 토양에 두 발을 딛고 가난하지만 따뜻한 삶을 사는 우리 이웃들을 닮은 듯도 합니다.
그런데 이 전나무가 사스래나무의 영역을 빼앗는 모습에 마음이 아픕니다. 둘이 서로 인접해 있다보니 전나무의 씨앗이 왕왕 사스래나무 숲에 떨어져 발아하게 되는데, 어린 전나무는 사스래나무를 바람막이 삼아 무럭무럭 자라게 됩니다. 왕성한 식욕으로 본래 높이 자라는 전나무는 어느 순간 사스래나무의 키를 추월합니다. 이때부터 사스래나무는 햇빛을 빼앗기고, 양분도 양보해야 하는 신세가 됩니다. 그리고 마침내 자신의 자리를 조금씩 내어주며 밀려나게 되지요.
하지만 상생의 조화를 찾지 못하면 망하는 것이 섭리인 법. 결국 전나무의 지나친 욕심으로 사스래나무 군락이 사라지면 더 이상 그들의 바람막이는 없게 되고, 강풍에 꺾이고 뽑혀 나갈 운명이 고스란히 그들에게로 향할 겁니다. 숲에도 조화와 균형이 중요한 이유입니다.
조화와 균형은 숲에만 필요한 것이 아닐 겁니다. 규모와 효율의 이름을 빌어 왕성한 식욕으로 더 많이 차지하려 드는 인간들에게도 사스래나무-전나무 이야기는 강렬한 메시지를 던지고 있는 것 아닐지요.
비오고 큰 바람 부니 사스래나무를 닮은 사람들과 한 잔 하고 싶어집니다.
IP *.189.235.111
연구자들에 의하면 사스래나무는 혹독한 추위와 강풍을 세상에서 가장 잘 견디며 살 수 있는 낙엽활엽수라 합니다. 그 안으로 전나무를 비롯한 침엽수가 숲을 이룹니다. 사스래나무가 전나무의 울타리 노릇을 하며 바람막이가 되어 주는 셈이지요. 강풍에 가지가 꺾이고 잎이 찢기면서도 자신의 생을 구불구불 살아내는 사스래나무는 그래서 제 부모님을 닮은 듯도 하고, 척박한 토양에 두 발을 딛고 가난하지만 따뜻한 삶을 사는 우리 이웃들을 닮은 듯도 합니다.
그런데 이 전나무가 사스래나무의 영역을 빼앗는 모습에 마음이 아픕니다. 둘이 서로 인접해 있다보니 전나무의 씨앗이 왕왕 사스래나무 숲에 떨어져 발아하게 되는데, 어린 전나무는 사스래나무를 바람막이 삼아 무럭무럭 자라게 됩니다. 왕성한 식욕으로 본래 높이 자라는 전나무는 어느 순간 사스래나무의 키를 추월합니다. 이때부터 사스래나무는 햇빛을 빼앗기고, 양분도 양보해야 하는 신세가 됩니다. 그리고 마침내 자신의 자리를 조금씩 내어주며 밀려나게 되지요.
하지만 상생의 조화를 찾지 못하면 망하는 것이 섭리인 법. 결국 전나무의 지나친 욕심으로 사스래나무 군락이 사라지면 더 이상 그들의 바람막이는 없게 되고, 강풍에 꺾이고 뽑혀 나갈 운명이 고스란히 그들에게로 향할 겁니다. 숲에도 조화와 균형이 중요한 이유입니다.
조화와 균형은 숲에만 필요한 것이 아닐 겁니다. 규모와 효율의 이름을 빌어 왕성한 식욕으로 더 많이 차지하려 드는 인간들에게도 사스래나무-전나무 이야기는 강렬한 메시지를 던지고 있는 것 아닐지요.
비오고 큰 바람 부니 사스래나무를 닮은 사람들과 한 잔 하고 싶어집니다.
댓글
4 건
댓글 닫기
댓글 보기
VR Left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4377 | 새로운 편지 [3] [2] | 구본형 | 2006.03.21 | 10190 |
4376 | 비교하지 마십시오 - 행복숲 칼럼<1> [3] | 변화경영연구소 | 2006.03.23 | 10211 |
4375 | 행복학 원론 | 구본형 | 2006.03.24 | 11138 |
4374 | 장면 [1] | 홍승완 | 2006.03.27 | 8868 |
4373 | 너는 너로서 살아가는가? | 문요한 | 2006.03.28 | 10634 |
4372 | 행복은 미래에 있지 않습니다.-행복숲 칼럼<2> [1] | 구본형 | 2006.03.30 | 9842 |
4371 | 오늘을 위한 퍼즐 한 개 [5] [1] | 구본형 | 2006.03.31 | 9837 |
4370 | 강력한 커뮤니케이션 [3] | 홍승완 | 2006.04.03 | 6939 |
4369 | 변하지 않는 그 무엇을 가졌는가 | 변화경영연구소 | 2006.04.04 | 9474 |
4368 | 행복숲 칼럼- 당신 안에는 당신이 있습니다. | 변화경영연구소-김용규 | 2006.04.06 | 9537 |
4367 | 짐마차를 이끄는 작은 손 | 구본형 | 2006.04.07 | 10075 |
4366 | 삶을 비추는 거울 [5] | 변화경영연구소-문요한 | 2006.04.11 | 8537 |
4365 | 카르페 디엠(carpe diem) | 변화경영연구소-홍승완 | 2006.04.12 | 9685 |
4364 | 행복숲 칼럼-식물도 선생이 될 수 있습니다. | 변화경영연구소-김용규 | 2006.04.13 | 8627 |
4363 | 10 분 강의 [1] | 구본형 | 2006.04.14 | 8440 |
4362 | 시처럼 살아보자 [1] | 변화경영연구소-홍승완 | 2006.04.17 | 8262 |
4361 | 사랑을 확인하는 특별한 기준 [3] | 변화경영연구소-문요한 | 2006.04.17 | 8314 |
» | 사스래나무와 전나무 [4] | 변화경영연구소-김용규 | 2006.04.20 | 8532 |
4359 | 밥 [2] | 구본형 | 2006.04.21 | 8061 |
4358 | 커뮤니케이션의 기본 2가지 [3] | 변화경영연구소-홍승완 | 2006.04.24 | 805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