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본형
- 조회 수 8060
- 댓글 수 2
- 추천 수 0
오래전 어느 시인이 보내준 시집을 보았습니다. 몇 개의 시 귀가 얽혀 나를 놓아 주지 않습니다. 여러분도 오늘 그 소리 들어 보실래요 ?
‘화병 속의 꽃은 허리부터 시든다’ (지는 꽃)
* 그래요. 화병 속의 꽃은 시들기 전에 허리가 먼저 꺽여요. 사람도 그래요. 갇혀있는 사람은 꿈이 지기 전에 먼저 허리가 꺽여요. 세상에 허리를 굽히기 시작하면 꿈을 피울 수 없어요. 피지도 못하고 허리가 꺽인 꽃처럼 가엾고 추한 것은 없어요.
‘우리의 적은 우리의 밥, 한 끼의 일용할 양식으로 뭉텅 잘려 나간 영혼’ (우시장의 예수)
* 사는 맛의 반은 먹는 맛이니 아무도 손가락질 할 사람 없어요. 가난한 사람은 밥맛에 굶주리고, 부유한 사람은 더 들어 갈 곳 없는 포만한 배를 미워해요. 정신도 항아리 같아서 한번 깨지면 되돌릴 수 없어요.
이 시인의 이름은 신종호인데, 우린 언젠가 서로 만났어요. 내가 시처럼 살고 싶다고 했더니, 이 사람은 나에게 ‘시인은 시처럼 살 수 없다’고 했어요. 시인의 역할은 다른 사람이 시처럼 살도록 도와주는 것이라고 말했지만 정말 내 마음은 시인도 시처럼 살 수 있었으면 좋겠어요. 밥걱정 안하고말이지요.
그러나 한편 걱정도 됩니다. 배고프지 않고 시를 쓸 수 있을 지 모르겠습니다. 배고픔이 창의력이니까요.
밥, 우리를 살리기도 하고 우리를 죽이기도 하는군요.
댓글
2 건
댓글 닫기
댓글 보기
VR Left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4377 | 새로운 편지 [3] [2] | 구본형 | 2006.03.21 | 10189 |
4376 | 비교하지 마십시오 - 행복숲 칼럼<1> [3] | 변화경영연구소 | 2006.03.23 | 10210 |
4375 | 행복학 원론 | 구본형 | 2006.03.24 | 11137 |
4374 | 장면 [1] | 홍승완 | 2006.03.27 | 8867 |
4373 | 너는 너로서 살아가는가? | 문요한 | 2006.03.28 | 10633 |
4372 | 행복은 미래에 있지 않습니다.-행복숲 칼럼<2> [1] | 구본형 | 2006.03.30 | 9842 |
4371 | 오늘을 위한 퍼즐 한 개 [5] [1] | 구본형 | 2006.03.31 | 9836 |
4370 | 강력한 커뮤니케이션 [3] | 홍승완 | 2006.04.03 | 6939 |
4369 | 변하지 않는 그 무엇을 가졌는가 | 변화경영연구소 | 2006.04.04 | 9473 |
4368 | 행복숲 칼럼- 당신 안에는 당신이 있습니다. | 변화경영연구소-김용규 | 2006.04.06 | 9537 |
4367 | 짐마차를 이끄는 작은 손 | 구본형 | 2006.04.07 | 10074 |
4366 | 삶을 비추는 거울 [5] | 변화경영연구소-문요한 | 2006.04.11 | 8536 |
4365 | 카르페 디엠(carpe diem) | 변화경영연구소-홍승완 | 2006.04.12 | 9684 |
4364 | 행복숲 칼럼-식물도 선생이 될 수 있습니다. | 변화경영연구소-김용규 | 2006.04.13 | 8627 |
4363 | 10 분 강의 [1] | 구본형 | 2006.04.14 | 8440 |
4362 | 시처럼 살아보자 [1] | 변화경영연구소-홍승완 | 2006.04.17 | 8261 |
4361 | 사랑을 확인하는 특별한 기준 [3] | 변화경영연구소-문요한 | 2006.04.17 | 8313 |
4360 | 사스래나무와 전나무 [4] | 변화경영연구소-김용규 | 2006.04.20 | 8532 |
» | 밥 [2] | 구본형 | 2006.04.21 | 8060 |
4358 | 커뮤니케이션의 기본 2가지 [3] | 변화경영연구소-홍승완 | 2006.04.24 | 80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