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2006년 6월 13일 05시 30분 등록
결심했다. 이 한 보루를 다 피우면 담배를 끊겠다고..... 담배와 함께한 인생의 고비들을 반추했다. 힘든 일도 있었고 기쁜 일도 있었다. 한 개비, 한 개비 줄어들 때마다 이별의 슬픔은 커졌다. 그러나 마음은 차분하게 가라앉았다.(중략)

‘담배여, 그동안 너와 함께 즐거웠다. 그러나 이제는 그 때가 다 하였다. 나는 너 없는 인생을 살아볼 작정이다.(중략) 내 사랑하는 폭군이여, 안녕!’

최후의 한 개비가 남았다. 연기는 대기 속으로 흩어졌고 꽁초는 재떨이에서 허리가 꺾였다. 발리 여행 때 사온 사기 재떨이, 나는 그 재떨이를 깨끗이 비우고 따뜻한 물로 씻어 책상 위에 올려놓았다. 그것은 담배라는 잔혹한 애인이 내게 남기고 간 이별의 정표였다.(중략) 지금은 담배와 그에 얽힌 모든 것들에 무덤덤해졌다. 피울 만큼 피우면서 천천히, 그러나 냉정하게 담배와 결별하는 이 금연법을, 나는 '애도의 금연법'이라 부른다.

- 김영하의 담배와 이별하는 법, 중앙일보 2004. 12. 31-

-------------------------------------------------------------


소설가 김영하는 금연을 시도하며 담배를 ‘잔혹한 애인’으로 의인화합니다. 그리고 애절한(?) 이별의식을 치릅니다. 그는 하루아침에 언제 보았냐는 듯 박절하게 담배를 내팽개치지 말고 삶의 고통과 기쁨을 함께 나눈 애인으로서 그간의 세월을 애도하며 헤어질 것을 당부합니다.

저는 그의 의인화된 표현이 참 마음에 와 닿습니다. 자기화(自己化)되어 버린 무언가를 떠나보낼 때 갑자기 혐오하는 사람을 대하는 것처럼 돌변하면 안 됩니다. 그렇다면 헤어진 뒤에도 두고두고 당신을 괴롭힐지도 모릅니다. 이별의식이 필요합니다. 변화란 잘못된 만남과 이별하고 건강한 만남를 시도하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굿바이 세레모니’가 중요합니다. 어떻게 하냐구요?

자, 우선 '잘못된 만남'이 무엇인지 선택하세요. 정해졌다면 그 대상을 이성으로 의인화시켜 보는 겁니다. 준비되셨나요? 이제 그(녀)와 이별여행을 떠납니다. 그(녀)와의 잘못된 만남이 시작된 처음으로 말이에요. 두 사람은 어떻게 만났나요? 어떤 추억들을 쌓아 왔나요? 왜 그렇게 집착하고 떠나지 못했는지 돌아보세요. 매달린 것은 그(녀)가 아니라 ‘나’였지 않나요? 잘못된 만남을 키워 온 미성숙한 나의 사랑을 깊이 들여다보세요. 그(녀)가 나에게 줄 거라고 착각했던 그 정체가 무엇인지, 그(녀)가 나에게 남겨준 것은 무엇인지 바라보세요. 그리고 애도 속에 그(녀)를 떠나보내세요. 새롭고 건강한 사랑을 꿈꾸면서 말입니다.

당신에게도 쿨하게 헤어지고 싶은 잘못된 만남이 있지 않나요?

2006. 6. 13 문 요한의 Energy Plus [13호]



* 에너지 플러스는 정신경영아카데미(www.mentalacademy.org)를 통해 매주 목요일에도 발송되고 있습니다.

IP *.189.235.111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6 행복숲 칼럼-식물도 선생이 될 수 있습니다. 변화경영연구소-김용규 2006.04.13 8153
55 마음편지 4- "엄마, 나 연기가 재미있어"( 둘째의 대학 합격기) file [9] 소은 2009.01.27 8306
54 장면 [1] 홍승완 2006.03.27 8481
53 단식(斷食)과 단식(斷識) file [5] 박승오 2008.10.20 8542
52 확실하게 실패하는 법 변화경영연구소-홍승완 2006.05.15 8579
51 꿈꾸던 사랑의 한 가운데 박미옥 2014.11.14 8606
50 하버드 대학 최고령 졸업생의 연설문 문요한 2006.05.16 8665
49 죽을 때 까지 현직이려면... file [3] 구본형 2008.09.26 8679
48 공부란 무엇인가? [1] 부지깽이 2013.01.04 8941
47 변하지 않는 그 무엇을 가졌는가 변화경영연구소 2006.04.04 8943
46 머물지 않기 [1] 김용규 2012.07.12 9087
45 양자론과 인간의 세계관 file 승완 2013.05.21 9111
44 행복숲 칼럼- 당신 안에는 당신이 있습니다. 변화경영연구소-김용규 2006.04.06 9136
43 오늘을 위한 퍼즐 한 개 [5] [1] 구본형 2006.03.31 9139
42 카르페 디엠(carpe diem) 변화경영연구소-홍승완 2006.04.12 9162
41 자신의 한계를 알 수 있는 확실한 방법 [2] 문요한 2007.01.09 9224
40 내 마음 속의 프로크루스테스 죽이기 file [5] [1] 부지깽이 2009.07.03 9245
39 행복은 미래에 있지 않습니다.-행복숲 칼럼<2> [1] 구본형 2006.03.30 9368
38 마르시아스, 오만의 껍질을 벗고 file 부지깽이 2012.03.16 9404
37 왜 이런 시련을 저에게 주십니까? file [1] 문요한 2008.11.18 95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