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구본형
  • 조회 수 6146
  • 댓글 수 2
  • 추천 수 0
2006년 6월 16일 06시 19분 등록

비개인 다음 날 산에 들었습니다. 인적이 드문 곳에 바람 불어 벚나무 큰 가지 한 개가 부러져 늘어져 있습니다. 우리는 까맣게 익은 버찌를 따내었습니다. 손바닥에 열 댓 개 쌓이면 한 입에 털어 넣습니다. 버찌들이 입안에서 툭 터져 짙은 보랏빛 즙이 커다란 씨앗사이로 시원하게 고이게 됩니다. 그렇게 몇 번하면 혀바닥이 까맣게 됩니다. 우리는 서로 혀바닥을 보이며 웃었습니다.

조금 더 들어가 어느 풀 섶에 이르면 산딸기들이 가득합니다. 햇볕이 잘 드는 양지쪽에 커다란 잎사귀와 줄기에 귀여운 작은 가시를 달고 붉은 열매를 잔뜩 자랑하고 있습니다. 가벼운 탄성과 함께 얼른 달려들어 가장 잘 익은 것들을 따 모아 손바닥에 한 움큼 쌓이면 입속에 털어 넣습니다. 조금 더 들어가면 오디가 까맣게 달려 있는 곳에 이르게 됩니다. 손가락으로 조금 눌러 주면 아주 우아한 보라빛 물이 흘러나옵니다.

여름이 되면 나무들이 익어가고 산은 풍성해 집니다. 그리고 깊어집니다. 늘 다니던 길인데 오늘은 다른 길처럼 느껴집니다. 매일 달라지는 것이 산입니다. 매일 변하며 매일 자라고 매일 깊어집니다. 커다란 나무 그늘에 앉아 여름 산이 익어가는 것을 보았습니다. 매일 깊어져 매일 다른 산이 되어 가는 것이 참 보기 좋았습니다.

산에 들어가 산을 보다 문득 에머슨의 말이 생각납니다.

"누구든 진정한 인간이 되려한다면 먼저 비순응주의자가 되어야한다......세상의 의견을 좇아서 사는 것은 쉽다. 자신만의 고독 속에서 사는 것도 쉽다. 그러나 군중 속에서도 고독한 독립이 주는 달콤함을 누릴 수 있는 사람이야말로 위대한 인물이다“

공자는 아주 짧게 이것을 ‘화이부동(和而不同)’이라고 말했지요.

퇴근길에 지하철 입구 같은 곳에 버찌나 오디나 산딸기나 복분자 같은 것을 파는 행상이 있으면, 잠시 눈길을 주고 웃어 보세요. 물론 먹어 보아도 좋지요.

오늘은 검은 버찌를 가득 달고 있는 벚나무가 되고 싶습니다.


IP *.189.235.111

프로필 이미지
최안자
2006.06.16 13:26:34 *.44.45.103
비순응주의자라는 선생님의 말씀에 순응은 환경에 그대로 따라가는 것이고 적응은 환경과 자아의 조화를 꾀하는 것.
즉 나름대로 존재의 증명을 위해 목소리를 내려고 애쓰는 변화에의 갈등이 있음을 생각하게 됩니다.

버찌, 산딸기, 오디의 자연과 만나 탄성을 지르며 즐거워하는 자연인.
선생님의 따뜻한 온화함과 풍성한 감성이 손에 잡힐 듯 그려집니다.
아름다운 글, 체온이 있는 칼럼 고맙고 감사합니다.
프로필 이미지
김선수
2006.06.29 17:11:31 *.233.85.248
제기동에 갔었습니다....와이프와 함께
우선 옥수수를 사서 하나씩 먹으면서 걸었지요.....오디,버찌,산딸기등위에 써진 작은 열매들은 다 있었습니다....여기 홈에 오늘 처음 와봤는데....철학자가 된것 같아 기쁨니다.....일상의 황홀을 요즘 전철에서 읽으면서 출퇴근을 하고 있습니다.....괜찮은 글을 발견해서 줄을 쳐놓고 미팅시간에 직원들과 함께 생각해보는 시간도 갖어봅니다.....가슴 벅차옵니다....그런 내용을 발견하려고....하나도 빼놓지 않고 다 읽는 중입니다....익숙한것과의 결별을 읽고....삶의 깊이가 더해진것같아..기뻤습니다...감사드립니다...북한산을낀 평창동 어디에선가 함께 쌈밥을 먹어봤으면 좋겠습니다....가슴벅찹니다....철학이 짧아서 여기에 글 남기기가 두려워집니다....용기를 냈습니다....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76 [월요편지 127] 나는 왜 그 말이 상처가 될까? [1] 습관의 완성 2022.11.06 1012
175 [수요편지] 휴식에 대해 불씨 2022.11.09 1107
174 모임에 대하여 어니언 2022.11.10 982
173 [라이프충전소] 보기싫은 것도 보는 능력, 자기객관화 [1] 김글리 2022.11.11 1204
172 화요편지 - 일생에 단 한 번, 그 날의 도시락 종종 2022.11.15 1039
171 [수요편지] 가을 하늘, 그리고 삶의 의미 [1] 불씨 2022.11.15 1007
170 두 갈래 길, 하나의 길 [1] 어니언 2022.11.17 1109
169 [라이프충전소] 강의갈 때 꼭 여행음악을 듣는 이유 [2] 김글리 2022.11.18 1181
168 [월요편지 128] 회사 다니며 부업으로 쌀국수 매장 2년 해보니 깨달은 것 [3] 습관의 완성 2022.11.20 1052
167 [수요편지] 일상과 여행, 가을을 보내며 [1] 불씨 2022.11.23 1047
166 삶의 전략이되는 다정함 [3] 어니언 2022.11.24 1116
165 [라이프충전소] 실패는 없었다 [3] 김글리 2022.11.25 1021
164 [월요편지 129] 퇴사 신호들 습관의 완성 2022.11.27 1183
163 [수요편지] 보왕삼매론 [1] 불씨 2022.11.30 1131
162 불확실성에 대처하는 확실한 자세 [1] 어니언 2022.12.01 925
161 [라이프충전소] 부모님을 모시고 첫 해외여행을 다녀왔습니다 [5] 김글리 2022.12.03 1015
160 좋아함의 증거 [1] 어니언 2022.12.08 867
159 [라이프충전소] 결국 누가 글을 잘 쓰게 되는가 [1] 김글리 2022.12.08 986
158 [월요편지 130] 50대 이상 퇴직자들의 현실 [1] 습관의 완성 2022.12.11 1440
157 [수요편지] 허상과의 투쟁 [1] 불씨 2022.12.14 7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