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2006년 7월 11일 06시 43분 등록

그녀는 나에게 우편물을 가져다준다. 명랑하고 활기차게. 나는 호기심에 물어본다. “매일 우편물을 배달하면서 뭐가 그렇게 즐겁고 신이 나는 거죠?” 나의 말에 그녀가 말했다. “저는 단순히 우편물을 배달하는 것이 아닙니다. 저는 사람들을 서로 연결시켜 주는 일을 하고 있다고 생각해요. 더불어 사는 사회를 만드는 일에 일조하는 겁니다. 게다가 저를 의지하는 사람들을 실망시켜서는 안 되지요.” 그녀는 자신의 일에 의미를 부여하고 그래서 그 일은 의미를 갖게 된다.

- 알렉스 파타코스의 [의미 있게 산다는 것] 中에서-
-----------------------------------------------------------------

제가 좋아하는 그녀는 우리 병원의 영양사입니다. 하지만 그녀는 자신의 일을 단순히 '식단을 짜고 단체급식을 제공하는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그녀는 우리 병원 440여명의 환자와 100여명의 직원의 건강을 돌보고 증진시키는 CHO(Chief Health Officer)입니다. 그녀는 요리책을 보고 요리학원에 다니며 늘 새로운 메뉴에 도전합니다. 그녀 때문에 우리는 생전 먹어보지 못한 음식을 맛 봅니다. 그녀는 색다른 쿠키와 과자를 굽기도 하고 새로운 맛의 드레싱을 개발합니다. 그리고 눈에 띄지 않는 곳에 숨어서 사람들의 반응을 가슴 졸여 지켜봅니다. 매주 건강과 관련된 정보를 예쁘게 편집하여 식당에 붙여놓고 어떤 날은 갑자기 즉석 복권추첨을 해서 준비한 선물을 나눠주기도 합니다. 그녀는 많은 직원들의 생일을 알고 미역국을 끓입니다. 덕분에 저처럼 하루에 두 번 미역국을 먹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그녀를 보고 있노라면 저는 기분이 참 좋아집니다. 칼리 지블란은 자신의 저서 <예언>에서 ‘일은 사랑이 가시화된 것’이라고 하였습니다. 같은 표현이지만 저는 ‘일은 그 사람의 정신이 가시화된 것’이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visualized spirit!' 이것이 일에 대한 저의 정의입니다.

하지만 세상에는 일에 대한 여러가지 불만때문에 일에서 마음을 빼낸 사람들이 많습니다. 흔히 그들은 인생을 둘로 나누어 삽니다. 돈을 벌기 위해 일을 해야만 하는 시간과 하고 싶은 것을 하기 위한 두 시간대로 인생을 나누어 삽니다. 하지만 그 사람에게 인생의 후반은 좀처럼 찾아오지 않습니다. 원치 않다고 여기며 고통을 느끼는 일 속에서 그의 영혼은 하염없이 마모되어 원하는 것 역시 사라져 갈 것이기 때문입니다.

아쉽게도 이제 며칠 후면 그녀를 볼 수 없습니다. 제가 병원을 그만두기 때문입니다. 저는 이제 새로운 일을 시작하려 합니다. 그녀가 가슴 설레며 새로운 메뉴를 내놓았던 것처럼 저 역시 새로운 멘탈 트레이닝 프로그램들을 선보이면서 사람들의 반응을 가슴 졸여 지켜 볼 것입니다. 정신적 영양상태를 높이기 원하는 이에게는 그 입맛에 맞는 요리를 내놓을 것이고, 요리법이 궁금한 이에게는 레시피를 차분히 가르쳐주고 싶습니다. 그녀가 일 속에 마음을 가득 담았듯이 저 역시 제 일에 마음을 가득 담아내고 싶습니다.

당신의 일에는 당신의 정신이 깃들어 있습니까?
당신은 일을 통해 누군가에게 감동을 준 적이 있었습니까?



- 2006. 7. 11 週 2회 '당신의 삶을 깨우는' Energy Plus [20호]-








IP *.189.235.111

프로필 이미지
재즐짱
2007.01.16 00:27:18 *.47.86.64
그녀를 보고 있노라면 저는 기분이 참 좋아집니다. 칼리 지블란은 자신의 저서 <예언>에서 ‘일은 사랑이 가시화된 것’이라고 하였습니다. 같은 표현이지만 저는 ‘일은 그 사람의 정신이 가시화된 것’이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visualized spirit!' 이것이 일에 대한 저의 정의입니다.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76 [화요편지]자신의 삶을 온전히 살아내는 것만으로도 [6] 아난다 2021.12.21 1181
375 혁신에 속고, 열정에 울고 [4] 장재용 2021.12.21 1080
374 크리스마스의 행복 [2] 어니언 2021.12.23 1190
373 [용기충전소] 운을 불러오는 법 [2] 김글리 2021.12.24 1172
372 [월요편지 87] 내가 슬플 때 마다 꺼내 먹는 약 [1] 습관의 완성 2021.12.27 1507
371 [화요편지] 나에게로 '돌아오는' 여행 [5] 아난다 2021.12.28 1239
370 마지막 편지 [15] 장재용 2021.12.28 1509
369 생존을 위한 친화력 [2] 어니언 2021.12.30 1155
368 [용기충전소] 2021년을 함께 돌아보다 [5] 김글리 2021.12.31 1207
367 [월요편지 88] 4배수 법칙 [2] 습관의 완성 2022.01.03 1552
366 화요편지 - 종종의 종종덕질 [8] 어니언 2022.01.04 1367
365 [수요편지] 깨어남에 대해 [3] 김글리 2022.01.05 879
364 전환기가 다가온다 [2] 어니언 2022.01.06 913
363 [라이프충전소] 그냥 서툴게 시작해버려요 [2] 김글리 2022.01.07 942
362 <알로하의 영어로 쓰는 나의 이야기> 2030년의 어느 날, 나의 하루 알로하 2022.01.09 1043
361 [월요편지 89] 자녀 습관에 관한 부모의 흔한 착각 [1] 습관의 완성 2022.01.09 917
360 화요편지 - 종종의 종종덕질 "무취미한 당신에게 필요한 것은 오디션 프로그램!" [2] 종종 2022.01.11 906
359 [수요편지] 내려갈 때 보았네 [1] 불씨 2022.01.11 889
358 시련의 빛과 그림자 [1] 어니언 2022.01.13 783
357 [라이프충전소] 하나가 바뀌면 모든 게 바뀔 수 있다 [6] 김글리 2022.01.14 1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