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2006년 8월 2일 23시 39분 등록
잡초

비가 가시고 모처럼 강렬한 태양이 이어집니다. 더워도 반가운 마음을 갖게 되니 아마 장마로 인한 상실감이 여전히 깊은 모양입니다. 공터 구석진 곳에 앉아 이름모를 풀들을 봅니다. 남빛 꽃을 피운 식물이 눈길을 당깁니다. 약간 주름진 듯 푸른빛 꽃잎 2장을 부챗살처럼 펼쳤고 그 가운데로 노란색 수술을 수줍은 듯 내밀고 있습니다. 마치 ‘노란 더듬이를 지닌 푸른색 나비’를 보는 듯 합니다. 닭의장풀입니다. 닭장 근처에서 잘 자라고 꽃잎이 닭의 벼슬을 닮아 얻은 이름이라 하지요. 흔히 달개비라는 이름으로 알려진 풀. 닭의밑씻개, 닭의꼬꼬 등 우리말 이름도 귀여운 풀입니다.

달개비는7월과 8월에 걸쳐 꽃을 피우는 풀입니다. 습한 지대에 잘 자라는 이 녀석. 땅에 줄기가 닿으면 그 곳에 또 뿌리를 내리니 번식력도 대단합니다. 이 즈음 전국 어디서나 흔하게 만날 수 있는 풀이지요. 지금 집 근처 풀섶을 찬찬히 둘러보면 잡초들 틈에서 만날 수도 있을 겁니다. 꽃이 얼마나 앙증맞고 예쁜지… 하지만 좀처럼 사람의 눈길을 받지 못하는 식물입니다. 왜 그럴까요? 너무 작고 또 너무 흔한 탓인지도 모르겠습니다.

조금 더 생각해 보면 달개비 만이 아니라 우리가 잡초라 부르는 대부분의 식물이 다 그런 것 같습니다. 주목받지 못하거나 심지어 천대받는 풀. 너무 억세거나 흔하거나, 또는 너무 작거나 수수해서, 혹은 사람이 가꾼 밭과 화단 따위의 터전에 이물질처럼 끼어든 이유로 홀대받는 식물. 흔히 잡초에 대해 갖는 생각들 아닐지요.

그런데도 이토록 예쁜 꽃을 피우고 있는 잡초, 닭의장풀. 어릴 적 잡초라 무시했던 이 풀의 꽃이 왜 이제서야 아름답게 들어오는지…

문득 가슴이 서늘해 집니다. ‘혹시, 나 사람에게는 그런 마음 안가졌는지…
매끄럽지 못한 차림이라 해서, 혹은 담은 것이 별로 없어 보인다 해서, 혹은 늘 구석진 자리 말석을 차지한 사람이라고 해서 잡초를 대하듯 대한 적은 없는지…’

꽃 피운 닭의장풀을 만나 잡초를 생각하니 어느 선생의 이야기가 내내 마음에 남는 저녁을 보내게 됩니다.
‘잡초는 없다. 다만 잠시 자연을 빌려 사는 인간들의 오만하고 주제넘는 경계지음이 있을 뿐.'
IP *.189.235.111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76 화요편지 - 떠나고 싶은 날은 일단 노래! 종종 2022.05.17 833
275 화요편지 - 떠나고 싶은 날은 일단 노래! [1] 종종 2022.05.17 757
274 꽃멍 때리기 [1] 불씨 2022.05.17 835
273 이상과 현실 [1] 어니언 2022.05.19 745
272 [라이프충전소] 나만의 오리지널리티를 구축하는 법 1. 엉터리를 참아낼 것 [3] 김글리 2022.05.20 937
271 [월요편지 109] 감정도 돈이다 [1] 습관의 완성 2022.05.22 790
270 화요편지 - 덕질의 효용에 대한 고찰 1 - 덕질평행우주론 종종 2022.05.24 827
269 신발 한짝 [1] 불씨 2022.05.25 796
268 세 번째 생존자 [1] 어니언 2022.05.26 785
267 [라이프충전소] 나만의 오리지널리티를 구축하는 법 2. 많이 모방할 것 [1] 김글리 2022.05.27 807
266 [월요편지 110] 해외 MBA 출신이지만 경알못입니다 [1] 습관의 완성 2022.05.29 861
265 꾸준하게 나를 바꾸는 법 [1] 어니언 2022.06.02 803
264 화요편지 - 오늘도 덕질로 대동단결! 종종 2022.06.07 646
263 화요편지 - 오늘도 덕질로 대동단결! [4] 종종 2022.06.07 795
262 [수요편지] 대추한알 [1] 불씨 2022.06.07 785
261 이야기를 찾는 여행 어니언 2022.06.09 796
260 [라이프충전소] 나만의 오리지널을 구축하는 법 3.끝까지 가라 김글리 2022.06.10 914
259 [월요편지 111] 책을 더럽게 읽는 남자 [2] 습관의 완성 2022.06.12 881
258 [수요편지] 흔들리는 나침반 불씨 2022.06.14 892
257 먼 북소리 [2] 어니언 2022.06.16 770